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국시대 신라의 무기는 백제나 가야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주로 고분에서는 용,봉황 등으로 장식한 고리자루칼이 많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이며, 실제 전투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권위의 상징으로 무덤에 부장품으로 많이 묻힌 것 같다. 신라의 말갖춤은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말탄 사람 토기'에 그 모습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신라의 무기는 투겁창, 칼, 화살촉 등의 공격용과 갑옷, 투구 등 방어용이 있다. 이 가운데 왕릉급 무덤에서 출토되는 금이나 은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고리자루칼은 무기로서의 용도뿐 아니라 권위를 상징하기도 하였다. 특히 세 고리, 세 잎, 용, 봉황 등으로 장식한 고리자루칼은 신라의 지배 아래에 들어온 지방 유력자에게 하사되기도 하였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반응형
'중앙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진흥왕의 영토확장,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0) | 2010.01.06 |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신라 토기의 장식, 토우 (0) | 2010.01.06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신라의 토기, 토우 붙은 목항아리 (0) | 2010.01.05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신라의 대표 토기, 말탄 사람 토기 (도제기마인물상) (0) | 2010.01.05 |
[국립중앙박물관 고고관] 신라의 금속그릇 (1) | 201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