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김포향교, 김포현의 중등교육기관

younghwan 2010. 11. 8. 23:12
반응형


김포공항 서쪽편에서 강화도가 있는 서해안까지가 현재의 김포시이다. 조선시대의 김포현과 통진현이 합쳐진 곳이 현재의 김포시이고, 현재 김포시청을 중심으로 김포현이 존재했었다. 김포현은 남쪽으로는 부평부, 북쪽으로는 통진현, 서쪽으로는 서해안, 동쪽으로는 양천현과 경계를 이루는 영역이다. 옛 김포현의 흔적인 관아 건물들은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관청에서 운영하던 중등교육기관인 김포향교만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김포향교는 원래 김포장릉 부근에 있었다고 하며, 장릉의 조성과 함께 다른 곳으로 이전했다가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겨졌다고 한다. 건물들은 그 내력이 적혀 있지 않는 것으로봐서는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 만들어진 건물또한 아닌 것 같다. 아마도 구한말에 세워진 건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건물의 형태는 전형적인 지방의 작은 향교와 비슷한 형태의 건물 구조를 하고 있다.


김포향교는 김포읍내에서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김포초등학교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향교가 여러번 옮겨진 까닭에 다른 향교와는 달리 공덕비가 많이 세워져 있지는 않다. 출입문이 삼문이 있지만, 주택가 한 가운데 있고, 골목이 좁아서 그런지 홍살문은 남아 있지 않다.


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강당을 두고 있다. 김포지역은 날씨가 추워서 그런지 강당건물에 많은 창호를 두지 않고 있으며 정면1칸에 문짝을 두고 있다.


명룬당 출입문 문짝.


명륜당 뒷쪽편


명륜당 마당에는 최근에 지어진 건물로 보이는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가 자리하고 있다.


명륜당에서 내려다 본 향교 마당과 출입문인 삼문. 마당이 넓지는 않다.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대성전 출입문이 내삼문. 외삼문과는 달리 솟을대문을 하고 있지 않다.


공자와 제자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축대와 계단을 볼 때 많은 보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세운 것으로 보이지만. 대성전 앞에는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동.서무가 있다.


대성전 앞에 있는 수령이 수백년된 고목


김포향교 명륜당 옆에 있는 향교를 관리하는 사람들의 숙소




향교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 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양민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또한 향교에서는 교육뿐만 아니라 중국과 조선의 선현에게 제사하였다. 고을의 크기에 따라서 향교의 정원을 조정하였는데 대체로 군에는 50명, 현에는 30명의 학생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토지를 지급하고 그에 따른 세금 수입으로 향교 운영비를 충당하게 하였다. 이 향교는 고려 인종 5년(1127)에 세워졌다고 전하나 확실치 않다. 원래 김포고등학교가 있는 산기슭에 있었으나 장릉이 만들어지는 관계로 김포시 걸포동으로 이전되었다가 다시 현 위치로 옮겨졌다고 한다. 1988년 대성전 및 담장을 보수하였고 1989년에는 명륜당을 해체.보수하였다. 대부분 향교와 같은 배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출처:김포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