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 안성에 자리잡고 있는 안성객사입니다. 객사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중앙관리가 잠시 머무는 숙소역할을 하는 곳으로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규모에 걸맞는 규모의 객사를 갖추고 있습니다. 안성은 전국에서 평균에 가까운 규모의 지역으로 전형적이 객사를 갖추고 있습니다. 원래는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현재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안성객사는 고려시대부터 있어 왔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려의 주심포계 양식이 남아 있는 많지 않은 건물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객사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 수령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정청과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좌우 익실로 구성되어 있다.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 고려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쓰여진 기와는 조선 숙종 21년(1695)에 고쳐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원래 읍내의 관아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일제시대에 명륜여자중학교로 옮겨졌다가 1995년에 해체·수리되어 지금의 위치에 세워졌다. 업무를 보던 정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에 지붕 옆면에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하고 있는 맞배집의 정청이 가운데 있고, 양 옆에는 앞면 2칸·옆면 2칸에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 붙어있는 형식이다. 정청은 기둥 머리 위에만 지붕의 처마를 받치는 공포를 얹은 주심포계 양식이다. 기둥 높이에 비해 기둥 사이의 거리가 좁고 가운데가 가늘게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해 기둥 가운데를 약간 굵게 하는 배흘림기법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해체·수리 때 조사한 결과 일제시대에 옮겨지면서 기둥 아랫부분이 잘려나가고 기둥 사이의 거리도 줄여져서 생긴 현상이다. 이 객사는 우리나라에서 몇 개 남아 있지 않은 고려 주심포계 양식의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출처:문화재청>
반응형
'조선 관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선성현객사(宣城縣客舍), 안동댐 아래 (0) | 2010.09.21 |
---|---|
홍산객사, 부여에 속한 4개 군현 중 하나인 홍산현 관아 (0) | 2010.09.21 |
평택 팽성읍 객사, 조선시대 객사의 전형적인 모습 (0) | 2010.09.21 |
창녕 객사, 벽면과 창호가 없는 특이한 객사건물 (0) | 2010.09.21 |
인천도호부청사 동헌, 도호부사 집무공간 (0) | 201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