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궁궐_종묘

서울 사직단, 조선이란 국가를 상징하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 제사를 올리는 제단

younghwan 2013. 3. 30. 22:19
반응형


 서울 도성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사직단이다. 토지의 신에 제를 올리는 사단(社壇)은 동쪽, 곡식의 신에 제를 올리는 직단(稷壇)은 서쪽에 설치되어 있다. 사직단은 내부에 담장이 설치되어 있고 사방으로 신문(神門)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는 삼도로 연결되어 있다. 사직의 국가를 의미하는 말고 동일시 될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사직단은 국가의 구성요소 중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제천의식은 부여를 비롯한 고대국가에서 아주 중요시 여겨졌으며 다양한 형태의 의식이 거행되었다. 사직단은 중국의 문물을 많이 받아들이기 시작한 삼국시대부터 설치된 것으로 기록에 남아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991년(성종10)에 사직단이 개경에 설치되었다고 한다. 조선왕조 또한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기 시작한 1293년에 도성을 설계하면 경복궁 서쪽에 터를 잡았고, 1395년(태조4)에 설치하였다.

 사직단은 유교 법도에 설치되어 장식성이 있는 의기나 기물들의 거의 없고 천방지원 사상에 따라 정사각형으로 만들어진 2개의 단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사직단은 동쪽에 토지의 신을 모시는 사단(社壇), 서쪽에 곡식의 신을 모시는 직단(稷壇)을 설치해 놓고 있다. 여기서 곡식을 뜻하는 직(稷)은 곡식 중 기장을 의미하는데 이는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기장이 주요 곡물이었기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실제로는 사단과 직단은 서북과 동남 방향에 세워졌으며, 제단을 출입하는 신문 또한 동남.서남.서북.동북 방향에 제단 주위와 바깥쪽에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다. 사직단은 동북방향 신문인 정문인 것으로 보이며, 동북쪽에 있는 정문에서 신도가 출발하여, 서북방향 안쪽 신문으로 연결된다. 바깥 담장 안쪽 북쪽 모서리에는 신실이 설치되어 있다. 사직은 종묘와 함께 국가를 상징하는 주요 제사시설로 <국조오례의>에 사직단의 설치와 의식절차 등이 명문화되어 있다. 사직단은 국가적으로 아주 중요한 시설이지만 문화재와 같은 유형적인 유물을 많이 남기지 않고 있다. 이는 중국 북경의 사직단에서도 볼 수 있는 사직단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서울 사직단, 사적 121호, 조선시대, 1395년(태조4), 서울 종로구 사직동
사직단은 조선시대에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태조는 서울을 한양으로 옮기면서 고려의 제도를 따라 1935년(태조4)에 경복궁 동쪽에는 종묘를 서쪽에는 사직을 설치하였다. 사직단은 홍살문이 설치된 두겹의 담장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는데, 동쪽에는 사단이, 서쪽에는 직단이 있다. 두 단의 모양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에 따라 한 변이 7.65m인 정사각형이고 두 단의 높이는 약 1m이다. 조선시대에는 사직단을 관리하기 위한 부서인 사직서와 제사를 지내기 위한 부속 건물들이 있었다. 그러나 1911년 사직단의 제사가 폐지된 이후 두 단만 남기고 주변을 공원으로 만들었다. 사직단은 서울 뿐 아니라 지방의 주요 도시에도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서울에 있는 사직단의 규모가 가장 크다. 서울과 지방에서 왕과 수령이 사직단에 제사를 올렸는데, 이는 농업이 근본이었던 전통사회에서는 토지와 곡식의 신을 중요하게 섬겼기 때문이다. 사직단은 종묘와 함께 왕조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시설이다. <출처:문화재청>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 제사를 올리는 사직단. 특별한 장식물이나 화려한 조경 같은 것은 거의 없고 단순하게 제사를 올리는 제단만 설치되어 있다. 동쪽에 토지의 신을 모시는 사단(社壇), 서쪽에 곡식의 신을 모시는 직단(稷壇)이 설치되어 있다. 제단 주위에는 나지막한 담장을 이중으로 두르고 동.서.남.북 네방향으로 홍살문 형태로 신문을 설치해 놓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신라 선덕왕(783년) 때 처음 사직단이 세워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구려에서는 고국양왕때, 고려 성종, 조선은 태조가 조선을 건국한 직후에 세웠다.


사직단은 종묘와 더불어 조선의 정신세계를 아우러는 중대한 두개 축 중에 하나이다.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아주 중요한 유적지이지만 종묘와는 달리 이해 당사자가 존재하지 않은 관계로 일제에 의해서 공원으로 격하되었다. 사직단 정문은 규모의 크기나 형태의 화려함이 없어서 소흘히 지나치기 쉽지만, 유교의 격식에 맞게 단정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게 만든 정문으로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사직단 정문을 들어서면 담장과 어린이 도서관을 들어가는 길이 보인다. 사직단의 동쪽편 담장으로 사직단의 동.서.남.북으로 나 있는 문중에서 제일 큰 북쪽 문(실제로는 북동방향)을 볼 수 있다. 이 문이 사직단의 정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직단을 들어가는 북문. 홍살문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다른 신문과는 달리 삼문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사직단 북문에서 제단으로 들어가는 참도. 종묘와 마찬가지로 삼도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참도는 북문에서 출발하여 서문 앞을 지나 남문으로 연결된다.


참도 중간에 있는 제물을 준비하는 장소로 생각되는 곳이다.


북쪽 담장에서 보이는 사단과 직단. 제단에 4방향으로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사직단 서문(실제로는 서북방향)


사직단 서문에서 보이는 곡식의 신을 모시는 직단(稷壇). 홍살문 안쪽으로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 제단이 보인다.


사직단 서쪽편 모서리에 있는 신실(神室)


신실 뒷편(서쪽)에서 내려다 보이는 사직단


사직단 남쪽(서남쪽) 담장


남쪽 담장 바깥쪽에 조성되어 있는 작은 동산


동산에서 내려다 보이는 사직단


사직단 남문


북쪽에서 출발한 참도는 서쪽 문앞을 지나 남쪽 신문으로 연결된다.


남쪽 신문에서 보이는 동쪽 신문


사직단 동쪽(동남)편 담장


동쪽편 출입문


동쪽편 출입문에서 보이는 사직단. 정면에 토지의 신을 모시는 사단(社壇)이 보인다.


사직단친향병풍, 사직단에서 왕이 제사 지내는 절차 등을 기록한 병풍(복제품). 종묘 제사와 함께 국가에서 진행하는 가장 큰 행사라 할 수 있다.


달성 현풍현 사직단. 사직단은 전국의 주.부.군.현에 설치되었는데, 도심에 자리하고 있었고 왕조가 멸망해서 그런지 일제강점기에 전국에 있는 사직단은 대부분 없어지고 현재는 남원과 산청 단성의 사직단만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북경 사직단, 자금성 서쪽 중산공원 안쪽에 남아 있는 제단. 사직단은 중국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계속 이어온 것으로 보이며, <논어>, <맹자>를 보롯한 고전에서부터 <후한서>를 비롯한 다양한 역사서에도 등장하며 제후와 국가를 상징한다. 사직에 대한 제사는 대체로 후한대에 현재와 같이 정형화된 것으로 보인다. 북경 중산공원에 있는 사직단은 1421년에 세워졌으며 청나라때까지 매년 2월과 8월제 제사를 올린다고 한다.


북경 사직단은 우리나라 달리 홍살문이 아니라 하얀 대리석으로 만든 패방처럼 보이는 출입문을 두고 있다.


2009년 사직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