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민간음악은 민간계층에서 즐겼던 농악, 판소리, 민간신앙인 굿에 사용하던 음악과 궁중음악이 민간으로 확대되었다고도 볼 수 있는 거문고와 가야금 등 상류계층에서 즐겼던 음악이 있었다. 그 중 선비층을 중심으로 한 상류계층이 가장 많이 즐겼던 악기는 거문고였다고 한다. 현대의 젊은이들이 즐겼던 통기타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선비들은 거문고를 상당히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상류사회를 형성했던 양반가에 전해오는 유물 중에서 거문도가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들이 거문고 연주와 시을 읊으면서 지인들과 교류했던 모습은 그림이나 기록으로 많이 남아 있다. 가야금은 선비계층에서 즐겨 연주했던 악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많은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주로 기생들이 양반들을 위해서 연주했던 것이 악기가 아닌가 생각된다. 전국에 많이 남아 있는 정자와 누대에서 펼쳐졌던 수많은 연회와 모임에서 거문고와 가야금이 연주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흔히 풍류라 말하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민간음악
조선후기에는 왕실 중심의 음악이 민간으로 확대되고 발전하는 시기이다.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이끌었던 선비들은 거문고를 배우고 익힘으로서 몸과 마음을 다스렸다. 당시 거문고의 연주법과 악곡을 수록한 다양한 악보가 널리 유행하였다. 궁궐 밖에서 일어나는 다채로운 행사에는 어김없이 삼현육각(피리2, 대금.해금.장구.좌고)를 연주하였으며 백성들은 생활 속에서 다양한 음악을 즐겼다. 판소리는 대중들의 사랑을 받으며 전문 소리꾼이 나오고 대본인 사설집이 유행하였다. 생업으로 바쁜 서민들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구로 다양한 악기를 만들어 생활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였다. 굿판의 악기는 서민들의 소망을 하늘에 전해 줄 매개체로서 그 지역마다. 특성있게 발전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옛 가락에 담긴 선비의 풍류
풍류란 마음의 여유를 갖고 자연과 더불어 즐겁게 살아가는 멋과 지혜이다. 선비들은 몸과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거문고를 연주하고 노래를 불렀으며, 전문 악사와 어울려 풍류를 즐겼다. 선비들은 거문고 뒷판에 평소 좋아하는 격언이나 가치관을 새겨 연주할 때마다 바른 마음을 기르고자 하였다. 또한 자신이 즐겨 연주하는 곡을 악보로 만들어 소장하고 후손들에게 남겨 가문에서 지속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홍도와 같은 뛰어난 화가들이 풍류생활을 그림으로 남겨 당시 선비들의 멋과 운치를 느낄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회명정측.금제도설, 윤선도의 음악이론서이다. 윤선도가 저술한 음악서적인 <회명정측>에는 <금제도설>이라는 항목 아래 현악기의 제작방법과 사용법을 그림과 함께 자세히 수록해 놓은 기록이 있다.
후원유연, 김홍도, 바위 그늘이 있는 후원에서 한 남자가 거문고 연주를 감상하는 장면이다. 그림 상단의 주소백이라는 제시 중 영산오성은 거문고로 연주하는 영산회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곡원류, 선비들의 인기노래책, 영조35년(1759), 고종 13년(1876) 박효관과 안민영이 편찬한 시조집이다. <가곡원류>에는 당대 유행한 시조가사를 많이 수록하였으며 부르기에 편하도록 부호를 표시하였다.
창량보, 유홍원의 거문고 악보, 정조 3년(177). 조선후기 거문고와 비파의 명인 김성기의 거문고 가락을 담은 악보이다. 이 악보는 유홍원이 자신의 거문고(양양금)을 탈 때 참고하였던 것이다.
낭술신보, 거문고의 달인 김성기의 악보, 정조 12년(1765). 영조 때 활동한 거문고와 비파의 달인 김성기의 거문고 가락을 수록한 악보로 김성기의 아들과 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고산유금, 고산 윤선도가 남긴 거문고, 뒤판에 고산유금이라고 적혀 있으며 앞판에는 거문고를 타는 이의 마음가짐을 노래한 시 '금계'가 새겨져 있다.
석탄금, 석탄 이신의 거문고. 석탄 이신의 친구 이술일에게 유배 생활 동안 마음을 수양하기 위한 거문고를 구해 달라고 하여 얻은 거문고이다.
병와 이형상의 거문고, 병와 이형상이 제도도 목사를 사임하고 돌아올 때 그의 선정을 기려 선물한 거문고로 전해진다. 거문고 판에 유래를 기록한 서문이 새겨져 있다.
양양금, 강포 류홍원의 거문고, 영조2년(1726). 1726년 양양 낙산사 이화정에 서 있던 오동나무로 만들어 '양양금'이라고도 한다. 거문고 바닥에 류홍원이 쓴 시가 초서로 새겨져 있고, 안쪽 면에 1777년에 제작한 과정이 적혀 있다.
옥동금, 옥동 이서의 거문고. 옥동 이서가 직접 만들어 연주하던 거문고로 그의 거문고 연주 솜씨는 당시 여러 시집과 문집에 나타날 정도로 유명하였다.
탁영금, 탁영 김일손의 거문고, 보물 957호, 성종 21년(1490). 탁영 김일손은 언제나 거문고를 옆에 두고 연주연습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거문고 앞판과 뒷판에 좋은 글귀를 적어 놓아 연주할 때마다 바른 마음을 기르려고 한 노력이 보인다. 보물로 지정된 유일한 거문고이다.
석천한유도, 석천 전일상의 가야금 풍류 그림, 영조 24년(1748). 누마루가 있는 정자에서 음악을 들으며 석천 전일상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류 그림이다. 특히 가야금 끝에 보이는 양이두의 형태는 가야금을 타는 신라 토우나 <악학궤범>에 실린 가야금의 모습과 유사하다.
흥선대원군 가야금.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가객들과 함께 개인적으로 풍류를 즐겼다. 이 가야금은 흥선대원군의 풍류방에서 나온 것으로 보아 흥선대원군의 악기로 추정되며, 구조가 정교하고 소리가 청아한 명금으로 전해온다.
졸장만록, 가장 오래된 가야금 악보, 정조 20년(1796)에 쓰여진 편자 미상의 가야금보로 현재까지 발견된 가야금 악보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졸장만록>에는 가야금 학습과정, 가야금 연주곡 등이 설명되어 있다.
* 자료출처: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중앙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박물관 특별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꽃 (0) | 2011.07.24 |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조선시대 민초들의 음악 (0) | 2011.07.17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조선시대 궁중음악과 국립국악원이었던 장악원 (2) | 2011.07.12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조선시대 우리 음악의 성립과 발전 (0) | 2011.07.10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악기 우리음악, 통일신라와 고려의 음악 (0) | 201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