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보성 회정리 현부자네 집, 소설 <태백산맥>의 무대로 중도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대지주 저택

younghwan 2012. 10. 15. 23:53
반응형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많은 장소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 첫 장면에 등장하는 회정리 현부자집이다. 기와를 얹고 담장이 있는 한옥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전통 한옥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일제강점기 대지주 계층의 저택이다. 서울의 집장사집이라 불리는 북촌 한옥과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의 한옥이다. 소설 <태백산맥> 첫장면에 정하섭이 새끼무당 소화의 집을 찾아가면서 자세히 묘사되어 있는 저택이다. 저자는 지역의 대지주이면서 벌교읍과는 약간 떨어진 넓은 중도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이집이 소설에서 지역 토호들을 대표하는 현부자의 집이라는 이미지와 맞아 떨어져서 집의 구조와 위치 등 특징을 자세히 묘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설 <태백산맥>의 상징적인 장소여서 그런지 이곳에 태백산맥문학관이 세워졌다.

 안채와 문간채, 마당의 별채와 뒷편의 제각으로 이루어진 현부자집은 전통 한옥의 건물 배치와는 많은 거리가 있으며, 가옥의 규모도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오히려, 지역의 중농 이상 계층이 살았던 초가가옥의 건물배치와 비슷하며, 그 형태에서 양반가옥과 일본식 가옥의 특징을 조합하여 현재의 양옥과 같은 개념으로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문이 있는 문간채에는 솟을대문의 느낌을 주는 누마루를 설치해 놓고 있으며, 광이나 외양간, 행랑채 등이 있는 전통 한옥과는 달리 작은 방을 두고 있다. 문을 들어서면 전통한옥의 마당에는 볼 수 없는 나무가 심어진 정원이 조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안채가, 왼쪽편에는 광이 있는 별채가 있다. 대청마루 앞이 시원하게 뚫려있는 전통한옥과는 달리 일본식주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출입문이 한옥의 형태로 지어져 있다. 안채 내부 마루는 한옥의 형태로, 천장은 일본식으로 하고 있으며, 방과 마루를 구분하는 문과 벽면이 일본식으로 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일제강점기 한옥이다.

현부자네 집
중도 들녁이 질펀하게 내려다 보이는 제석산 자락에 우뚝 세워진 이 집과 제각은 본래 박씨 문중의 소유이다. 이 집의 대문과 안채를 보면 한옥을 기본 틀로 삼았으되 곳곳에 일본식을 가미한 색다른 양식의 건물로, 한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 꽤 흥미로운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소설에서는 현부자네 집으로 묘사되었다. "그 자리는 더 이를데 없는 명당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는데, 풍수를 전혀 모르는 눈으로 보더라도 그 땅은 참으로 희한하게 생긴 터였다...." 소설 <태백산맥> 이 문을 여는 첫 장면에서 처음 등장하는 집이다. 조직의 밀명을 받은 정하섭이 활동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새끼무당 소화의 집을 찾아가고, 이곳을 은신처로 사용하게 되면서 현부자와 이 집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펼쳐지게 된다. 소화와 정하섭의 애틋한 사랑의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출처:보성군청>


소설 <태백산맥>의 첫 장면에 등장하는 벌교지역 대지주의 저택으로 남해안 중도 들녁이 내려다 보이는 제석산에 자리잡고 있다.


저택 앞에는 전통있는 대저택처럼 큰 연못을 파 놓고 있으며, 가운데에 섬을 조성해 놓고 있다. 전통 연못을 재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연못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천원지방설에 따라 네모난 방형의 연못에 원형의 섬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연못은 둥근 원형으로 연못을 만들고 있다.


연못 뒷편으로 보이는 현부자집. 저택의 규모가 큰 편은 아니지만 건물이 경사진 지형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높은 누마루가 있어 웅장한 느낌을 준다.


2층 누마루가 있는 문간채. 가운데 누마루가 있는 출입문이 있고, 양쪽에 방이 2칸씩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문간채와는 다른 구조를 하고 있다.


유리창문이 달려 있는 대문채의 2층 누마루. 누마루에 앉아서 넓은 중도 들판과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자연석을 쌓은 화단이 있는 정원과 그 뒷편으로 안채가 보인다. 마당에 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전통한옥에서는 거의 없는 경우로 일본 주택 정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대청마루 앞에 양옥이나 일본주택의 출입문처럼 돌출된 출입구를 두고 있는 집이 독특하다. 기와지붕을 올리고 한옥의 목조구조형태를 하고 있지만 한옥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이다.


건물내부는 마루는 한옥 마루를 하고 있고, 천정은 일본식으로 하고 있다. 문살은 한옥문살을 하용하고 있지만, 내부 공간을 문으로 나누는 것은 전형적인 일본 주택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내부는 일본식 미닫이문으로 공간을 분리하게 되어 있다.


대청마루와 기둥들은 일본주택에서는 볼 수 없는 한옥의 구조를 하고 있어, 일제강점기에 일본주택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구조의 한옥건물이다. 당시 집장사집이라 불렸던 북촌의 한옥은 한옥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데 반해, 이 저택은 일본주택의 특징을 많이 반영하고 있는 건물이다.


일본식 양식이 반영되었지만, 아궁이가 있는 온돌방있고 전체적인 형태는 한옥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안채에서 내려다 본 대문채


대문채 마루방


마당 왼쪽편에는 앞면 2칸짜리 광과 작은 방으로 이루어진 별채 건물이 있다.


뒷편 제각으로 나가는 쪽문


건물 뒷편 제각으로 들어가는 길.


제각 건물은 앞면 3칸짜리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전통적인 재실과는 약간 다르게 사당과 비슷한 건물구조를 하고 있지만 방과 대청마루로 이루어진 재실건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소화의 집
"조그만 하고 예쁜 기와집. 방 셋에 부엌 하나인 집의 구조... 부엌과 붙은 방은 안방이었고, 그 옆방은 신을 모시는 신당이었다. 부엌에서 꺾여 붙인 것은 헛간방이었다."  소설 태백산맥에 나오는 무당 소화네 집의 모습이다. 당시의 무당집은 실제로 제각으로 들어서는 울 안의 앞터에 있었다. 집 둘레로는 낮춤한 토담이 둘러져 있었고, 뒤로는 풍성한 대나무 숲이 집을 보듬듯 하고 있었다. 뒤란으로 도는 길목의 장독대 옆에는 감나무도 한 그루 서 있는, 소설에서 그려진 소화의 모습처럼 아담한 그런 집이었다. 1988년 무렵 태풍에 집이 쓰러졌고, 토담의 일부와 장독대의 흔적들이 남아 있었지만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밭으로 변했다. 그 후 주차장으로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그 흔적조차 찾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을 2008년 보성군에서 복원하였다. <출처:보성군청>


현부자집 대문채 앞에는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작은 집이 있다. 소설에 무당 소화의 집으로 묘사된 집이다. 원래의 건물은 허물어지고 현재의 건물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라 한다.


뒷편에서 본 소화의 집.


현부자집 앞 마당에서는 중도의 넓은 벌판이 내려다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