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한국민속촌 한옥, 중부지방 산촌민가 (초가삼간)

younghwan 2011. 5. 30. 16:14
반응형


 한국민속촌에 있는 중부지방 산촌 민가이다. 이 가옥은 민속촌이 설립되기 이전부터 주민이 살았던 집으로 산촌지역에서 벌을 키우던 주민이 살던 집이다. 앞면 3칸으로 방과 부엌만이 있는 가장 가난한 사람이 살았던 초가삼간이 이 가옥을 지칭한다고 했다. 목재 기둥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벽면을 토담으로만 쌓고, 그 위에 초가을 올려 놓은 형태이다. 조선시대 가난한 서민들이 살았던 흔적을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가옥으로 민속자료로 보존 중이라고 한다.

중부지방 산촌민가
이 가옥은 전형적인 초가 삼칸 형태를 띠는 민가로 민속촌이 설립되기 전 실제 원 주민이 살았던 집이다. 방과 부엌만 갖추고 있으며, 토담으로 지어진 중부내륙의 산촌 가옥이다. 벌을 양봉하던 집으로 벌꿀 집으로도 불리는데 민속자료로 보존중인 가옥이다. <출처: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 뒷편 언덕에 있는 초가삼간 주택이다. 방과 부엌으로만으로 되어 있고, 칸수를 구분할 수 있는 목재 기둥이 보이지는 않고 있는데, 흙을 쌓아서 만든 토담벽에 초가 지붕을 얹어 놓고 있다.


부엌 출입문에만 목재 기둥이 보며, 궁핍한 살림살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시대에 많았던 주택의 형태로 보인다.


벽면은 기둥이 없이 토담으로 쌓아 올린 단순한 구조이다.


온가족이 모여살던 방 내부.


뒷편에는 잡목으로 만든 굴뚝을 볼 수 있다.

남부지방 민가
남부지방 민가형식으로 여러 장인들이 모여살던 거대한 공방촌의 가옥이다. 안방과 사랑방, 광을 겸한 부엌만을 갖춘 규모가 작은 '-'자형 구조로 넓은 툇마루, 넓은 부엌 등 남부지방 서민들의 생활환경이 잘 반영되어 있다. 공방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살던 집으로 규모는 작지만 작업공간과 재료 저장을 위한 공간이 잘 배치되어 있다. <출처:한국민속촌>


앞면 3칸 규모로 광으로 사용한 넓은 부엌과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이 가옥은 점술집으로 전시되어 있어 원래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