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해외 박물관

[중국 칭다오박물관] 중국 화폐 이야기 (선사시대~남.북조시대)

younghwan 2014. 1. 20. 16:16
반응형


 조선시대 숙종대에 발행된 상평통보로 대표되는 둥근모양에 4각형 구멍이 뚫린 동전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고대 이래로 사용된 화폐로 그 원형은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이후 기존 화폐를 철폐하고 발행한 반량전과 한무제가 발행한 오수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물품거래를 위한 화폐로 춘주전국시대가 시작하기 이전인 주나라때까지 조개껍질과 이를 모방하여 뼈나 동으로 만든 화폐가 사용되었다. 

 동전처럼 오늘날 화폐와 같은 개념은 춘추전국시대에 도구모양의 포전이 상인들간의 거래상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다. 또한 산동지방의 제나라와 베이징부근의 연나라, 황하하류지역 조나라에서는 칼모양의 도전이 만들어졌는데 포전과는 달리 국가 주도로 발행한 화폐였다. 또한 휴대의 편의성이 고려된 환전이라 불린 원형의 동전이 위.진.제나라에서 발행.유통되었다. 특히 둥근형태이 동전은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발행한 반냥전이 발행되면서 중국화폐의 기본형태가 되었다. 진나라를 계승한 한나라에서는 기존의 반냥전을 사용하다가 한무제때 비슷한 형태의 동전이 오수전을 발행하였다. 반냥전과 오수전은 둥근형태에 사각형 구멍이 뚫린 형태의 동전으로 남북조시대에서 오늘날 화폐가 발행되었던 청나라 말기까지 이용되었다. 칭다오시는 전국시대 제나라에 속했으며, 칭다오시에 속한 즉묵(即墨)시는 제나라 화폐인 도폐(刀币)를 발행하여 유통시킬 정도로 경제적으로 융성하였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칭다오박물관에서는 중국화폐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시대별.국가별로 발행된 화폐들을 전시하고 있다.



고전금설(古钱今说), 고대에서 오늘날까지 화폐 이야기


조개껍질, (BC1600~BC771년, 상~주나라)
선사시대 말기에 물물교환이 나타났다. 어떤 상품들은 사람들이 물물교환을 하는데 부적합하여 특별한 매개체가 필요하였다. 약 3000년전에 조개껍질은 희소성을 비롯하여 자체적은 특징으로 초기 화폐기능을 하게 되었다. 측정단위인 '朋(Peng)'은  10개의 조개껍질을 의미한다. 실물교환과 경제생활의 발전과 함께, 뼈, 돌, 구리로 조개껍질 모양을 만들어 화폐로 사용하게 되었다.
Shells(BC1600~BC771)
In late primitive society, barter appeared. A special commodity was needed as exchanging media when barter couldn't satisfy people's exchanging. About 3000 years ago, shell became the original money for its own feature. The measurement unit was "peng" ten shells meant one "peng". Imitative shell made of bones, stones and copper appear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exchange and economic life. <출처:칭다오시박물관>


화폐와 관련된 글자가 새겨진 도기


조개껍질 화폐(贝帀, Shell coin), 상~주시대(BC1600~BC771),
1. 조개껍질(天然贝,왼쪽), 2. 뼈로 만든조개껍질(骨贝), 3. 구리로 만든 조개껍질(铜贝)


진나라 이전 화폐의 변화


도구모양의 동전 (BC770~BC221, 춘추전국시대)
고대사화에서 구리는 "금"으로도 불렸다. 상.주왕조시대에는 청동이 신성한 금속으로서서 가치가 있었다. 춘추전국시대 청동으로 만든 삽과 그 조각들은 계산하기 쉬워서 화폐로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동전들은 춘추전국시대에 도구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이런 동전들은 노공을 중요시하는 중국 고유의 화폐문화가 되었다.
Tool-shaped coins (BC770~BC221)
In ancient times, copper was called "gold". In Shang and Zhou Dynasty, bronze was valuable as noble metal.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mall pieces of bronze-made shovel and fragment were used as money for easy counting. Most coins were developed from tool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se coins became China's unique monetary culture for labor feature. <출처: 칭다오시박물관>


