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경희궁 숭정전, 법당으로 쓰이는 비운의 궁궐 전각

경희궁 숭정전 건물은 서궐이라고 불리던 경희궁의 정전으로 일제 강점기때 해체되어서 일본인 사찰의 법당으로 쓰이다가 지금은 동국대 캠퍼스 정문 언덕에 남아 있다. 조선후기 광해군때 지은 건물로 일제가 경희궁을 없애고 일본인 학교인 현 서울고등학교를 설립하면서 떠도는 신세가 되었던 비운의 건물이다. 경희궁은 국왕이 항상 머무는 곳이 아니라 지방의 행궁처럼 임시로 머무러던 이궁으로 크게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궁궐의 정전인데 이를 허물어서 사찰 법당으로 사용했다는 것에서 일제나 당시의 우리나라 사람들의 문화재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을 느끼게 한다. 이 전각은 남산 기슭에 있는 조계사 법당으로 쓰다가, 1976년에 이 곳 동국대학교로 옮겨져서 학교법당인 정각원으로 쓰이고 있다. 여러차례 장소를 옮기고 궁궐 ..

궁궐_종묘 2010.09.03

[서울 덕수궁] 처마끝 잡상들, 그외 이모저모

덕수궁에는 모든 건물의 처마에 잡상이 있는 것은 아니고 왕이 거처하거나 공식적인 건물에만 처마끝을 잡상들로 장식하고 있다. 중화문, 중화전, 함녕전, 덕홍전 만이 잡상들이 처마끝에 있다. 덕수궁 정전인 중화전 처마끝의 잡상. 공식건물인 덕홍전 잡상 물론 고종이 마지막으로 거처한 함녕전 잡상 중화전 입구인 중화문의 잡상들 입구에서 본 덕수궁의 풍경 우리나라와 조선을 상징하는 왕인 세종대왕 동상 보수중인 부분들.....

궁궐_종묘 2010.06.10

서울 덕수궁 - 편전인 석어당과 덕수궁내 여러 출입문과 돌담

덕수궁에서 왕이 집무를 보던 편전인 석어당은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덕수궁이 궁으로 존재하게 해주는 중심 건물이다. 이 곳은 임진왜란때 선조가 임시로 거쳐하던 곳이자,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유폐시킨 곳, 또한 광해군이 폐위되고 나서 무릎을 꿇었다고 해서 석어당이라고 이름 붙여진 곳이다. 그래서인지 건물자체에는 화려함을 느낄 수는 없고 소박한 기풍이 있는 건물이자 가장 눈에 띄는 건물이기도 하다. 덕수궁 편전이 석어당. 단청이나 잡상등의 장식을 하지 않은 일반 한옥의 모습이면서 이층건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색다른 건물 형식이다. 즉조당, 준명당과 나란히 하고 있는 석어당 석조전 쪽에서 본 석어당의 측면 모습, 옆에서 보니 이층이 아주 좁아 보인다. 함녕전 건물에서 본 석어당 고종이 다과를..

궁궐_종묘 2010.06.10

[화성 행궁] 화령전 풍화당(재실), 전사청, 내삼문, 외삼문

화성행궁 화령전은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운한각을 중심으로 부속 건물로 재실인 풍화당, 화령전 관리들이 업무를 보는 전사청이 있으며, 전주의 경기전과 마찬가지로 외삼문과 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풍화당과 전사청은 건물이 크지 않으면서 소박하고 경건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내.외 삼문 또한 장식성이 거의 배제된 경건한 분위기이다. 화령전 풍화당은 재실로서 제향이 있을 때 제를 올리는 사람이 미리와서 머무는 건물이다. 풍화는 사회의 풍속과 기강을 교화시킨다는 의미이다. 전사청은 화령전을 관리하는 관리들이 업무를 보는 건물로 현재의 건물은 최근에 복원한 건물로 보인다. 화령전 내삼문 화령전 내삼문 안쪽에는 삼도가 있고, 바깥쪽에는 신도만 있다. 화령전 내.외삼문에는 혼령이 드나들 수 있도록 큰 틈을 두고 있다..

