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중부지방 민가이다. 방이 많지 않고 큰 대청마루를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봐서는 선비계층이 살았던 집은 아니고, 농사에 종사하던 서민층이 살았던 가옥으로 보인다. 광이 있기는 하지만 그리 크지는 않고, 농기구 또한 많이 가지고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안채와 사랑채가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용도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는 않는다.
중부지방 민가
안채는 남부지방 일반형인 '-'자형의 작은 집이며 아래 윗방에 툇마루가 붙어 있는 간략한 형식이다. 사랑채는 두 개의 큰 방과 외양간, 헛간이 있는 겹집이다. 안팎이 모두 중부지방 농가로서는 특이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부엌과 안방, 웃방으로 구성된 남부지방 가옥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청마루를 두지 않는 대신에 넓은 툇마루를 두어서 가족들이 식사를 하는 등 생활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부엌 내부. 겨울철 농한기에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다.
외양간, 창고와 방으로 구성된 사랑채. 대문과 같이 있어서 문간채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지금은 광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원래는 외양간이었던 곳으로 보인다.
중부지방 민가
두채의 작은 '-'자형 집을 'ㄱ'자형으로 배치한 작은 농가 형식이다. 안채는 마루가 없이 넓은 부엌과 방 앞 토방이 연결되는 극히 간소한 형식을 보인다. 윗방 머리에 작은 광이 달린 것과 부엌안의 찬간을 칸막이 한 것에서 최소한의 기능적 구성을 볼 수 있다. <출처:한국민속촌>
또다른 중부지방 민가. '-'자형으로 지어진 가옥이다. 작업공간으로 사용하는 개방된 넓은 부엌이 있고, 툇마루는 달아놓지 않고 있는 아주 간소한 형태의 주택이다.
안방과 웃방이 있으며, 툇마루를 달아놓지 않고 있다. 방 앞에 작은 광을 달아내어 놓고 있다.
부엌 내부
문간채에 작은 방을 두고 있다.
바깥에서 본 문간채와 대문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민속촌, 민속신앙 서낭당과 유교식 사당 (1) | 2011.06.26 |
---|---|
광명 오리 이원익선생 종택과 관감당 (0) | 2011.06.21 |
고성 왕곡민속마을, 강원도 북부지방 주택양식이 남아 있는 민속마을 (0) | 2011.06.13 |
강원도 고성 어명기 가옥 (0) | 2011.06.11 |
한국민속촌 한옥 선비집,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을 복원한 한옥 (2)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