반응형
경북 안동 풍산읍에서 약간 남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고택으로 안동지역에서 보물로 지정된 많지 않은 고택 중의 하나이다. 다른 고택과는 달리 임진왜란때의 의병활동과 후손들의 효심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충효당'이라 이름을 하사받은 유서깊은 저택이다.
이 예안이씨 충효당은 자리잡고 있는 자리잡고 있는 위치가 풍산읍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경관이 휼륭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런 저택의 위치에 비해서 건물 자체는 부나 권세를 상징하는 중후함이나 화려함보다는 소박한 양반저택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예안이씨 충효당에는 종손이 노모를 모시고 살고 있는데 무척이나 설명을 친절하게 잘 해 주신다.
예안이씨 충효당 홈페이지.
예안이씨충효당(禮安李氏忠孝堂).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건축으로 추정되며 ‘충효당’이라 부른다. 안채와 사랑채가 맞붙어 있고 안동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내부의 중앙은 뜰로 꾸민 소박한 집으로 남쪽과 서쪽에 바깥으로 통하는 대문이 있다. 남문이 본래의 대문이지만 지금은 서문을 대문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서문 바깥에 평행하게 있던 바깥채를 철거한 뒤에 드나드는 문도 옮긴 것으로 보인다. 공간에 비하여 넓고 튼튼한 문틀을 하고 있으며 드나드는 문이 많아 흥미롭다. 서쪽에는 一자형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가진 ‘쌍수당’이라는 별당이 있다. ‘쌍수당’이란 충과 효를 한 집안에서 다 갖추었다는 의미로, 이홍인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나서 왜적과 싸우다 장렬하게 순국한 충의를 기리고 그 후손 한오의 지극한 효를 기리는 것이다. 이 집은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고 변형도 되었으나 나직한 야산을 배경으로 하고 풍산평야를 바라보며 자리잡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상류주택과는 달리 소박하고 서민적인 민가 성격이 강하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의성김씨종택 안채 (보물), 임하댐 아래 천전마을 종가집 (1) | 2010.09.11 |
---|---|
안동 구봉종택, 임하댐 아래 천전마을 두번째 고택 (0) | 2010.09.11 |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내부), 보물로 지정된 고택 (0) | 2010.09.11 |
안동 풍산의 예안이씨 상리종택, 마당 연못이 인상적인.. (0) | 2010.09.11 |
안동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낙동강을 내려보고 있는 화려한 저택 (0) | 201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