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한국민속촌에 복원해 놓은 한옥 중 북부지방 민가이다. 'ㄱ'자형 안채와 사랑방이 있는 '-'자형 문간채, 광채로 구성되어 있는 가옥으로 규모는 크지도 작지도 않은 규모로 중농정도의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던 집으로 보인다. 추운 북부지방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구조로 전체적으로 'ㅁ'자형으로 건물을 배치해서 마당으로 추운 겨울바람이 적게 들어오게 만들어 놓고 있다. 또한 남부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큰 대청마루나 마루방, 툇마루 등을 두고 있지 않는 반면에 방은 남부지방에 비해서 상대적 크게 만들어 놓고 있다.
북부지방 민가
북부지방의 민가를 복원한 것으로 중부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ㄱ'자형 안채와 '-'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민가이다. 남부지방 민가와는 대조적으로 마루나 마루방이 따로 없다. 반면 추운 겨울에 부엌과 방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규모가 크게 구성되어 있다. <출처:한국민속촌>
'ㄱ'자형으로 된 안책. 앞면4칸 규모로 몸체에는 큰방 2개와 큰 부엌, 날개채에는 작은 방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청마루나 툇마루를 두고 있지 않다. 대신에 안방 앞에는 평상을 두어서 툇마루 역할을 하고 있다.
큰 방 2개는 베짜기 등의 작업을 위한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방문 앞네 툇마루 대신 평상을 놓아 두고 있다.
큰 방에는 무명을 짜는 베틀을 비롯한 도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큰 방은 안방이라기보다는 남부지방의 대청마루와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다.
실제 이집 안주인이 거주하던 안방은 남부지방 한옥의 안방과 그 규모가 비슷하다.
안채 굴뚝
날개채에는 작은 방 하나와 큰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엌이 상당히 넓은데 작업공간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안채 뒷마당.
방 2개와 부엌, 디딜방아가 있는 문간채. 사랑방이 있어 사랑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집 주인이 머무는 공간인 사랑방. 책상이 놓여 있어 선비계층이 살았던 집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문간채에는 1칸정도의 크지 않은 규모의 부엌이 별도로 있다.
문간채 옆으로는 개방된 공간이 있는데 디빌방아를 비롯하여 각종 연장들이 놓여 있다. 문간채 외벽이 바람을 막아주기때문에 남자들이 가마니짜기 등 각종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보인다.
안채 한쪽편에 있는 각종 농기구들. 지금도 농촌에서 볼 수 있는 광경으로 이런 목재농기구 대신 트택터에 부착하는 연장들이 집한쪽편에 쌓여 있다.
앞면 2칸규모의 '-'자형 광채
대문을 들어서면 볼 수 있는 북부지방 민가 전경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민속촌 한옥, 남부지방 소농가 (0) | 2011.05.17 |
---|---|
용인 한국민속촌, 남부지방 중농가 (시골 선비집) (0) | 2011.05.16 |
한국민속촌 한옥, 북부지방 민가 (중소지주계층 가옥) (0) | 2011.05.07 |
한국민속촌 한옥, 남부지방 민가 (지주계층 가옥) (0) | 2011.05.05 |
한국민속촌 한옥, 남부지방 소농가 (0) | 201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