궁궐_종묘 2010.03.18

[화성 행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화령전 운한각

수원 화성행궁에서 정전격이 봉수당과 각종 연회나 행사가 열리던 화성행궁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건물인 낙남헌을 지나면 오래된 큰 목조 건물을 중심으로 한 건물군을 볼 수 있다. 이 곳 수원화성과 화성행궁을 건설한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화령전으로 정조대왕의 아들인 순조가 세운 봉안각이다. 화령전은 정전인 운한각을 중심으로 재실인 풍화당, 제사를 준비하는 전사청, 비상시 어진을 옮겨놓은 이안청, 내삼문, 외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령전은 1800년대에 세운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으로 화령전 정전 내부에는 군복을 입고 있는 정조대왕의 어진이 있다. 조선후기에 세워진 대표적인 목조건물이라 한다. 화령전은 앞면 5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한 목조 건물로 앞에는 월대가 세워져 있는데, 궁궐 정전 건물과 비슷..

궁궐_종묘 2010.03.18

[경복궁, 조선의 법궁] 경회루,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목조 누각 건축물

경복궁은 편전과 내전 서쪽편 연못에 우뚝 서 있는 목조건축물로 근정전과 더불어 경복궁을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북경 자금성 서쪽편에 있는 북해공원의 엄청난 규모의 연못에 비해서는 크지 않지만, 우리나라 궁궐의 웅장함을 가장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서울에는 동궐이 창덕궁, 창경궁과 덕수궁, 경희궁 등 여러 궁궐이 있지만 오로지 경복궁에만 존재하는 것이 이 경회루와 연못일 것이다. 아마도 궁궐 서쪽편에 연못을 파는 것은 나름대로의 궁궐 격식에 따라서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경회루는 2층 목조 누각 건물로 48개의 기둥이 있는 웅장한 건물로 중국 사신을 접대하거나 연회를 베풀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특히하게 경회루에는 중국 사신이 머물어서 그런지 법전인 근정전보다 많은 잡상이 추녀마루에 있다. 경복궁 경회..

궁궐_종묘 2010.02.07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지 연못가 부용정

부용지 남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부용정은 북쪽편의 주합루와 함께 정조대왕이 조성한 건물이다. 이 곳에서 정조대왕께서 낚시를 즐겼다고 한다. 창덕궁 후원 중심이 되는 주용지 주변은 창경궁 일대 건물들과 함께 정조대왕의 손길이 많이 묻어 있는 것 같다. 정조대왕의 천재적인 면모를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우리나라 정원 조경을 대표하는 곳이다. 부용지에 두다리를 담그고 있는 형태의 부용정. 영화당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측면에서 본 부용정. 사방이 틔어나온 열십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 정조대왕이 낚시를 즐겼다고 한다. 부용정 편액과 내부 모습 부용정 뒷편 수석 영화당 앞 마당에서 본 부용정 북쪽편 주합루의 어수문 앞에서 본 부용정입니다. 부용지에 두 다리를 연못에 담그고 있는 부용정은 사방으..

궁궐_종묘 2010.02.07

[서울 창덕궁] 후원 승재정과 폄우사

반도지 옆길을 따라 올라가다 존덕정 앞 돌다리를 건너면 정면에 작은 건물인 폄우사가 있고, 동쪽편 언덕 울창한 숲 한가운데에는 아름다운 정자인 승재정이 자리잡고 있다. 승재정이 반월지 주변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라서 그런지 여러 사람들이 작품 사진 촬영에 열중인 곳이다. 반도지 남쪽편 언덕위 자리잡고 있는 승재정, 반도지 주변에서는 가장 전망이 좋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울창 숲속에 자리잡고 있는 승재정, 승재 승재정(勝在亭)은 관람정의 건너편 연지(蓮池)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위치한 정자로 우거진 숲 사이에 있다. 장대석으로 쌓은 4각형의 기단 위에 사방 1칸씩으로 된 건물로 둥근 기둥을 사용한 것이 특이하다. 사모 지붕이며 지붕 정상에 절병통을 놓았다. 승재정 앞에 놓여진 수석, 창덕궁은 많은 ..

