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지역박물관

[청주박물관] 신라, 삼국통일의 발판 중원

younghwan 2013. 1. 28. 16:31
반응형


 충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한강 유역은 5세기에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면서 고구려가 지역 패권을 차지하고, 백제는 수도를 웅진(공주)로 옮기게 된다. 고구려는 충주에 국원을 설치하고 충북지역 주요 거점에 산성을 쌓으면서, 서쪽으로는 청주일대로 진출하여 백제를, 남쪽으로는 소백산맥 너머 신라를 압박하게 된다. 이에 위협을 느낀 신라와 백제는 협력하여 대항하기 시작하여 551년에는 한강유역에서 고구려세력을 축출하게 된다. 이후 한강유역은 백제와 신라간 경쟁의 결과 신라가 장악한다. 삼국시대 신라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진흥대에 신라는 한강유역에서 북상하여 함경도 남부지역까지 장악하면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때까지 이 지역 패권을 유지하였다. 죽령 너머에 위치한 단양 적성산성에서 발견된 신라적성비는 당시 신라가 남한강 유역을 확보했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신라는 한강일대 세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남한강 일대에 많은 산성을 쌓고 충주에는 국원소경, 청주에는 서원소경을 설치하여 지배계층을 이주시킨다. 충북지역에는 당시 이주한 지배계층의 무덤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 중 충주 누암리에는 270여기에 이르는 신라 지배층의 고분군이 남아 있다. 이때 신라는 가야에서 투항한 세력들을 충북지역에서 이주시켰는데 삼국통일에 큰 역할을 한 김유신장군이 대표적인 이 지역 가야세력을 대표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충주 탄금대에서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였다는 이야기 또한 당시 가야계 세력의 이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신라, 삼국통일의 발판 중원
신라는 5세기 무렵부터 소백산맥 이북 지역으로의 진출을 꾀하여 6세기 중반 이후에는 충북지역을 세력권에 넣고, 한강유역 진출과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백제와 군사동맹을 체결하고 고구려를 방어한다는 것을 명분으로 보은에 진출하여 삼년산성을 쌓은 뒤 점차 백제 영역을 잠식하였다. 영동.옥천 지역의 신라무덤과 청원 미천리 무덤, 진천 교성리무덤 등은 신라 세력이 금강유역까지 미쳤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증거들이다. 단양에서 발견된 신라적성비와 단양 하방리무덤과 충주 하구암리 무덤 등의 유적과 유물은 신라가 죽령을 넘어 남한강유역까지 확보하였음을 보여준다. <출처:청주박물관>


청원 미천리유적 출토유물, 신라 돌덧널무덤 14기가 조사되었다. 미천리무덤은 5~6세기 무렵 신라가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금강유역권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려준다.


목항아리(Long necked jar, 신라, 괴산 검승리), 굽다리접시(Mounted Dishes, 신라, 보은 원정리), 목항아리(신라, 보은 성주리), 단지(신라, 보은 성주리). 보은 원정리는 평야가 없는 산간 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상주와 보은을 연결하는 교통로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신라의 보은 진출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진천교성리 출토유물, 돌덧널무덤 24기와 돌방무덤 1기 등 총25기의 신라무덤이 확인되었다. 교성리무덤은 6세기 후반 진천지역이 신라에 편입된 직후 이 지역에 거주하게 된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철제품(Iron Implements), 신라, 청원 미천리


말갖춤(Harness), 신라, 보은 성주리


단양 하방리 유적 출토유물, 단양 적성산성 남서향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 돌덧널무덤이다. 6세기 중엽 이후 신라가 죽령을 넘어 남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무덤으로 추정된다.


충주 하구암리유적 출토유물,  2007~2008년 조간이산 서쪽 사면에서 돌방무덤 35기, 돌덧널무덤 31기 등 모두 66기의 신라무덤이 확인되었다. 인근의 누암리고분군과 더불어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의 국원소경(지금의 충주) 경영과 관련하여 만들어진 무덤으로 추정된다.


