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성곽(산성_읍성)

강화 정족산성(삼랑성), 서문에서 동남쪽 치성(雉城)까지

younghwan 2012. 3. 3. 17:28
반응형


 강화 정족산성은 둘레 약 1km로 주산인 해발 220m 정족산을 중심으로 3개의 봉우리를 연결하여 전등사와 정족산사고가 있는 계곡을 에워싸고 있는 전형적인 포곡식 산성이다. 이 산성을 처음 쌓은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성벽을 축조하고 있는 석축의 형태 등으로 유추해 볼 때 고구려 산성의 특징을 하고 있다.

 정족산성에는 주출입문인 종해루가 있는 남문을 중심으로 동문, 서문, 북문을 두고 있다. 남문에는 문루를 두고 있고, 북문은 암문의 성격을 갖고 있다. 정족산성 서문은 조선후기 강화 해안을 방어하기 위한 군사조직인 진.보 중에서 강화도 남쪽 해안을 지키는 돈대를 관장하던 선두보가 위치하고 있다. 방어상 취약지역인 남문과 동문과는 달리 서문은 선두보와 연결되는 출입구이자,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연결로이기도 하다. 서문 남쪽으로는 정족산성을 이루는 3개의 봉우리 중 남쪽편 봉우리와 연결되며, 이 봉우리에서는 강화도 동남쪽 해안의 상당부분이 한눈에 들어온다. 봉우리에서 동쪽 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방어상 취약한 지점을 보강하기 위해 만든 시설인 치성(雉城)을 볼 수 있다.



정족산성 서쪽편 선두보로 연결되는 정족산성 서문. 동문과 마찬가지로 우마차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넓이에 아치형 홍예를 두고 있으며 별도의 문루는 설치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서문에서 전등사로 들어가는 길


정족산성 서문에서 남쪽편 봉우리로 올라가는 성벽길. 낮은 지대에는 조선후기에 보강한 것으로 보이는 여장을 볼 수 있다.


반대편 정족산 정상까지 능선을 따라서 연결된 성벽


남쪽편 봉우리로 오르는 성벽길은 그리 험하지는 않지만 경사가 있는 편이다.


정족산성 동쪽편으로 보이는 마니산


봉우리 근처에는 여장을 별도로 설치해 놓고 있지 않다.


정족산성 남쪽 봉우리 정상부의 성벽. 이 곳은 사방이 막힘 없이 한눈에 들어온다. 산성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인 장대를 설치하기 좋은 위치로 생각된다. 


봉우리에서 내려다 보이는 강화도 남쪽편 분오리돈대 주변 해안. 바다쪽으로 넓은 농토가 있지만 실제로는 최근에 간척이 이루어진 곳이다. 지금도 이곳은 넓은 갯벌을 자랑하는 곳이다. 


강화도 동남쪽 해안. 멀리 초지대교와 인천과 영종도 사이의 바다가 보인다. 이 곳도 지금은 넓은 농토가 있지만, 대부분 최근에 간척을 한 곳이다.


정상부에서 내려다 보이는 전등사 전경.


정족산성 정문인 남문으로 내려가는 성벽길.


멀리 보이는 덕진진과 초지진, 덕포진이 있는 강화해협 주변 풍경. 이 곳은 구한말 신미양요때 격전이 있었던 곳으로 조선시대 수도 한양을 향하는 뱃길을 지키는 중요한 요지였다.


능선부근에는 별도의 여장을 두고 있지 않다. 이 곳 성벽은 최근에 보수공사를 하여 정족산성의 옛 모습을 찾고 있는 중이다.


막돌을 이용해서 촘촘하게 쌓은 석축


높은 지대에는 여장을 두고 있지 않지만, 낮은 지대로 내려오면 여장을 볼 수 있다.


성곽의 방향이 북쪽으로 틀어지는 모서리부분에는 성곽 방어를 보강하기 위해서 치성을 쌓아 놓고 있다.


이 곳의 치성은 성곽바깥쪽으로 많이 돌출해 있다. 정족산성은 크고 작은 다양한 형태의 치성을 만들어 놓고 있지만, 이곳과 서문 북쪽편 모서리에 큰 규모의 치성을 쌓고 있다.


치성에서 내려다 보이는 강화도 남쪽 해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