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조선 관아

인제 합강정, 오대산 발원 내린천과 설악산 발원 인북천이 만나는 합강에 세워진 정자

younghwan 2011. 8. 30. 16:44
반응형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강변에 세워진 정자인 합강정이다. 이 정자는 조선 숙종 때인 1676년에 처음 세원진 것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정자는 한국전쟁 당시 폭격으로 소실된 이후 세워졌던 콘크리이트로 만든 정자를 최근인 1998년에 전통 목조 건축물 누각을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

 합강정이 위치한 언덕은 오대산과 방태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내린천과 설악산에서 발원하는 인북천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합강나루터인 홍진포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설악산을 자동차를 타고 여행할 때 인제를 지나면 보였던 번지점프대와 함께 있던 정자로 많은 사람들의 눈에 익은 곳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합강정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2층 목조 누각으로 평이한 모습을 하고 있는 정자이다. 원래는 십작각 형태의 누각으로 5칸 정도의 규모였다고 한다.


내린천과 인북천이 만나서 소양강이 되는 합강 나루터에 세워진 합강정은 1998년에 전통 목조 누각 형태로 복원된 것이라고 한다. 원래의 모습과는 다르게 앞면 3칸의 전형적인 조선시대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합강정 뒷편에는 많은 전설을 가지고 있는 돌부처를 볼 수 있다.


뒷편에서 본 합강정. 원래는 현판이 걸린 정면이 합강을 내려다 보는 방향이어야 할 것 같은데, 설악산을 향해 가는 도로인 46번 국도를 향해 현판을 걸어 놓고 있다.


인제 합강정


합강정과 같이 있는 강원도 중앙단. 이 제단은 각종 토속신에게 제를 올리는 제단으로 사직단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내린천과 인북천이 만나는 합강. 멀리 래프팅으로 유명한 내린천 계곡이 보인다. 여기서 부터 한강 지류인 소양강이 시작된다.


설악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인북천이 합강에서 내리천을 만나는 지점에 있는 합강교. 이 다리를 건너면 내린천으로 들어가는 도로인 국도31호선이다.


인북천과 내리천이 만나서 흐르는 소양강.


소양강 서쪽편으로 인제읍 소재지가 위치하고 있다.


소양강 번지점프대.


번지점프대로 들어가는 길


이 곳에는 용도를 알 수 없는 철골로 만든 전망대가 있는데, 이 곳에서 내려다 보는 주변 경치가 상당히 수려하다.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합강정과 중앙단



인제 합강정,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인제 팔경의 하나인 합강정은 인제에서 가장 일찍 건립된 누각형 정자건물로 이세억 현감 재식시인 숙종 2년(1676)에 건립되었다. 합강정이라는 정자이름은 정자 앞을 흐르는 강이름에서 붙여졌다. 합강리 앞에 흐르는 강물은 동쪽의 오대산, 방태산 등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내린천과 설악산과 서화에서 발원하는 인북천이 홍진포(합강나루터)의 용소에서 합류되어 흐르기 때문에 합강이라고 불렸으며, 합강변을 중심으로 형성된 뛰어난 지세와 경관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능선에 정자를 건립하면서 합강정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1676년에 인제읍민을 동원하어 지어진 합강정은 화재 등에 의하여 소실된 것으로 보애며, 김선재 현감 재임시인 영조 32년(1756)에 다시 중수되었다. 1760년에 간행된 여지도서에는 "합장전은 십자각 형태의 누각으로 건립되었는데 다섯칸이다"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전후에 건립된 합강정은 5칸 규모의 정자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865년에 다시 6칸 건물로 중수된 것으로 전해진다. 근래에 이르러 합강정은 한국전쟁시 폭격에 의해 소실되었으나, 1971년 10월 합강 나루터 능선위에 6칸 규모의 콘크리트 2층 누각으로 신축되어 옛 정자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1983년부터 합강문화제의 제례가 봉행되는 신성한 장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되어 인제군을 대표하는 전통건조물로 자리잡았다. 지금의 합강정은 1996년 국도확장공사에 의하여 철거된 것을 1998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목조 2층 누각으로 복원한 것이다. <출처:인제군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