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사찰여행 79

하동 삼신산(지리산) 쌍계사(雙磎寺) - 들어가는 길, 개울

지리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벚꽃나무길로 유명한 쌍계사입니다. 이른 봄이라 꽃나무에 꽃은 피어 있지 않았지만 섬진강변 화개장터에서 시작하여 쌍계사까지는 소문대로 아름다운 길이었습니다. 이른 봄이지만 싱그런 녹차밭과 지리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물로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쌍계사 매표소 앞의 혼잡스러운 분위기를 지나 일주문까지의 숲속길은 산사로 들어가는 길이라는 느낌을 주는 역시 아름다운 길이었습니다. 지리산 자락에 자리잡은 쌍계사 매표소 옆으로 흘러내리는 지리산 계곡물입니다. 쌍계사를 들어가기는 길입니다. 매표소를 통과하여 지리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의 작은 다리를 건너면 울창한 숲이 있는 언덕길을 걸어서 올라갑니다. 첫번째로 맞이해주는 석등입니다. 쌍계사 매표소에서 쌍계사 입구인 일주문까지 걸..

전국 사찰 2010.01.24

[여주 고달사지] 석불좌, 거대한 석불이 놓여 있던 자리

여주 고달사지 경내에서 가장 중앙에 놓여 있는 석불좌이다. 통일신라시대까지는 사찰 경내 중앙에는 신앙의 중심이 되는 석탑이나 목탑이 서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곳 고달사지에는 석불좌가 자리잡고 있다. 아마도 거대한 석불이 이 곳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좌는 언제 만들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고려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달사지가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의 가람배치와 약간 다른 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이기도 하다. 고달사지 경내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석불좌. 통일신라시대까지의 가람배치에서는 석불좌가 있는 자리에는 석탑이나 목탑이 자리하고 있던 자리이다. 고달사지 석불좌는 보존상태가 아주 완벽하여 석불좌만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아래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보물 25호), 방등계단 앞에 서 있는 석탑

김제 금산사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인 사리계단인 방등계단 앞에 있는 보물 25호로 지정된 오층석탑이다.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본 양식을 드래로 따른 고려시대 작품으로 석탑 구성요소간 비례가 잘 되어 있는 편이고,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통일신라 석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사리계단 앞에 있는 이 석탑은 고려시대 석탑의 기능을 잘 보여주고 있는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경내 한 가운데에서 신앙의 중심이었으나, 이 석탑은 사리계단을 보좌하는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금산사 방등계단 앞에 있는 오층석탑. 2층의 기단부와 5층의 탑신, 상륜부로 이루어져 있다. 금산사 오층석탑 기단부. 1층은 낮고, 2층 기단부는 높게 만들어졌다. 목조건축물처럼 기단부 몸돌에 기둥이 있다. 오층으로 이루어진 탑신과 상..

[김제 모악산 금산사] 석련대, 노주

금산사 중심불전인 대적광전 앞마당 좌우에 위치한 석련대와 노주이다. 석련대는 불상을 올려놓는 탑으로 석조연화대좌라 불리며, 노주 또한 불상을 얹는 대좌처럼보이만 실제로 그 용도를 알 수 없어 노주라 불린다. 두개의 석물 양식은 통일신라시대 양식이나, 그 만든 형태를 보면 고려전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련대와 노주는 얼핏 보기에는 평범해 보이는 석물처럼 보이지만 문화재로서의 독창성과 역사성 등이 있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문화재이다. 금산사 대적광전 앞 동쪽편 미륵전 가는 길에 위치한 석련대. 불상을 놓는 받침대로서 규모가 상당히 크고, 새겨진 연꽃무늬가 화려하다. 금산사 석련대 상대부분. 연꽃이 에워싸고 있는 형태이다. 중심불전인 대적정전 앞에 있는 석련대 석련대는 석조연화대좌의 준말로 ..

