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청주박물관] 충북지역의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

younghwan 2013. 1. 16. 15:32
반응형


 충북지역은 남한강 중류지역에 위치한 충주, 단양, 제천지역과 금강 중류지역에 해당되는 청주 지역을 중심으로 인류가 한반도에 정착했던 구석기시대 이래로 많은 주거 유적들이 남아 있다.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유적들은 문화와 경제가 발전했던 한.중.일 해상무역로에 위치한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인 고인돌이 분포하는 지역이 주로 청동기시대 유적지라고 할 수 있다. 충북지역은 큰 강이 있고, 농업에 적합한 지역이 많기는 하지만 청동기시대 유적이라 할 수 있는 고인돌은 서남해안지역에 비해서 많이 발견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인 고인돌이 충북지역에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청주지역을 비롯하여 여러지역에서 농경생활을 영위했던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남겨놓은 여러 유적들 남아 있는 것으로 볼때 이 시기에도 큰 세력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규모의 사람들이 이 지역에 정착해서 삶을 영위했던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 마을과 농경
청동기인들은 구릉과 충적대지에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은 생활공간인 움집을 비롯하여 생산공간인 논과 밭, 의례공간인 무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가 큰 마을 주변에는 방어를 위해 도랑을 파고 나무울타리를 세우기도 하였다. 농경은 청동기시대의 주요 생업이며, 쌀농사와 함께 보리.밀.조 등의 잡곡농사도 지었다. 간석기 제작 기술도 발달하여 반달돌칼.돌낫.돌칼.돌보습.곰배괭이 등의 다양한 농경구가 제작되어 농사에 이용되었다. <출처:청주박물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농기구들


곰배괭이(Stone Hoe, 청주 비하동, 청동기시대). 돌보습(Plowstones)은 땅을 갈 때 사용한 도구로 농사에 이용하였다. 돌을 베어내어 보습을 만들고 일부분을 나무자루에 끼워 사용하였다
 

돌칼(Stone Knives, 충북지역), 반달돌칼은 반달모양으로 생긴 돌칼로 곡식의 이삭을 꺽는데 사용한 도구이다. 구멍에 끈을 매에 손에 쥐고 사용한다.


갈판과 갈돌(Grinding Stones, 청주 내곡동, 청동기시대), 도토리.보리.밀.


돌도끼(Polished stone Axe),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양쪽 날 돌도끼는 주로 나무를 베는데 사용되었고, 한쪽날 돌도끼는 벌목한 나무를 가공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자귀.홈자귀.대팻날 등이 있다.


대팻날(Stone Plane), 돌끌(Stone Shisels), 홈자귀(Grooved Stone Adzes),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가락바퀴, 그물추, 대롱옥, 곱은옥(충주 조동리)


자귀자루, 괭이, 고무래, 망치, 청원 장대리 출토 유물, 초기철기시대


민무늬토기(청원 내수리), 붉은간토기(청주 봉명동)


민무늬 토기바닥(청원 장대리), 겹아가리토기(청주 용정동)


민무늬토기(청주 용정동), 민무늬토기(청주 내곡동)


돌화살촉(Stone Arrowheads), 화살의 일부분에 끼워 사용된 돌화살촉은 슴베가 없는 것과 슴베가 달린 것이 있다. 무덤에서 출토되는 길이가 긴 돌화살촉은 껴묻거리로 제작된 것이다.


돌창(Stone Spearheads), 간돌검(Polished Stone Daggers),  청동기시대, 충북지역

돌화살촉(Stone Arrowhead),


제천 황석리출토 유물, 달모양 도끼(Disk-shaped Stone Axe), 달모양으로 생긴 도끼로 둥근 구멍에 자루를 끼워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농경도구나 무기 또는 권위를 상징하는 도구로 보기도 한다.


영동 유전리 출토 유물, 붉은간토기(Red Burnished Pottery, 청원 병암리), 붉은간토기(제천 양평리), 충주 하천리 출토유물


청동기 사회의 변화. 기원전 4세기 무렵의 청동기시대 후기부터는 한국식동검 (또는 세형동검)이 청동의기.청동거울.옥 꾸미개.검은간토기.덧띠토기 등과 발견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철기문화가 들어오면서 청동기사회는 큰 변화를 겪기 시작하며, 점차 마한의 여러 소국으로 변화 발전해 간다. <출처:청주박물관>


덧띠토기(청원 마산리), 검은간토기(충주 금릉동), 청주 비하동 출토유물, 초기철기


잔무늬거울(청원 주성리), 청동밀개(청원 주성리), 한국식동검(충주 본리), 초기철기시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