단양적성비 조각, 신라, 단양 하방리

산성은 말한다.(Mountain Fortresses)
충청북도 지역은 삼국의 힘이 서로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때문에 고구려.백제.신라 삼국간의 영토 확장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격전의 주 무대가 되었다. 자연스럽게 죽령, 계립경, 추풍령 등의 주요 고갯길의 길목이나 남한강, 금강의 물줄기를 따라 발달된 교통로의 주요 거점 지역에는 성곽의 축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때 축조된 성곽은 대개 하천이나 평야지대를 끼고 있는 구릉성 산지에 입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후 주변 지역이 군사적으로 안정이 되면 산성은 행정적 지배를 위한 처소로도 활용되었다. 충청북도 각 지역에 만들어진 수많은 산성은 삼국이 뺏고 뺏기는 치열한 공방을 펼쳤던 역사를 묵묵히 말해주고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재갈(Iron Rein, 신라, 충주 충주산성), 차관(Wagon Wheel Hub, 신라, 보은 삼년산성),


쇠못(Iron Nails, 충주 충주산성), 단명 방형의 쇠못으로, 표면 일부에 목질흔이 남아 있다. 성문을 짜는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확쇠(Iron Saucer on which a door pivots, 신라, 보은 삼년산성), 문지도리의 장부가 들어가는 데에 끼는 확처럼 생긴 쇠이다. 성문 기둥에 고정하여 성문을 여닫을 때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암수 확쇠가 결합된 상태이다.


갑옷(Iron Armor), 백제, 음성 망이산성, 사람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방어용 무구이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판갑옷이 주로 긴 철판을 세워서 연결한 종장판계 판갑옷임에 반하여, 철판을 가로로 연결하여 만든 횡장판계 판갑옷이다.


도장글씨기와조각, 신라, 청주 부모산성, 마치 도장을 찍어 놓은 듯하여 도장글씨기와라고 부른다. 주로 백제 사비시대 유적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백제가 늦은 시기까지 청주 부모산 일대를 거점으로 신라와 치열한 공방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쇠솥, 백제, 음성 망이산성,


연꽃무늬수막새, 등잔, 신라, 보은 삼년산성


말, 돼지, 신라, 보은 삼년산성,


동관(Bronze Crown), 신라, 단양 하리, 관테의 앞.뒤와 양 옆에 '出'자 모양의 세움장식 4개가 구리실로 고정되어 있다. 동관은 맞새김기법.찍어새긴 점선무늬. 달개장식 등 신라 금속제 관의 제작기법이 나타나 있다. 6세기중반 ~7세기 초에 그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당시 신라가 단양지역을 장악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두개의 작은 서울, 국원소경과 서원소경
충청북도는 삼국시대 말부터 신라문화가 빠르게 퍼졌으며, 충주에 국원소경(중원경), 청주에 서원소경(서원경)이 설치되는 등 정치.군사.행정적인 면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었다. 국원소경(557년)은 신라 5소경 중에서도 가장 중심적인 지방도시로 존속기간 역시 가장 길다. 그에 따라 이름도 국원소경,중원소경,중원경 등으로 변화되었다. 서원소경은 685년 남원소경과 더불어 가장 마지막에 설치되었고, 경덕왕대에 서원경으로 바뀌었다. 지금의 청주시와 그 주변을 직할지로 하고 있었다. 서원경은 경주 왕경처럼 6부가 존재하는 행정도시의 모습을 갖추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출처:청주박물관>


충주 누암리유적 출토유물, 누암리 유적은 270여 기의 무덤이 7개 구역에 나뉘어 수십기씩 군집을 이룬채 분포하고 있다. 충북지방 최고 위계의 고분군으로 6~7세기를 중심연대로 하고 있다. 국원소경을 경영하였던 신라계 지배층의 대규모 집단무덤이다.


