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남부지방 농가이다. 'ㄱ'자형으로 된 안채와, '-'형의 사랑채,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옥의 구조로 볼 때 선비계층이 살던 집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경제력을 갖춘 중농계층에서 살던 집으로 보인다. 남부지방 농가로서는 드물게 안채를 'ㄱ'자형으로 만들었는데, 19세기에 지어진 가옥으로 서울 지방 한옥의 모습을 모방해서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건물의 배치가 안채를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집안 행사에 필요한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한 양반 가옥과는 달리 생활의 편리함을 강조한 주택으로 보인다. '-'자형으로 만든 사랑채는 서재 역할을 했던 양반집 사랑채와는 달리 가내수공업에 필요한 작업공간 용도로 꾸며진 것으로 보인다.
남부지방 농가
남부지방 농가로서는 매우 드물게 'ㄱ'자형으로 안채를 세웠다. 안채, 사랑채, 헛간이 여유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마루와 같은 남부지방의 특징적인 공간은 안채에만 한정되어 있다. 부엌에 딸린 방이 작고, 대청이 뒤쪽으로 배치된 것이 특이하다. <출처:한국민속촌>
이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마주 보고 있으며, 넓은 마당을 두고 있다. 양반집 가옥과는 달리 남녀구별을 동선 배치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격식없이 편리함을 추구한 건물배치로 일반적인 중농계층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가옥이다.
'ㄱ'자형으로 된 안채는 남부지방에서는 잘 볼 수 없는 구조로 아마도 서울지역 한옥을 모방해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제사가 많은 양반가옥과는 달리 대청마를 중심으로 방을 배치하지는 않고 있다.
건물 가운데에는 가족들이 거주하는 방들이 배치되어 있고 통로로 툇마루를 두고 있다.
안방 내부는 그리 넓지 않은 편이다.
대청마루는 건물 한쪽편에 있는데, 앞뒤가 뚫려 있어서 시원한 느낌을 주고 있다. 제사 등의 기능보다는 가족들의 생활공간 및 여자들의 작업공간으로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청마루와 붙어 있는 건넌방은 실제로 이 집 주인의 사랑방과 같은 기능을 했던 방으로 보인다. 앞뒤가 뚫려 있고, 대청마루와 연결되어 개방적인 분위기를 주고 있는 방이다.
부엌 내부
안채 뒤쪽편으로 문이 뚫려 있어서 시원한 느낌을 준다. 외부인이 이집을 방문할 때 출입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건물배치이다. 여자들 또한 대청마루에서 작업을 하면서 지나가는 사람을 볼 수 있는 구조로 격식을 차리지 않는 이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자형으로 된 사랑채에는 대청마루나 툇마루를 두고 있지 않다. 방은 사랑방이라기 보다는 작업공간의 용도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큰 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봐서는 경제력을 갖추고 있었던 집으로 보인다.
사랑채 뒷편
마당은 꽤 넓은 편으로 2칸짜리 헛간 건물을 별도로 두고 있다. 양반가옥과는 달리 대문을 별도로 두고 있지는 않다.
마당 앞 큰 길.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천 수산 지곡리 고가, 청풍문화재단지 한옥 (0) | 2011.05.28 |
---|---|
한국민속촌 한옥, 남부지방 민가 (고리백정 집) (1) | 2011.05.24 |
한국민속촌 한옥, 중부지방 농가 (선비계층 가옥) (4) | 2011.05.20 |
한국민속촌 한옥, 남부지방 소농가 (0) | 2011.05.17 |
용인 한국민속촌, 남부지방 중농가 (시골 선비집) (0)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