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색청자로 불리는 고려 청자는 은은한 녹색을 띠는 도자기로 우리나라을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예술작품이라 할 수 있다. 고려청자는 도자기 종주국인 송나라 사람들조차도 그 빛깔이 중국 청자보다 뛰어나다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비색청자는 유약이 반투명하며 그릇표면에 금이 생기지 않고 광택이 은은한 것이 특징으로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절정기를 이루며 12세기에는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청자는 중국 당나라에서 당삼채와 함께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에는 당나라에서 수입한 도자기들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당나라 말에서 오대에 이르는 혼란기에 중국에서 도자기를 만들던 기술자들이 한반도로 넘어오면서 월주요의 영향을 받은 도자기들이 고려초기부터 생산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박물관에서는 2012년 가을 <천하제일 비색청자> 특별전을 개최하여 고려청자가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하던 때부터 절정기의 상감청자까지 뛰어난 작품들을 모아서 전시하고 있다. 전시내용은 고려청자의 기원에서부터 고려청자가 생산된 전국의 도요지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생활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청자의 모습, 한반도 도자기 문화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는 상감청자를 비롯하여, 현존하는 고려청자의 걸작들을 일목요연하게 전시하고 있다. 특히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운학문매명>을 비롯한 주요 걸작들을 한번에 볼 수 있는 흔치않은 기회를 주고 있다.
기획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는 색.형.문양의 삼박자가 이루어낸 고려청자의 뛰어난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그 속에 내재된 "창조"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전시는 4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고려청자의 시작과 전개'에서는 생산-유통-소비로 이어지는 생산체제와 고려청자의 전반적인 흐름을 소개합니다. 2부 '청자, 고려를 보는 창'은 청자의 공예적 속성에 초첨을 맞추어 주제별로 그 쓰임새를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3부 '고려 공예의 정수, 상감'은 고려의 미감을 십분 발휘했던 상감기법을 집중 조명하여 공예품에서 상감이 지니는 기술적.예술적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였고, 4부 '천하제일을 말하다'에서는 고려청자 중 걸작을 전시하여 이번 전시의 대미를 장식합니다. 이번 전시는 고려시대 공예문화의 흐름을 주도했던 청자를 통해 시대적 미감과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자리로, 당시 중국 사람들도 "천하제일"로 칭송했을 만큼 조형과 색이 완벽한 조화를 이룬 고려청자를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출처: 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되고 있는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1부, 고려청자의 시작과 전개
한반도에서 청자를 제작하게 된 시발점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꾸준히 유입된 중국 자기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차를 마시는 용도의 도가지, 즉 음다문화를 위한 청자나 백자가 중점적으로 수입되었다. 중국도자에 대한 선망과 수요욕구는 토기제작에서 새로운 자기 제작을 가능하게 한 배경이 되었다. 고려청자의 전개는 초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다. 초기는 늦어도 10세기 중반에 시작하여 초기 청자와 중기 청자의 시기적 구분 기준이 되고 있는 한국식 햇무리굽 완의 생산이 끝나는 11세기 말까지다. 중기는 다종다양한 도자가가 청자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12세기부터 중국 원대 도자기의 영향이 나타나는 13세기 후분이다. 후기는 13세기 후반에서 고려왕조가 끝나는 1392년까지로 볼 수 있지만 그 영향은 조선 초까지 지속되어 상감분청사기로 이어진다. <출처:중앙박물관>
사리함, 고려 1009년 영암 성풍사지 출토. 1886년 탑의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1층 탑신 사리공에서 나와 당시 초기 청자가 사리구로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다. 11세기 초 고려청자의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탑지석, 고려 1009년, 영암 성풍사지 출토
초기 청자의 전개
초기 청자는 중국 오대십국9907~979)시대의 월요와 가마축조방식, 제작 양상 등이 매우 유사하여 청자 제작 기술이 10세기 경에 중국에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세기에 만들어진 청자는 올리브그린색을 띠며 주력 생산 기종은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완이었다. 11세기에는 청자 생산지가 확대되면서 전라남도 강진을 중심으로 가마가 운영되었으며 이때부터 고려청자의 색이 서서히 맑은 비취색을 띠게 된다. <출처:중앙박물관>
인물무늬 주자, 중국 당, 8~9세기, 중국에서 도자기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던 당나라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도자기이다. 서역의 영향을 받은 인물상이 양각된 화려한 빛깔의 도자기이다.
글자가 있는 완, 통일신라, 경주 월지 출토. 표면에 먹으로 "言", "貞", "茶", "營" 세글자와, 구름무늬, 꽃무늬를 일정한 간격으로 썼거나 그려 놓은 완이다. 정선된 태토로 만들어졌으며 찻그릇으로 추정된다. <출처:중앙박물관>
완(중국, 당, 9세기, 경주 월지), (중국, 당-오대, 10세기, 공주 출토), (중국 당-오대, 10세기, 황룡사지 출토), 중국 당나라에서 수입되어 전국적으로 사용되었던 도자기이다. 도자기는 차를 끓여먹던 문화과 관련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 만들어진 청자에서는 차를 마시던 용기인 완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 당-오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 완으로 경주와 공주에서 출토된 것이다.
백자 꽃 모양 접시, 고려 10~11세기. 고려가 청자를 처음 만들기 시작하던 때의 것으로 비교적 만들기 쉽고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꽃 모양 접시, 고려 10~11세기
꽃 모양 접시, 고려 10~11세기
꽃 모양 접시, 고려 10~11세기
완, 고려 11세기. 차를 마시던 용기인 완은 가장 많이 사용된 청자의 형태라 할 수 있다.
완, 고려 11세기
접시, 고려 11세기. 단순하면서도 은은한 빛깔을 내고 있는 고려청자의 아름다운 모습을 갖추고 있다.
발, 고려 11세기
보상화넝쿨무늬 발, 고려 12세기. 은은한 비색청자 빛깔이 전성기를 이루던 12세기에 만들어진 고려청자이다.
연판무늬 발, 고려 12세기
백자 참외 모양 주자와 승반, 고려 12세기
대나무무늬 주자와 받침, 고려 12세기
'중앙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변화와 쇠퇴 (0) | 2012.12.16 |
---|---|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절정과 확산 (0) | 2012.12.15 |
[중앙박물관 특별전] "다산 정약용 - 하늘을 받들어 백성을 보듬다.", 유배지 강진에서 생활과 사후 평가 (0) | 2012.12.07 |
[중앙박물관 특별전] "다산 정약용 - 하늘을 받들어 백성을 보듬다.", 관리로서의 업적과 대표적인 저술 (0) | 2012.12.05 |
[중앙박물관 조선실] 대한제국과 근대 (0) | 201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