[김제 모악산 금산사] 대장전 앞 석등, 범종각

금산사 미륵전과 마주하고 있는 작은 불전인 대장전 앞에는 석등이 놓여 있고, 남쪽으로는 범종각이 북쪽으로는 명부전이 있다. 대장전과 명부전 사이에는 미륵신앙을 강조하는 사찰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나무아미타불'이라고 적힌 큰 돌기둥이 자리하고 있다. 대장전 앞에 있는 석등은 고려전기에 만들어진 석등으로 그 형태가 온전히 남아있고,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금산사 석등. 받침돌과 화사석, 머리꼬대기 장식까지 온전히 남아 있다. 금산사 석등 받침돌. 아래받침돌, 중간받침돌, 윗받침돌의 3단으로 만들어졌다. 석등 화사석. 팔각형으로 되어 있고 4면에 창을 만들어 놓고 있다. 측면에서 본 석등 금산사 대장전 앞뜰에 놓여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히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보물 27호)

금산사 육각다층석탑은 원래부터 금산사 경내에 있던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던 것을 금산사로 옮겨왔다고 한다. 기단석 위에 유각형의 탑신이 12층으로 쌓여있는데 원래부터 12층인지는 알 수 없고 보통 석탑의 경우 3층, 5층, 7층 등 홀수층으로 탑을 쌓는데 내력을 정확히 알지 못해 다층석탑으로 보르는 것으로 보인다. 화강암으로 쌓은 일반 석탑과는 달리 검은색 점판암으로 탑을 쌓고 있다.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기단부는 화강석으로 탑신은 점판암으로 상륜부는 화강석으로 만들었다. 원래부터 이런 형태인지 아니면 후대에 보완한것인지 알 수 없다. 육각다층석탑 기단부. 화강석으로 쌓은 2층 기단부 위에 점판암으로 만든 2층 기단부가 따로 있다. 육각다층석탑 탑신. 원래는 몸돌과 지붕도이 모두 있었는데 지금은 상층..

김제 금산사, 불전들 (명부전, 조사전, 나한전, 삼성각, 원통전)

금산사는 대형 사찰로 많은 전각들을 두고 있다. 그 중 미륵전과 대장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근래에 세워진 건물들로 보인다. 절의 규모에 맞게 많은 전각들을 새로 짓거나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미륵전 맞은편 대적광전 서쪽에는 명부전과 대장전이 있고, 대적광전 뒷편에 조사전, 나한전, 삼성각이 있다. 특이하게 강당 동쪽에 원통전이 자리잡고 있다. 미륵전 맞은편에 위치한 명부전. 보통 지장전이라고 부르며, 죽은이의 명복을 비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어 최근 전국 대부분의 사찰에서 명부전이 신축되고 있다. 금산사 조사전.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조사당이라고 명칭하고 있는데 이 곳 금산사에서는 조사전이라 부르고 있다. 금산사 나한전. 원래는 방등계단 입구에 있던 것을 옮겼다고 한다. 사찰의 제일 뒷편에 위치하는 삼성각..

김제 금산사 대장전, 목탑에서 법당으로 변한 건물

금산사 대장전은 미륵전 정면에 위치한 작은 법당이다. 원래는 미륵전 마당 가운데 있는 목탑이었던 건물로 조선시대에 금산사가 중건될때 목조탑을 법당 건물로 바뀌었다고 한다. 전통적인 가람배치에 있어서 금당 앞에 있던 목탑으로 보인다. 지금도 지붕에는 목탑이었을때의 흔적이 남아 있다. 금산사 대장전. 앞면 3칸의 작은 건물로 지붕에 목탑이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대장전 편액. 대장전에 모셔진 석가모니불 여러 방향에서 본 금산사 대장전 금산사는『 금산사사적』에 따르면 백제 법왕(600)때 세운 절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원래 미륵전 뜰 가운데 세운 목조탑으로 불경을 보관하던 곳이었는데, 지금은 예전의 기능은 없어지고 안에 불상을 모시고 있다. 조선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짓고, 1922년에 지금 있는 위..

김제 금산사, 주불전인 대적광전

금산사의 중심불전인 대적광전이다. 원래의 건물은 1986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1994년에 복원한 건물이라 한다.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이 또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했던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불교 신앙의 흔적으로 보인다. 현재는 이 대적광전이 주불전으로 되어 있으나, 금당의 배치상으로는 통일신라 이래로 미륵전이 주불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신앙의 중심이 탑에서 대웅전을 비롯한 불상으로 옮겨지면서 주불전이 바뀐것으로 보인다. 금산사 중심 불전인 대적광전. 앞면 7칸의 규모가 큰 법당 건물로 화재로 소실된것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사찰의 중심불전인 대웅전은 앞면이 3칸 또는 5칸인 경우가 많은데 이 곳 금산사 대웅전은 7칸 규모..

