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인 1894년 대규모 농민봉기이자 미완의 혁명이었던 동학농민혁명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로 사적406호로 지정된 장성 황룡전적지이다. 이곳은 장성군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2km, 필암서원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장성군 중심지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황룡전적지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나 전투가 있었던 장소처럼 황룡전투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조형물 외에는 특별히 볼 수 있는 유적은 없지만 동학혁명이라는 구한말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볼 수 있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1994년에 세워진 기념탑은 동학혁명을 상징하는 높이 30m의 죽창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앞에는 당시 혁명군이 사용하였던 총알을 막기 위해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장태를 굴리는 모습을 형상을 하고 있는 조형물이 기념탑 위에 올려져 있다.
황룡전투는 동학농민전쟁에서 분수령이 되었던 전투로,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반대하여 봉기한 농민군 고부군 관아를 점령하고 황토현 전투에서 관군을 무찌르고 정읍, 함평을 장악한뒤 장성으로 진군한뒤 관군의 예봉을 꺾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동학농민군은 이곳 황룡에서 이학승이 이끄는 관군 선봉대와 결전을 벌여 관군대장 이학승이 전사하고, 화포와 양총 100여점을 탈취하는 등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동학군은 감영이 있는 전주로 진군하여 전라감사와 전주확약을 맺게 되었다.
장성 황룡전적, 사적 406호,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
이곳 장성 황룡전적은 고종 31년(1894) 반봉건.반외세의 정신으로 일어선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정부에서 파견된 경군에 승리한 동학농민혁명의 최대 격전지이다. 황룡전투는 전봉준의 동학농민군이 고창, 영광, 함평을 차례로 점령한 후, 전라도의 수도이자 이씨왕조의 태생지인 전주를 점령하기 위하여 이학승이 이끄는 경군과 일대접전을 벌였던 전투이다. 이 전투는 동학농민군이 정부의 정예부대를 격파한 의미있는 전투로, 동학군에게는 사기와 자신감을 경군에게는 낭패와 당혹감을 주어 경군의 행동반경을 위축시킨 계기가 되었다. 황룡전투에서 승리한 동학군은 양총 1백여정 등 많은 무기를 빼앗아 곧바로 전주성을 점령하게 되었으며 몇차례 공방전을 벌인 후 동학군의 요구를 수용했던 전주화약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황룡전투에서 동학농민군이 신식무기를 갖춘 경군을 무찌를 수 있었던 무기로 장태(닭의 둥지라는 뜻)가 처음으로 등장하였는데, 대나무를 쪼개 원형으로 길게 만들어 짚을 넣어 굴리면서 총알을 피했던 무기이다. 현재 이곳에는 동학사상을 일깨우고 후세들의 역사교육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1997년에 동학혁명승전기념공원을 조성하고, 기념탑 1기, 파고라 2동, 잔디광장, 경군대장 이학승 순의비 등이 세워져 있다. 장성 황룡전적은 역사적인 고증를 거쳐 1998년 4월 10일 국가지정 사적 406호로 지정되었다.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에 위치한 동학농민전쟁의 주요한 전적지인 장성 황룡전적지. 당시 전투를 기념하는 조형물이 세워져 있어 이곳이 전적지임을 알려주고 있다.
당시 전투가 벌어졌던 황룡전적지 일대. 북쪽으로 1.5km 정도 떨어진 곳에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필암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죽창을 형상화한 기념 조형물
조형물에는 신식무기를 갖춘 관군을 무찌리기 위해 동학군이 고한안 장태를 굴리는 모습의 조형물이 올려져 있다. 장태는 대나무를 원형으로 길게 만들어 짚을 넣을 굴리면서 총알을 피할 수 있도록 했던 무기이다.
당시 전투모습을 형상화한 부조상
조형물이 세워진 황룡전적지
황룡전적지 앞 마을
황룡전적지에서 필암서원으로 연결되는 도로
황룡전적지에서 북쪽으로 약 1.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인 장성 필암서원
필암서원이 있는 마을
황룡전적지 동남쪽 황룡강이 흐르는 황룡리마을 주변 들판
'근현대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황새바위 천주교 순교유적지 (0) | 2011.04.17 |
---|---|
공주 우금치 전적지(사적 387호), 동학혁명 최대의 격전지 (0) | 2011.04.11 |
정읍 황토현 전적지, 동학 농민군이 관군을 크게 물리친 곳 (사적 295호) (0) | 2010.11.20 |
정읍 만석보 옛터, 동학혁명 횃불이 타올랐던 역사의 현장 (0) | 2010.11.20 |
[개항장 인천항]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 구한말 역사적 의미가 남아 있는 곳 (0) | 201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