산동지역 진대 이전 화폐 출토지역


공수포(空首布, Hollow-headed spade-shaped coin, 춘추시대 (BC77~BC476). 포전(布錢)이라고도 부르는 농기구 모양을 한 청동화폐이다. 중국 춘추시대부터 전국시대말까지 유행하였다. 발이 2개로 갈라진 쟁기와 그렇지 않은 괭이 모양을 한것이 있다. 손잡이부분이 비어있는 것을 공수포라고 하는데 가장 오래된 것이라 한다. 표면에 지명이 적혀있다.
1. 亳(안후이성 보저우(亳州)시) 2. 羔(양), 3. 三川釿(삼천근), 4. 卢氏(루스현), 5. 武(무), 6. 辛(신), 7. 官考(관고), 8. 安藏(안장)


평수포(平首布, Flat-headed Spade-shape coin), 전국시대(BB475~BC221)는 그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교족포(桥足布)와 첨족표(尖足布), 방족포(方足布), 예각포(锐角布)이다.


도폐(刀币, Knife-shaped Coin), 춘추전국시대(BC770~221), 춘추전국시대 말기에서 전국시에 사용된 칼모양의 화폐로 도화(刀貨)라고도 한다. 포전보다는 늦게 나온것으로 전국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 종류로는 연나라 화폐인 명도와 첨수도, 제나라 화폐인 제도, 조나라에서 사용된 원수도가 있다. 상인들이 만들어 사용했던 포전과는 달리 국가에서 발행했다고 한다.
1. 제지법호(齐之法化), 2. 안양지법화(安阳之法化), 3. 즉묵지법화(即墨之法化), 1. 제반방_법화(齐返邦_法化), 2.  제법화(齐法化)


도폐(刀币, Knife-shaped Coin), 춘추전국시대(BC770~221)
1. 첨수도(尖首刀), 2. 명도(明刀), 3. 백인도(白人刀), 4. 성백도(成白刀)


원전(圜钱, Circular coin), 전국시대(BC475~BC221), 원전(圜钱, Circular coin)은 환전(環錢)이라고도 하며 전국시대 위.진.제나라에서 유통된 원형의 화폐이다. 진나라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할 때 반냥전이 주조되어 중국 화폐의 기본형이 되었다.
1. 애화(賹化), 2. 애사화(賹四化), 3.애육화(賹六化), 4.일화(一化), 5. 명화(明化), 6. 공(共), 7. 담(垣), 8, 필음(毕阴)


춘추전국시대 조개모양 화폐 (BC770~BC221),  Bronze & Shell coin


전국시대 화폐 (BC475~BC221)
1. 사포당근(四布当釿), 2. 패포당근(旆布当釿)


화폐를 주조하는 모습


진.한대 동전(Circular Coins with square hole, BC221~AD220)
After Qin unified China, different coins of dukedoms of Warring States period were abolished and bronze-made round weighted banliang coin with square hole and carved words "ban liang" were used. The issue of Banliang coins set a milestone in the monetary history of China. From then on, the structure of round shape with square hole was established. Emperor Wu Di in west Han Dynasty cast Wu Zhu coin followed Qin's structure. This round coin with square hole was used for more than 2100 years and ended with the extinction of feudal dynasties although Emperor Wang Mang in Xin Dynasty initiated. "Returning to Ancient" of coin structure.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이후, 전국시대 제후국들이 발행했던 동전들은 폐지되고 청동으로 만든 둥근모양에 사각형 구멍이 뚫린 반량전이 사용되었다. 반량전은 중국 화폐 역사에 새로은 이정표가 되는 화폐이다. 이때부터 둥근 모양에 사각형 구멍이 뚫린 동전은 중국 화폐의 기본적인 형태가 되었다. 서한의 한무제가 발행한 오수전의 형태는 청나라때까지 이어진다. 이런 사각형 구멍이 뚫린 둥근 동전은 이후 봉건왕조시대까 끝나는 2100년 동안 사용되었다. 물론 서한왕조가 끝나고 왕망이 세운 신왕조에서는 도구모양의 화폐가 발행되기도 하였다.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진나라 통일 후 화폐의 통합


진(BC221~BC207), 반량전(半两, Ban Liang Coin), 반량전은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기존 화폐를 폐지하고 발행한 화폐로서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둥근모양에 사각형구멍이 뚤힌 동전 형태의 원형이 되었던 화폐이다. 표면에 '반량'이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


한(BC206~AD220), 1.유협반량(榆荚半两), 2.반량(半两), 전한시대에는 진대 반량전을 계속 사용하였으며, 유협반량, 팔수반량, 오분전, 사수반량전 등이 만들어졌다.


