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용인 한국민속촌, 남부지방 중농가 (시골 선비집)

younghwan 2011. 5. 16. 15:49
반응형


 용인 한국민속촌에 '남부지방 중농가'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한옥이다. 전형적이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자형 주택으로 나름 격식을 갖추어서 지은 한옥이다. 넓은 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며, 전체적을 방의 갯수도 많고 넓게 지어진 주택으로 농업에 종사하던 농민계층이 살던 집은 아니고 나름 전통이 있다고 생각하는 시골선비가 살던 집이라고 한다. 

 방 4개, 부엌, 대청마루로 된 안채는 살림집으로는 부엌이 큰 편이며, 대청마루는 그리 넓지 않은 편이다. 반면에 사랑채에는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이는 시골선비로 종손이나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집안의 장자로 집안행사나 제사가 많았던 집이 아니었나 생각되며, 안채에는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감실도 두고 있다고 한다. 가옥의 규모는 큰 편이지만, 문간채나 큰 대문을 별도로 두고 있지는 않고 있다.

남부지방 중농가
전형적인 남부지방의 농가양식이지만 유래 있는 시골 선비집이다. 안채와 사랑채가 모두 일자형이며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에는 4칸 규모의 큰 대청과 두 개의 큰 방을 갖추고 있어 남부지방 가옥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안채에는 찬 칸을 별도로 두었으며, 조상의 신위를 모신 감실이 설치되어 있다. <출처:한국민속촌>


'-'자형으로 된 이 가옥의 안채는 앞면 5칸에 옆면 3칸 정도로 큰 편에 속하는 건물이다. 오른쪽 2칸을 부엌과 부엌방으로 쓰고 있으며, 가운데는 안방과 대청마루, 왼쪽편에는 방 2개가 있어서 대가족이 살던 집으로 보인다.


부엌과 부엌방이 크게 2칸을 차지하고 있는데, 식구가 많고 집안행사가 많았던 집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엌 내부에는 3개의 아궁이를 두고 있다.


가운데 2칸에는 안방과 대청마루가 있는데, 안방에는 작은 쪽문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안방내부


안채에 대청마루를 크게 두고 있지는 않으며,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감실을 두고 있다.


안채 오른편에는 큰 방 2개을 두고 있다.


안채 앞 툇마루


사랑채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큰 대청마루와 사랑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골 선비집인 이 가옥의 사랑방에는 책상과 문방구들이 있어야 하지만, 지금은 대나무 공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집안 행사나 작업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사랑채의 넓은 대청마루


각종 농기구들을 두었을 사랑채 뒷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