김제 금산사 미륵전, 통일신라 장륙전 모습이 남아 있는 불전

금산사 미륵전은 통일신라시대 사찰의 구성 요소인 금당의 흔적이 남아 있는 많지 않은 불전 중의 하나이다. 신라 고도 경주 황룡사 금당인 장륙전의 모습을 상상할려면 이 곳 금산사 미륵전이나,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을 연상하면 될 것 으로 보인다. 장륙전은 금산사처럼 외부에서 보면 3층 건물로 보이지만, 내부는 통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산사 미륵전처럼 황룡사 장륙전 내부에는 엄청난 규모의 청동불상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 모습은 일본 나라의 동대사에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미륵전은 수차례에 걸쳐서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중건하여 오늘날까지 내려왔으며,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사찰의 오래된 전형을 볼 수 있는 건물이다. 물론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 비슷한 형태의 사찰 건물이 많이 남아 잇는 것으로 보인..

[김제 모악산 금산사] 강당인 보제루와 요사채

금산사는 전북 최대 규모의 사찰로 미륵전을 포함하여 많은 전각들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사찰 전각이 있지만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건물들도 많다. 그 중 사찰 경내 입구라 할 수 있는 누각 건물인 보제루와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들이 대표적으로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산사에는 조선시대에 지어진 12칸짜리 누각인 만세루가 있었다고 하며, 지금의 보제루는 이를 계승한 건물로 여겨진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사찰 강당이라고 할 수 있는 보제루를 볼 수 있다. 보제루는 앞면 9칸의 큰 건물로 최근에 지어진 건물로 보인다. 보제루 편액 금산사 경내에서 본 보제루 천왕문을 지나 가람의 중심에 이르면 누각 건물이 보제루이다. 앞면 7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식 건물로서 아래층은 절 앞마당으로 오르는 계단..

[김제 모악산 금산사] 당간지주

금산사 금강문 옆 도로에 위치한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금산사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재이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당간지주 중에서 완성도가 가장 높은 것이라 한다. 당간지주가 사찰입구인 금강문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은 금강문과 천왕문이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섬세하고 균형미가 있게 만들어졌으나, 장식적인 면의 거의 배제하고 있다. 금산사 당간지주. 천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그 모습이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금산사 당간지주 기단부. 기단부에 약간의 장식을 새겨 놓고 있다. 옆쪽에서 본 당간지주 뒷쪽에서 본 당간지주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당간지주는 출입문 앞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금산사는 출입문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절에 행사가 있..

[김제 모악산 금산사] 금강문, 천왕문

김제 금산사는 우리나라 최대 곡창지역인 전북의 중심지인 전주지역에 속해 있는 최대의 사찰답게 규모가 상당히 크다. 금산사의 규모와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중의 하나가 출입문이다. 보통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천왕문 또는 금강문 하나만 있으며, 수도권 지역 사찰의 경우 출입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비해 금산사는 천왕문과 금강문을 별도로 두고 있다. 현재의 금강문과 천왕문은 오래된 문화재는 아니고 내력 또한 깊지 않아 보이지만, 두개의 출입문이 있다는 것 자체가 이 사찰의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금산사 출입문인 금강문. 금강문 편액 금강문에 있는 금강역사와 동자 금산사 안쪽에서 본 금강문 금산사 천왕문 천왕문 편액 천왕문에 모셔진 사천왕상 금산사 강당에서 내려다 본 천왕문

[김제 모악산 금산사] 일주문, 들어가는 길

금산사는 전주 남쪽에 위치한 모악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로한국에 대표적인 미륵신앙 중심지이다. 금산사는 모악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지만 사찰의 형태는 평지 사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모악산을 등반하려는 등산객들이 많은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걸어가는 길은 언덕길이 아니라 가로수가 우거진 산책로 같은 느낌을 주고 있으며, 물이 많은 산이라서 그런지 도로 주변 작은 도랑으로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사찰 입구인 일주문을 지나서 금강문까지는 약 15분정도 도보로 걸어가는데 맑은 공기를 마시며 상쾌하게 걸을 수 있는 곳이다. 사찰을 찾을때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풍경인 비빔밥을 파는 식당가를 지나 포장된 도로를 따라서 걸어 들어간다. 모악산은 물이 많은 사이라서 그런지 도로옆 도랑에는 맑은 물..