궁궐_종묘 2010.02.07

[경복궁, 조선의 법궁] 경회루 연못, 사시사철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는 곳

경복궁 경회루가 있는 궁궐 서쪽편 연못은 경회루를 중심으로 사시사철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북쪽으로는 아름다운 북악 봉우리와 서쪽으로는 아름다운 바위산인 인왕산 봉우리와 이어진 능선을 동쪽으로는 웅장한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 전각들이, 남쪽으로는 사람들이 사는 공간인 한양도성이 보이는 아름다운 장소이다. 중국 북경의 자금성 서쪽편 북해공원의 넓은 호수에 비하면 작은 연못이지만, 비원에 있는 연못들이 숲속에 위치한데 비해서 경회루 연못은 사방이 뚫린 시원함을 주는 연못이다. 궁궐 서쪽편에 연못을 파는 것은 궁궐을 조성하는 법도를 따르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궁궐에는 없는 경복궁 만의 풍경으로 경회루와 함께 경복궁의 권위를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회루 연못은 내전과 편전 서쪽편에 자..

궁궐_종묘 2010.02.07

경복궁 향원정, 열상진원 샘 - 경복궁의 후원 연못

경복궁 경회루가 국왕의 공식 연회 장소라면 경복궁 향원정은 휴식이나 풍류를 즐기던 사적인 공간이었다고 합니다. 함화당 북쪽에 있는 사각형 향원지(香遠池) 안으로는 원형의 섬이 있고 그 위에 육각지붕의 2층 정자 향원정이 있습니다. 향원정 뒷편으로는 고종이 머물렀던 공간인 집옥재와 팔우정이 있습니다. 고종은 경복궁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주로 창덕궁,덕수궁과 경복궁 뒷편이 있는 향원정 주변에 많이 머물렀던 것 같습니다. 경복궁 향원정은 경회루와 함께 궁궐 사진으로 많이 등장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후원에 속하는 경복궁 향원정은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조성한 것으로 원래는 건청궁쪽에서 건너는 구름다리가 있었는데 1953년 남쪽에서 나무다리를 다시 지었다고 합니다. 향원정은 육각 평면의 중층 ..

궁궐_종묘 2010.02.03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후원 여인들의 공간

조선 왕궁의 후원은 왕비를 위하여 아름다운 정원을 꾸며 놓았습니다. 창덕궁의 후원과 대비들이 거처하던 창경궁 후원에 식물원과 동물원이 자리하고 있었던 것도 우연히 아니라 많은 배려가 있었던 결과였던 것 같습니다.궁중여인 들의 공간에 아름다운 정원을 꾸며서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복궁 교태전 뒤뜰에는 작은 동산을 꾸며 놓고 있는데 그 이름은 '아미산'이라고 합니다. 교태전 뒤뜰에 자리잡은 아미산은 아래쪽으로 층이 지도록 세 개의 단을 쌓아 아름다운 화계(花階)가 되도록 하였다. '아미(蛾眉)'란 어원은 누에나방의 촉수처럼 털이 짧고 초승달모양으로 길게 굽은 미인의 눈썹을 일컫는다. 경복궁 교태전 뒤뜰에 자리잡은 아미산에는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왕비를 위한 배려로 다양한 화초를 심어 화계를 ..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애련지

