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고택_정원

경주 양동민속마을, 천석꾼 부자가 살았던 큰 저택인 낙선당

younghwan 2012. 6. 2. 18:59
반응형


 하회마을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민속마을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은 경주 손씨와 여주 손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양반들 집단주거지인 반촌이다. 이 마을에서 제일 안쪽으로는 조선중기 성종대 문신인 손소가 살았던 대종택인 서백당을 중심으로 손씨 후손들이 분가한  낙선당, 창은전사를 비롯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큰 규모의 저택들을 여럿 볼 수 있다.

 그 중 이 마을에서도 상당히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낙선당은 이 마을 경주 손씨 대종택이라고 할 수 있는 서백당 안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이 집은 손소의 셋째 아들인 망재 손숙돈이 분가할 때 지은 저택이다. 낙선당이라는 저택의 이름은 병자호란때 순절한 낙선당 손종로의 호에서 따왔다고 한다. 이 저택은 문간채, '-'자형의 사랑채, 'ㅁ'자형의 안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을이 내려다 보이는 마당에 담장이 남아 있지 았어서 개방된 느낌을 주고 있다. 양동마을 다른 저택에 비해서 안쪽에 위치해 있어서 그런지 일반인들에게 집안 내부를 많이 개방하고 있는 편이다. 이집의 주인은 마을에서도 상당히 재력이 있었던 천석군이라고 하며, 다른 집에 비해서 곳간을 많이 두고 있다.



양동민속마을 안쪽 전망좋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큰 저택인 낙선당. 경사진 언덕에 사랑채, 안채, 사당이 '-'자로 배치되어 있어서, 저택내 어느곳에서나 좋은 전망을 자랑한다.


이 집대문은 문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종택 옆에 있어서 그런지 솟을대문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대문채 옆으로는 원래 담장이 있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지금은 담장 없이 개방되어 있다.


'ㅁ'자형 안채와는 독립되어 있는 사랑채. 앞면 4칸의 건물로 왼쪽 2칸은 대청마루로, 오른쪽 2칸은 온돌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언덕에 위치해서 그런지 다른 저택에 비해서 기단을 높게 쌓지는 않고 있다.


'낙선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사랑채 대청마루. 삼면이 뚫려 있어서 정자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사랑채 온돌방


공포는 익공계를 하고 있는데 간략하게 만들어 놓고 있다.


작은 문간방과 광으로 이루어진 대문채.


대문채 옆으로는 'ㄱ'로 큰 곳간채가 연결되어 있다. 끝에 있는 작은 온돌방을 제외하고는 곳간으로 이루져 있다. 천석꾼이었던 이집의 경제력을 보여주고 있다.


곳간채 끝에 있는 1칸짜리 온돌방. 사랑채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 방으로 손님들이 오면 묵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채라고 할 수 있는 안채는 'ㅁ'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쪽의 문간채가 앞면 7칸의 큰 규모를 하고 있다. 왼쪽편 2칸에는 사랑채와 비슷하게 창문을 열면 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툇마루는 만들어 놓고 있지 않다. 나머진 판벽으로 막아놓은 큰 곳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앞면 6칸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오른편 3칸을 큰 대청마루로 사용하고 있다.


안채 왼쪽편은 부엌, 온돌방, 큰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큰 부엌과 곳간이 있는 안채 왼쪽편 건물


문간채의 곳간


안채 왼쪽편에 있는 사당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사당 출입문


낙선당 마당에서 내려다 보이는 마을 풍경


낙선당 아래에 있는 이 집도 기와지붕을 하고 있는 큰 본채와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부속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분가한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이 아닌가 생각된다.



낙선당
이 집은 손소의 셋째 아들인 망재 손숙돈이 분가할 때 지은 것이다. 병자호란 때 순절한 낙선당 손종로(1598~1636)의 호에서 집의 이름을 따왔다. 양반가의 큰 집들은 기단을 높게 쌓은 뒤에 건물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집은 기단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 집의 주인이 천석꾼이었다고 하는데, 유난히 많은 곳간과 곡식을 찧었던 디딜방아채의 모습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본채 옆에 자리한 건물은 사당이다. <출처:양동민속마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