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덕수궁] 중화전(中和殿,보물819호), 구한말에 세워진 덕수궁의 정전

younghwan 2012. 4. 17. 21:52
반응형


 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경운궁으로 이 곳에는 세조의 큰손자인 월산대군의 개인저택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가 서울로 돌아온 후 임시로 거처했던 곳으로 행궁이었던 것을 광해군때 그 규모를 확장하여 경운궁이라 하였다. 실제로 덕수궁은 구한말까지는 그 규모가 크지 않은 별궁으로 유지되어왔으나, 1897년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던 고종이 이 곳 경운궁으로 거쳐를 옮기면서,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정식궁궐로 바뀌었다.

  덕수궁 중화전은 중화전은 덕수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 조례, 외국 사신 접견 등 주요한 국가적 의식을 치르는 곳으로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이후 궁궐의 정전으로 1902년에 완공하였으나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06년에 중건한 건물이다. 처음 중화전을 세웠을 때는 경복궁 근정전과 마찬가지로 2층 건물이었으나, 화재로 소실된 것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규모가 축소되어 단층으로 지어졌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축물로 단층으로 지어져서 그런지 다른 궁궐 정전에 비해서 약간 왜소하다는 느낌을 준다. 황제국을 선포한 이후에 지어진 건물로 전체적으로 황금빛을 띠고 있으며, 추녀마루의 잡상 또한 궁궐건물 중에서 가장 많은 13개를 올려 놓고 있다.


덕수궁 중화전은 황제국을 선포한 대한제국의 정전으로 조선시대 기술로 지어진 거의 마지막 건물에 해당한다.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붉고 황금빛을 띠고 있다. 원래는 2층건물이었으나 화재로 소실된 것을 중건하는 과정에서 단층으로 바뀌어 약간 궁궐 정전으로서는 약간 왜소한 느낌을 준다.


중화전 월대를 오르는 답도와 계단. 국왕의 권위를 느끼기에는 경복궁에 비해서 부족한 듯 하며, 을사늑약 이후 국권을 상실한 고종의 위상을 보는 듯 하다. 황제국을 표방했음에도 월대는 자금성 태화전과 달리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월대를 오느는 계단 중앙에는 국왕의 가마가 지나는 길인 답도에 소맷돌과 석수가 설치되어 있다. 하월대는 5계단, 상월대는 3계단으로 되어 있으며, 웅장함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상월대에는 답도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봉황이 새겨진 것으로 보이며, 하월대 답도에는 두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다.


월대 계단의 석수 한쌍



중화전 월대. 중국 자금성과는 달리 장식성이 강한 의기들을 올려 놓고 있지는 않다. 또한 경복궁 근정전에는 있는 사신상이나 십이지신상이 없다.


중화전 하월대에 올려 놓은 드므와 상월대 중화전 모서리에 세워 놓은 청동향로. 드므는 방화수를 담는 용기로서, 화마가 물에 비친 제 모습에 놀라 도망가게 한다는 화재예방을 위한 상징적 의미가 크다. 청동향로는 정전에서 의식이 거행될 떄 좌우에서 향을 피웠다고 한다.


중화전 현판


건물의 공포는 익공계열의 특징을 하미한 다포계 공포를 하고 있으며,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따.


중화전 기둥과 문살. 단층건물로 기둥은 그리 굵지 않은 편이다.


덕수궁 중화전 내부. 중앙에 닫집형태로 만들어진 어좌가 놓여 있고, 내부는 비어있다고 할 수 있다. 어좌 뒤에는 국왕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 병풍이 있다.


중화전 천정이 용문양 장식.


중화전 추녀마루의 잡상. 경회루 다음으로 많은 10개의 잡상이 올려져 있다.


중화전 앞 조정 마당의 품계석과 중화전. 중화전에도 원래는 회랑에 해당하는 행각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퉁이에 일부만 남아 있어 궁궐 정전으로서의 권위가 없어 보인다.


중화전 월대에서 내려다 본 조정 마당과 중화문, 모퉁이에 남아 있는 행각


중화전 뒷마당


덕수궁 서쪽편 석조전(미술관)에서 바라본 중화전. 주위의 빌딩과 잘 어울려져 있고 정원이 잘 조성되어 있다.


2009년 여름 덕수궁 중화전

덕수궁 중화전


조선조 최후의 정전으로 즉위식과 조회를 비롯한 주 행사를 치르는 곳이며, 본래 중층이었으나 1904년에 불타, 새로 1906년에 단층으로 지었다. 상하월대의 석계에는 5단으로 구성하였는데 중앙부 제 2단 디딤돌 위 양편에 서수(瑞獸)를 놓아 석계 전체를 3분할하였다. 답도에는 다른 궁전과 달리 두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형식을 하고 있으며, 내부 북쪽에는 어좌가 있고 그 뒤에는 일월오악도 병풍을 드리웠다. 어좌 위 보개는 화려하게 조각되었다.내부 중앙의 천정에는 네모나게 위로 올라가도록 만들어 구름 속에서 노니는 쌍룡을 조각해 넣었다. <출처: 문화재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