창덕궁 후원 길을 걸어가다보면 부용지를 지나 또하나의 공간인 애련지를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정원을 볼 수 있다. 이 곳은 연경당과 더불어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의 손길이 남아 있는 소박함을 특징으로 한 공간이다. 의두합 북쪽 애련정. 연못이 철따라 변하는 기막힌 경관을 여기서 즐길 수 있다. 애련지 뒷편으로 단풍이 아름답게 물든 정원이 있고 그 뒤쪽으로 올라가면 민간 한옥의 형태를 취한 연경당이 있다. 애련정과 마주보고 있는 효명세자가 사색을 즐겼다는 소박한 건물인 의두합 애련지 윗쪽에 있는 연경당 가을 단풍, 연목 그리고 정자가 어루러진 애련지의 가을 풍경 순조의 맏아들인 효명세자는 총명하고 인품이 높아 18세에 순조를 대리하여 정치를 지휘하다 22세로 요절한 왕자였다. 이곳에는 숙종대에 건립한 애련정..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관람정, 반도지(半島池)

애련지를 지나서 산쪽으로 터벅터벅 걸어올라가면 반도지를 중심으로 펼쳐진 아름다운 공간을 만날수 있습니다. 가을이라서 그런지 형형색색의 나무들 그리고 적절하게 배치된 정자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한국적인 정원의 아름다움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애련지를 지나서 좀더 올라 가면 반도지를 중심으로 관람정, 존덕정, 승재정의 3개의 정자와 폄우사가 있다는 또다른 아름다운 공간을 만날 수 있습니다. 반도지(半島池)라 불리는 연못가에 있는 이 정자는 그 평면이 합죽선(合竹扇)을 편 듯한 모양으로 되어 마루틀이나 지붕틀에서도 평면형태에 따라 곡재를 사용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형태의 건물이다.현재까지 남아있는 정자 중에 하나밖에 없는 부채골 정자인 관람정은 6개의 초석 위에 가늘고 긴 두리기둥을 세워 굴도리를 결구하..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옥류천 취한정, 소요정

창덕궁 후원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한 옥류천 입구에 위치한 정자인 취한정과 소요정이다. 옥류천은 샘이 솟아 올라 조그만 개울이 되어 흘러내리는 곳으로 창덕궁 구석에 위치하여 조용할 것 같지만 성균관 대학 운동장 바로 아래에 위치한 곳이라 그런지 꽤나 시끄러운 장소이다. 옥류천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취한정. 옥류천 샘물인 어정(御井)에서 뜬 물을 마시며 쉴 수 있는 공간이다. 취한정 아래쪽 폭포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한 소요정(逍遙亭) 어정에서 솟아난 물이 흐르는 옥류천입니다. 옥류천을 건너는 돌다리 옥류천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취한정입니다. 옥류천 언저리의 어정(御井)에서 약수를 들고 되돌아올 때 쉴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소박한 정자이다. 건축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취한정에 대한 숙종과 정조..

궁궐_종묘 2010.02.03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반월지(反月池)

반도지 북쪽 조금 높은 곳에 반월지(反月池)가 있습니다. 그리고 반월지와 반도지를 연결해 주는 작은 개천과 돌다리가 있습니다. 반월지는 이름과는 달리 반원형이 아니고 사각형의 작은 연못입니다. 그 반월지 앞에는 육각지붕을 한 정자인 존덕정이 있습니다. 존덕정에는 정조대왕의 글이 새겨진 현판이 걸려있습니다. 아름다운 단풍 사이로 반도지에는 관람정이 보이고 언덕에 존덕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반월지 남쪽에 이중 지붕을 한 육각형 정자가 눈길을 끄는데 존덕정이다. 인조 22년(1644)에 세워져 처음에는 '육면정(六面亭)'이라 했다가 나중에 이름을 고쳤다. 반월지(反月池)란 이름으로 보면 반달 모양의 연못이어야 하는데 한 눈에 보아도 그렇지 않다. '동궐도(東闕圖)'에는 존덕정 북쪽에 네모난 연못과 반달 모양..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옥류천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

