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부여박물관] 백제 창왕명석조사리감 (국보 288호), 능산리사지 출토 금속공예품과 소조상

younghwan 2012. 6. 5. 00:26
반응형


 국보 288호로 지정된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은 백제 마지막 왕들의 고분이 있는 능산리 절터 목탑지에서 출토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사리감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라 한다. 창왕은 백제 27대 위덕왕을 일컫는 명칭이며, 그의 아버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만든석으로 능산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에서 발견되었다. 이 사리감에는 창왕의 여동생인 공주가 만들어 사리와 함께 봉안했다는 글씨가 중국 남북조 시대의 서체인 예서풍의 글자로 적형 있다. 이 사리감은 백제 역사 연구에 중요한 금석문 자료로, 사리를 봉안한 연대와 공양자가 분명하게 적혀 있어 이 절의 창건연대와 이 절터에서 출토된 백제금동대향로의 제작연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또한 능산리절터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목탑이 있던 터에서는 흙으로 빚어서 만든 소조불상과 인물상 파편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불상들이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는데, 그 중 이곳에서 출토된 흙으로 빚어 만든 소주불상은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소조불상은 대승불교 전파 경로이자 실크로드에 존재했던 많은 도시들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던 큰 사찰인 능산리절터에서는 소조불상이나 인물상이 많이 있었던 것은 중국을 거쳐서 서역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금속공예품들은 절터에서 골고루 출토되는 편이지만, 백제금동대향로를 만들었던 공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터에서 많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인다.


백제 창왕명석조 사리감
목탑지 심초석 위에서 발견된 사리감은 아래가 편평하고 위가 둥근 아치형으로 무덤의 입구를 연상시킨다. 앞면에는 '백제 창왕 13년 정해년(567년)에 누이인 형공주가 사리를 공양하였다'고 한자로 적혀 있다. 창왕 즉 위덕왕은 성왕의 아들로 백제의 왕릉이 있는 능산리에 절을 세워 아버지의 넋을 기리고, 불교를 통해 성왕이 이루지 못한 백제 중흥의 꿈을 실현코자 하였다. 이 사리감은 위덕왕의 이러한 간절한 염원을 생생히 전해주고 있다. <출처:부여박물관>



백제 창왕명 석조 사리감, 국보 288호, 부여 능산리 절터


사리감에 새겨진 글씨. 중국 남북조시대의 많이 사용된 예서체로 적혀 있는 이 글씨는 당시 백제와 중국과의 교류관계를 보여줄 뿐 아니라 이 절의 창건 연대를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불신편, 부여 능산리 절터 목탑지


소조불, 부여 능산리절터 외곽사역


소조상 조각, 인물상, 소조상, 능산리절터 중문지, 목탑지

백제에서 처음 바쳐진 사리공양
목탑지 심초석 주변에서는 사리감과 함께 불상, 금공품, 유리구슬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물 중에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장신구로 목탑 가운데에 세우는 기둥과 받침돌을 놓을 때 함께 바쳐진 사리공양구이다. 이러한 양상은 인도, 중국 등지에서 확인되는 초기 사리 공양의 모습과 일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장치인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과 더불어 한국 사리장엄의 역사가 백제 위덕왕이 567년에 세운 능산리 절에서 시작되었음을 말해준다. <출처:부여박물관>



유리구슬, 은제구슬, 유리옥, 곱은옥, 은제 허리띠 꾸미개, 은제구슬, 동제 팔찌


유리옥, 순금조각, 은판, 동제 허리띠꾸미개, 능산리 절터


소조 꾸미개, 능산리 절터 목탑지


동제 고리, 금동 귀걸이, 능산리 절터

진흙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금속공예품
능산리사지에서 발굴된 금속공예품을 통해 백제의 금속 주조 및 세공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금동과 은 판불은 백제 금속공예품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타출기법으로 만들어졌다. 특히 금동 판불에는 삼존불이 표현되어 있다. 누금구슬과 원추형 누금장식은 금알갱이들을 접합하고, 부분적으로 구멍을 뚫어 가는 금실로 테두리를 장식하여 매우 세련된 금 세공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모자방울 또한 백제의 독특한 금속공예품으로 방울 몸통에 작은 방울을 사방에 매달았다. <출처:부여박물관>


금동 판불, 부여 능산리절터 목탑지


금구슬, 금제 원추모양 장식, 부여 능산리 절터


금동투조꾸미개, 부여 능산리절터 공방지


금실, 부여 능산리 고분군


금구슬, 금박, 금제품, 부여 능산리 절터


금제 연꽃무늬꾸미개, 모자방울, 부여 능산리 절터


철못, 부여 능산리 절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