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서원_향교_사당

춘천향교, 옛 춘천도호부의 중등교육기관

younghwan 2012. 3. 31. 23:33
반응형


 춘천은 강원도의 도청소재지로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고장으로 강원도에서는 보기드물게 넓는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다. 춘천에는 청동기시대의 무덤인 고인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청동기시대부터 이 지역의 중요한 세력 중의 하나였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에는 한강유역 쟁탈을 위한 각축장으로 고구려의 돌방무덤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이후에는 대체로 부사가 고을 수령인 도호부가 설치되어 지역의 중심시 역할을 했던 고장이었다.

 현재 춘천에는 옛 관아건물로는 고종때 이곳에 이궁을 세울때 만든 출입문인 위봉문과 문루인 조양루만이 남아 있다. 춘천향교는 춘천도호부에서 운영하던 공립 중등교육기관으로 설립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종때인 1520년에 크게 중건하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선조 27년(1594)에 다시 중건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한국전쟁때 불타버린 것을 1960년에 중건한 건물로 옛 건물이라고 보기는 힘든 것 같다. 춘천향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뒷쪽에 있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으며, 동.서무, 동.서재와 문루인 장수루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향교이다. 1960년대에 중건한 건물이라 춘천향교만의 특유한 건물형태나 웅장한 외형을 하고 있지는 않은 정형화된 향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강원도 도청소재지인 춘천 교동에 소재한 춘천향교. 조선시대 공립교육기관이었던 이 향교는 한국전쟁 당시 불타버린 것을 1960년에 중건한 것이라고 하며, 정형화된 형태의 향교 건물들이 세워져 있다.


향교 입구의 비석


향교 출입문인 장수루는 앞면 5칸으로 큰 규모의 누각건물이다. 1960년대에 중건하면서 일반적인 문루와는 달리 창문을 달아놓고 있는데, 이 지역의 추운 기후를 반영하고 있는 것 같다.



5칸으로 이루진 문루는 가운데 3칸은 출입문으로 양쪽에 광을 두고 있으며, 2층은 강당처럼 넓은 공간을 하고 있다.


향교의 강학공간으로 강당건물인 명륜당이다.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건물을 높게 세우지 않아서 웅장하지는 않다. 건물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로, 양쪽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는 형태이다.


명륜당 건물 양쪽편으로는 반칸씩 툇마루를 달아 내어 놓고 있어 잠시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


공자와 제자들을 비롯한 선현들을 모신 제향공간 출입문인 내삼문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제향공간인 대성전. 앞면 5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60년대에 중수해서 그런지 웅장하게 짓지는 않고 있다.


대성전 앞 양쪽에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건물인 동.서무



춘천향교, 강원도 춘천시 교동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춘천향교는 조선 건국초기에 설립되었다 하나 그 시기는 확실치 않다. 1520년(중종 15)에 부사 이만손이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594년(선조 27)에 부사 서인원이 다시 세웠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크게 파손된 것을 1960년에 대성전을 복구하였고, 그 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춘천향교에는 공자와 안자.증자를 비롯한 중국 선현과 우리나라 최치원을 비롯한 18현을 봉안한 대성전, 동무.서무가 있고, 강론을 하던 명륜당과 유생들이 기숙하며 공부하던 곳으로 명륜당 전면 양측 건물인 동재.서재가 있다. 그 외에도 장수루와 수복실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교수 1명과 교생 70명의 교육을 담당하였으나, 1895년 갑오개혁 이후 폐지되고, 현재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초정일, 두차례에 걸쳐 석전제를 거행하고 있다. <출처:춘천시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