옥류천의 어정 안쪽으로는 3개의 정자가 있는데 태극정은 일반적인 형태의 정자이고, 청의정은 제일 안쪽에 위치하며 초가 지붕을 하고 있다. 청의정 주위로는 국왕이 직접 농사를 짓는다는 의미로 벼가 심어져 있으며, 그리고 아래쪽에 일반 민간의 행랑채 모양을 한 농산정이 있다. 지금은 나무가 울창한 숲속이지만, 벼를 심은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이 곳에 나무가 많지 않은 언덕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청의정 북쪽으로 태극정(太極亭). 창덕궁 후원 제일 안쪽에 자리잡고 있는 청의정. 부근에 벼를 심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수풀이 우거져서 햇볕을 보기도 힘든 위치이다. 아마도 주위환경이 변한 것 같다. 태극정 아래 농산정. 건물규모는 크지 않고, 국왕 행차시 수행원들이 임시로 머물던 곳이 아닐까 생각된다. 옥류천 공..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옥류천 어정(御井)

옥류천은 창덕궁 후원 제일 깊은 곳에서 솟아나는 샘물에서 시작하여 개울이 되어 흘러 내려간다. 옥류천 주위로는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 취한정, 소요정의 5개의 정자가 있고 샘물이 솟아 오르는 바위에는 인조가 써 놓은 글씨가 남아 있다. 예전에는 제일 한적한 곳이었겠지만 지금은 성균관대학 운동장 바로 아래에 있어 약간 소란스러운 분위기이다. 창덕궁 후원 제일 안쪽에 위치한 옥류천 어정. 어정 바위에는 인조가 써 놓은 글씨가 남아 있다. 청의정와 소요정의 사이에 있는 작은 샘인 어정(御井). 어정위에 묵직한 돌을 얹어 놓고 있다. 어정에서 솟은 샘물을 받아서 먹을 수 있도록 바로 옆에는 소요정이 있다. 어정에서 솟은 샘물이 옥류천을 이루어서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간다. 창덕궁의 후원 북쪽 깊은 골짜기에 ..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 풍경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인 창덕궁 후원에서 그 아름다움이 가장 뛰어나고 널리 많은 사람에게 알려진 장면은 아마도 부용정과 그 앞의 부용지일 것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사진 장면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부용정 앞의 부용지는 네모난 모양이고 연못의 가운데에 둥근 섬이 있으니 이는 신선들이 논다는 삼신선산의 하나인 방장(方丈)이나 봉래(蓬萊) 또는 영주(瀛州)를 상징한 것으로 보인다. 연못에는 서북쪽 계곡의 물이 용두로 된 석루조를 채우고 넘치는 물은 연못의 동쪽 돌벽에 있는 출수구로 흘러나가도록 되어 있다. 우리날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일 것입니다. 사방으로 정자와 누각이 있고, 연못 가운데 조그만 섬이 있고 그 섬에 있는 소나무의 자태가 매우 잘 어울리는 곳입니다. 부용지 동쪽편에 있는 영화당에서..

궁궐_종묘 2010.02.03

[서울 창덕궁] 연경당 후원

연경당은 일반 사대부 한옥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만 나름대로 궁궐의 형태도 같이 취하고 있다. 사랑채 뒷마당에는 정자와 함께 궁궐 특유의 조경을 꾸며 놓고 있다. 연경당 사랑채 뒷편 언덕에 위치한 조그마한 정자 연경당 선향재 뒷편에 낮은 동산을 쌓아 놓고 있다. 사랑채 뒷마당. 뒷마당도 안채와 사랑채를 분리해 놓고 문을 통해서 드나들 수 있도록 해 놓고 있다. 연경당 안채 뒷마당 뒷마당에서 본 사랑채와 선향재

궁궐_종묘 2010.02.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