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청룡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824호)이다. 조선 선조 이전에 지어진 건물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건물의 형태나 건축수법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크게 중수하면서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4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처마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기둥은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을 사용하고 있어, 소박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멋이 있다.
안성 서운산 자락에 위치한 청룡사는 고려시대(원종6)인 1265년에 처음 세워진 사찰로 고려말 이름난 고승인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면서 청룡사라 불렀다고 한다. 조선시대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원찰이었다고 한다. 또한 1900년대부터는 남사당패의 근거지가 되었다고 하며, 부근에 지금도 남사당마을 등이 있다고 한다.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물824호,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서운산에 있는 청룡사는 고려 원종6년(1265) 명본대사가 건립하여 공민왕13년(1364) 승려 나옹에 의해 새롭게 지어진 유서 깊은 사찰로 조선 초기까지도 왕실의 원찰이었던 곳이다. 대웅전이 다시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선조34년(1601)에 중수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7세기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 몇차레 고쳐지었다.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4칸의 규모로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에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운 다포계 팔작집이다. 지붕가가는 7량으로 구성되었고, 내부 천장은 일반적인 불전과 달리 연등천장으로 구성하였다. 내부에는 중앙에 불단을 만들어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그 위에 부처를 보호.장엄하기 위해 닫집을 달아 장엄하다. <출처:안성시청>
보물 824호로 지정된 안성 청룡사 대웅전. 앞면3칸, 옆면4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조선중기 이전에 처음 지어졌다고 하나, 건축수법 등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 현판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밖으로 뻗쳐 나온 재료 윗몸에 연꽃과 연꽃봉오리를 화려하게 조각해 놓아 장식이 많이 섞인 조선 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웅전 문살과 주련
옆쪽에서 본 대웅전. 기둥으로 사용한 목재는 다듬지 않은 원목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휜 것이 많다.
대웅전 출입문 위에 걸리 현판
대웅전 내부
안성 청룡사 대웅전
'불교건축(불전_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팔공산 동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 1563호) (0) | 2016.03.13 |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14호), 고려시대 목조건축물 (0) | 2016.02.29 |
안성 석남사 영산전(보물823호), 조선초기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불전 (0) | 2014.07.04 |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1574호), 봉암사에서 제일 오래된 작은 불전 (0) | 2013.06.03 |
여주 신륵사, 주불전인 극락보전을 비롯한 불전과 요사채, 강당 (0) | 201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