[익산 미륵사지] 2개의 당간지주

익산 미륵사지에는 다른 사찰과는 달리 9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2개의 당간지주가 있다. 원래 이 곳 미륵사지에 있던 2개의 석탑 앞쪽에 각각 하나씩 당간지주가 있는데 다른 사찰과는 다른 형식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고 이 당간지주가 백제시대부터 있던 당간지주는 아니고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 당간지주와 소수서원 입구에 있는 숙수사지 당간지주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 앞쪽에 위치한 당간지주. 전형적인 통일신라 당간지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장식이 거의 없지만 균형미가 있어 보인다. 미륵사지 서쪽 당간지주 기단부. 측면에서 본 당간지주 미륵사지 안쪽에서 본 당간지주 미륵사지 동쪽편 석탑 앞에 서 있는 당간지주 미륵사지 동쪽 당간지주 기단부 당간지주는..

고창 선운사, 주불전인 대웅보전

선운사 중심불전인 대웅보전은 신라 진흥왕 때 세운 것으로 전하며,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 때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중심불전인 대웅전에 석가모니를 모시지 않고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모신 영산전이 대웅전 옆에 별도로 있는데 우리나라 사찰건물 배치중에서는 아주 특히한 형태의 건물배치이다. 대웅보전 건물은 조선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사찰건물로 규모가 크고 안정감이 돋보이는 건물이며, 단청이 화려하고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선운사 동쪽 출입구에서 본 풍경. 만세루, 6층석탑, 대웅보전과 동백숲이 나란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선운사의 중심 불전인 대웅보전. 조선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건축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건물의 규모가 큰..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숲

선운사에서 가장 유명한 존재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숲입니다. 가수 송창식이 노래 '선운사'에 등장해서 유명해진 곳입니다. 한겨울에도 푸르름을 전해주는 상록수임을 주위의 마른가지들과 비교하면 느낄 수 있습니다. 동쪽 출입문으로 들어서면 대웅전 건물 뒷편 언덕에 푸른 동백나무숲이 인상적인 풍경입니다. 가수 송창식의 노래로 유명해진 선운사 동백나무입니다. 아마도 선운사에서 가장 유명한 존재가 이 동백나무숲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보통 동백나무는 남해한 바닷가 지방에 많이 자라는 나무인데, 이 선운사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선운사 동백나무숲의 동백나무들은 수령이 꽤 오래되어서 그런지 키가 크고 울창합니다. 선운사를 들어오는 동쪽편 통로에서 보면 대웅전 뒷편으로 한겨울에도 초록으로 물든 울창한 동백나무숲을 볼..

전국 사찰 2009.12.10

고창 선운사, 영산전과 명부전

선운사는 전북 고창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규모가 큰 사찰인 까닭에 일반적인 사찰보다는 넓고 전각도 많은 편에 속한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많지 않은 불전인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이 대웅전과는 별도로 자리하고 있다. 영산전이 존재하는 까닭에 사찰규모에 비해서 명부전의 규모는 크지 않고 낮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선운사 경내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영산전과 명부전. 대웅전 옆에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선운사의 특이한 전각배치이다. 그리고 명부전도 사찰규모에 비해 작아 보인다.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 원래는 장육전이었던 것이 영산전으로 바뀌었다고 하며, 문화재로 지정된 목조삼존상을 모시고 있다. 영산전 단청과 편액. 영산전(靈山殿)은 대웅보전의 서쪽에 위치하며 정면 5칸, 측면 3..

[고창 도솔산 선운사(禪雲寺)] 만세루(萬歲樓), 경전을 강의하던 강당

선운사는 평지에 터를 잡고 있기때문에 보통의 사찰들처럼 대웅전앞을 들어갈때 누각을 밑을 지나서 계단을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천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만세루가 있고 이를 돌아서 들어가게 되어있다. 만세루는 선운사를 창건할 당시부터 있었다는 건물로 알려져 있으며 건물의 규모가 보통의 사찰누각보다 커서 많은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게 되어 있다. 앞면 9칸의 상당히 규모가 큰 건물로 객사를 연상시키는 건물이다. 선운사 경내 대웅보전 앞 마당 한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 만세루. 보통 일반적인 사찰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기때문에 만세루 등의 누각 밑을 통과해서 중심불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지만 선운사는 평지에 자리잡고 있어 경내 한 가운데에 만세루가 자리잡고 있다. 선운사의 출입문인 천왕문을 들어서면 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