한나라 동전인 오수전(五铢钱), 오수전은 한무제 4년(BC119)에 처음 발행된 화폐로 초기에는 동전이었으나 철전으로 발행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낙랑군 유역 및 백제 유적 등에서 발굴될 정도로 많이 사용된 동전이며, 후대 동전제작의 표준이 되었다.


신망(新莽) 9~23년 시대 화폐, 신망시대에는 고대로 돌아가자는 뜻으로 전국시대에 사용되었던 도전, 포전 등의 형태를 하고 있는 화폐가 발행되었다. 1. 금착도(金错刀, Jincuo Knife-shaped coin), 2. 계도오백(契刀五百), 천화육품(泉货六品, Quanhuo coins, 6종)


포화십품(布货十品, Buhuo coins,10종), 기타 신망(新莽)시대 화폐


동전의 주조(Cast Coin)
오래된 금융의 역사에서, 금속화폐 수동 주조 기술은 천년이상 이어져 왔다. 진왕조때 사용된 다른 금속재료를 분리할 수 있는 동전금형는 도기 금형과 석재 금형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북조에서 시작되어 수.당왕조 이후 다양하게 사용된 모래거푸집의 광범위한 사용은 동전금형의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청나라말기 기계를 이용할때까지 모래거푸집은 계속사용되어 왔다.
With the long history of monetary development, the technique of manual coin casting lasted for thousand years. In Qin Dynasty, coin moulds were used which could be divided into pottery moulds and stone moulds differed in materials. Started from North Dynasty, especially after Sui and Tang Dynasty, the wide use of sand-casting, master coin replacing mould and sand mould replacing coin mould improved productive efficiency. In late QIng Dynasty, machine money manufacture was applied and gradually replace manual coin casting.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제법화도범(齐法化陶范, Pottery Mould), 전국시대(BC475~BC221), 제나라때 동전을 주조하던 도기로만든 거푸집


애육화동범(賹六化铜范, Bronze Mould), 전국시대(BC475~BC221), 애육화 동전을 주조하던 청동으로 만든 거푸집


반량전석범(半两钱石范, Stone Mould), 한나라(BC206~AD220)


오수전도범(五铢钱陶范, Pottery Mould), 오수전동범(五铢钱铜范, Bronze Mould), 한나라(BC206~AD220)


대천오십도범(大泉五十陶范, Pottery Mould), 대천오십동범(大泉五十铜范, Bronze Mould), 계도오백도(契刀五百陶范, Pottery Mould), 신망(新莽) 9~23년


남북조시대 동전(Coins from the Six Dynasties), 220~581년
이시기는 '삼국지", '팔왕의 난'으로 대표되는 남조의 정권교체와 북조의 분열을 경험한 시기였다. 이시기 동전은 구조는 다양해지지만, 그것은 중국 화폐역사에서 과거와 미래를 연결해주고 있다. 사천정에 있었던 5호16국 중 하나였던 성한(成汉)에서 발행한 동전에 적힌 '흥한汉兴'은 왕조를 표현한 최초의 동전이었고, '文'과 '贯'은 화폐의 단위를 표시하였다. 동전에 새겨진 글씨는 중국 문자의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 언급된 특징들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was a period of chaos, experiencing "Three Kingdoms". "Rebellion of Eight Princes", Regime Change in the South and separatist in the North. Although coin structures vary during this time, it linked the past and future of Chinese monetary history. "Han Xing" coin cast in Chenghan Kingdom was the earliest coin with reign title; "Wen" and Guan" were set as counting units at this time; the appearance of words craved in li and regular scripts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All mentioned above carried a profound influence in history. <출처:칭다오시박물관>


삼국시대 동전(220~280).
1. 직백오수(直百五铢, 촉나라), 2. 태평백전(太平百钱, 촉나라), 3. 대천오백(大泉五百, 오나라), 3. 대천당천(大泉当千, 오나라)


동진16국(东晋十六国, 317~420), 동전


일관전(一贯钱, 1000枚)


남북조시대(420~581) 동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