허리띠 꾸미개, 고대 사회에서 장신구는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화 신분을 나타낸 상징물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인들은 신분에 따라 다른 문양으이 허리띠를 착용하였다. 무덤에서 출토된 허리띠 구미개를 보면 왕족은 금.금동 허리띠를, 귀족이나 지방의 지배계층은 은.청동 허리띠를 착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허리띠가 무덤에 출토될 때에는 천과 가죽은 모두 부식되어 없어지고, 그 표면에 장식되었던 금속판만 남게된다. <출처:청주박물관>


허리띠꾸미개(통일신라, 음성 문촌리) 당나라식의 허리띠꾸미개이다. 7세기 중엽 이후로는 경주와 지방의 지배계층 무덤에서 이러한 형태의 허리띠 꾸미개가 출토된다. 이는 신라가 통일을 전후하여 중국복식을 도입하여 적어도 관복은 당의 것을 따르면서 나타난 변화로 추정된다. 허리띠꾸미개(신라, 충주 하구암리) 띠고리.띠꾸미개.띠끝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띠꾸미개는 역심엽형으로 드리개 등을 달기 위한 둥근 고리가 달려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연꽃무늬 수막새, '사' 글자기 있는 기와조각, 통일신라, 충주 탑평리. 충주 탑평리유적 출토 유물, 충주 가금면 탑평리 일대는 신라가 중원지역에 진출한 후 557년에 설치한 국원소경의 치소 중 하나로 꼽힌다. 아직까지 행정치소나 도시구획에 의한 시가지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국원소경이 조영될 무렵의 생활유적과 생산시설이 계속 확인되고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도장무늬 뚜껑(충주 안보리), '관'글자가 있는 토기 뚜껑(충주 안보리), 주름무늬 병(증평 미암리), 통일신라


도장무늬병(영동 가곡리), 도장무늬 합(영동가곡리), 통일신라


신라촌락문서, 통일신라, 복제품, 일본 정창원 소장, 화엄경론 두루마리를 말아 보관하는 화엄경론질 안에 붙어 있는 문서이다. 화엄경론질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수리 후 화엄경론질 안에 넣어진 채 봉인하여, 지금은 사진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닥나무 종이 2매에 지금의 충북 청주(서원경)에 가까운 네 개 마을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마을별로 문서가 작성되었다. 가구를 빈부에 따라 9등급으로, 사람들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논과 밭, 삼밭의 면적, 소와 말의 수, 뽕나무 등의 수를 기록하였다. 세금을 걷고 노동을 부과하는 기초장부로, 3년마다의 변동치도 기록하였다. 작성시기는 695년(효소왕 4), 755년(경덕왕 14) 등으로 논의가 갈리고 있다. 통일신라시기 마을의 모습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숟가락, 통일신라, 청주 용정동


청주 용담동유적 출토 유물, 서원경이 설치되었던 청주에서 확인된 통일신라시대의 대규모 무덤유적이다. 용담동고분군은 일반적인 통일신라무덤과는 달리 좁은 지역에서 많은 무덤이 조사된 점이 특징이다.


'관' 글자가 있는 기와조각, 청원 쌍청리, 고대에 기와의 사용이 중앙세력에 의해 공공의 목적을 지닌 관청이나 사찰에 주로 공급되었기에 '관'명이 자주 쓰였다. 위 명문도 '官'과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대중 3년' 글자가 있는 기와조각, 통일신라, 청주 흥덕사지, '대중'은 당나라 선조으이 연로 그 3년 서기 849년(문성왕11)이다. 적어도 이 시기에 이미 절이 세워졌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통일기에 청주지역에 불교문화가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 '양오가불촌주' 글자가 있는 기와조각, 청원 쌍청리, 청원 쌍청리 다중환호에서 출토되었다. 기와가 출토된 쌍청리 일대가 '양오가불촌'이었거나 기와를 제작한 촌의 이름으로 판단된다. 쌍청리와 인접하여 서원경이 존재한다. 명문을 통해, 쌍청리 다중환호가 서원경 세력의 영향하에 축조되었으며, 다중환호를 직접 경영한 세력이 양오가불촌주라고 추정할 수 있다. <출처:청주박물관>


충주 운천동 신라 사적비, 통일신라, 청주 운천동, 이 비는 통일신라시대 청주의 어떤 사찰에 관한 내용을 담은 사적비로 685년 서원경 설치와 관련하여 청주가 지방의 중심도였음을 알려준다. 비문은 불법을 찬양하고 임금의 덕을 칭송하며 삼국통일의 위엄을 기리는 내용으로 관직명과 승려 이름이 있어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출처:청주박물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