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천안 직산현 관아 아문, 호서지방을 들어가는 첫 관문

younghwan 2010. 10. 27. 14:21
반응형


 직산현은 경기도와 충청도의 경계에 위치한 지역으로 지금의 천안시 성거읍.성환읍.직산면.입장면을 포함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6대간선로 중의 하나이자, 지금도 1번국도가 지나가고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지금은 면소재지로 옛 관아가 있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직산초등학교 서쪽편에 아문과 동헌 건물이 일부 남아 있다.

 직산현 관아의 출입문인 아문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는데, '호서계수아문'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이는 호서지방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라는 뜻이다. 직산현은 조선시대 행정단위로서는 그리 큰 편이 아니지만, 제대로 갖춘 아문을 두고 있는 것은 경기지역을 나서는 첫번째 관아라는 의미와 함께 주요 간선도로 상에 위치하여 국왕이 행차도 자주 있었고, 고위관리의 방문도 많았었기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직산현관아 아문. 삼문의 형식에 2층 문루를 두고 있는 전형적인 조선시대 관아 아문의 모습을 보여준다. 오래된 건물로 보이지는 않으며, 조선후기에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아문은 팔작지붕에 넓문 마루를 두고 있는 문루의 모습을 하고 있다.


'호서계수아문'이라고 적힌 현판이 걸려있다. 호서지방으로 나가는 첫번째 관문이라는 뜻이다.


전형적인 아문의 형태로. 직사각형 모양의 4개의 큰 돌 위에 목조기둥을 세워놓고 있다.


아문 앞에는 직산현을 거쳐간 고을 수령들의 공덕비가 세워져 있다.


아문 안쪽에 있는 앞면3칸, 옆면 2칸의 목조건물. 그 모양새는 사당처럼 생겼는데 용도에 대한 설명이 없다.


오래된 고을에 많이 볼 수 있는 광경으로 직산현 관아 옆에는 직산초등학교가 있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전 초등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는데, 당시에 건물중 제일 크고, 그 용도가 없어진 객사 건물들이 대부분 초등학교로 쓰였다가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직산현 관아 아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