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4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배운전(排雲殿) 돌다리

이화원 배운문을 들어서면 중국 전통의 궁궐 격식에 따라 동.서로 흐르는 물이 있고, 그 위를 건너는 돌다리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한 석조 건축물로서 많은 장식들이 꾸며져 있다. 하단의 아치형을 이루는 석축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화강석으로 만들고, 난간을 비롯한 장식들은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 한국에서는 금천이라고 불리는 작은 하천(사실은 연못이지만) 위로 아치형의 돌다리가 놓여 있다. 이 것은 궁궐이 외부세계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돌다리 아래 석축은 튼튼하 화강석으로 쌓고 있으며, 아치를 비롯한 장식은 대리석으로 만들었다. 물에 비친 아치형이 상당히 아름답다. 돌다리 상부는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한 대리석 난간이 있어 화려함을 더해주고 있다...

중국(China) 2009.08.2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장랑(長廊) 요월문 앞 원림치석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이래로 성내 개인 저택의 정원을 꾸미는 것이 유행했는데 청나라때 가장 많이 유행했다고 한다. 그 중 정원을 꾸미는 자연석을 원림치석이라고 하는데 온갖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는 자연석이 있다. 이화원 장랑이 시작하는 요월문 앞에는 중국에서 가장 큰 원림치석인 "청지수"라는 돌과 여러 자연석을 전시해 놓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수석에 비해서 그 모양새가 오묘하고 규모가 훨씬 크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크다는 "청지수(靑芝岫)"라 불리는 원림치석. 북경부근에서 발견된 것을 건륭제가 거액의 비용을 지출하여 이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패가석"리라 불리기도 한다. 명나라 미만종이 북경의 방산에서 영자모양과 비슷한 푸르고 빛이 나는 거대한 돌을 발견했고, 그 돌을 미싸작원으로 운..

중국(China) 2009.08.2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건륭제가 세운 곤명호수변 다보탑

곤명호수변에서 가장 경치가 휼륭하다는 정자인 지춘정 입구에는 성곽의 누각처럼 보이는 탑이 있는데 높이는 16미터나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 불국사의 다보탑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로, 다보탑에 올라서서 이화원 곤명호수를 감상하면 상당히 아름다울 것이른 느낌이 드는 곳이다. 이화원 다보탑. 보기에는 성을 출입하는 성문과 누각을 연상시키는 탑이다. 아래부분은 벽돌로 쌓은 건물처럼 보이고, 위쪽으로 목보 건물을 세워 놓고 있다. 사실 이 탑의 내용을 조사하기 전까지는 이 곳이 이화원을 구성하고 있는 성문중의 하나인줄 착각했었던 곳이다. 멀리서 보이는 곤명호수변에 자리잡고 있는 다보탑. 이화원 다보탑에서 지춘정이 있는 섬으로 건너가는 다리 아래로는 연꽃이 숲을 이루고 있다. 크게 보기

중국(China) 2009.08.26

가족 주말농장 ('09년 8월1주) - 토마토와 붉은 고추를 수확하다.

한여름의 땡볕이 내려쬐는 8월의 주말농장은 약간의 결실을 보기 시작하고 있다. 주말농장이다 보니 관리가 부실하여 밭에는 잡초가 무성해서 부지런한 사람들의 밭과는 상당히 대비되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토마토는 조금이나마 열렸는데, 역시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오이는 제대로 자리지도 못하고 끝나버렸다. 많은 사람들이 재배하는 고추와 고구마는 역시 손이 많이 가지 않았는데 결실을 맺고 있다. 밭에서 수확한 토마토. 크가는 들쑥날쑥이지만 그래도 결실을 기쁨을 주고 있다. 잡초가 무성한 가운데 토마토는 열매를 조금이나마 맺고 있다. 몇번 따지도 못한 오이. 고구마는 가꾸지도 않았는데 줄기가 무성하게 뻗어나고 있다. 고구마를 심는 목적 중의 하나인 고구마 줄기. 탐스럽게 익은 옥수수 첫번째로 고추를 수확하였다...

기타 2009.08.25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서태후의 장수를 기원하던 배운전(排雲殿)

배운전(排雲殿)은 북경 이화원에 있는 많은 전각들 가운데에서 가장 중심이 건물로 원래는 불교 사찰의 대웅전이었던 곳인데 19세기말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북경을 침입했을 때 불타버리고 그 장소에 서태후가 생일을 축하받기 위한 궁궐로 지었다고 한다. 이화원 만수산을 오르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는 서태후의 장수를 비는 연회가 주로 열렸었다고 한다. 건물의 규모는 상당히 크고, 궁궐 전각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배운전이란 이름은 동진 문학가 곽박의 “신선배운출, 단견금은대”라는 시구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이화원 배운전. 건물의 단청과 기와가 상당히 화려하다. 이화원 배운전 현판. 만주어와 한자를 세로를 적은 놓은 것이 중국 궁궐 현판의 특징이다. 이화원 배운전 내부. 가운데 서태후가 앉는 자리..

중국(China) 2009.08.19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만수산 북쪽 티벳 라마교식 첨탑과 망루

이화원 만수산 북쪽편에 있는 티벳 라마교식 궁궐 건물 주위로는 이 건물군들이 티벳 라마교식 건물임을 잘 보여주고 있는 첨탑과 망루가 양쪽으로 자리잡고 있고, 그 뒷편으로 세계의 중국식 망루가 설치되어 있다. 티벳식 첨탑 꼭대기에는 초승달과 태양을 상징하는 듯한 상징물로 장식되어 있는데 중국에서도 상당히 이국적인 모양을 하고 있다. 이화원 만수산 북쪽편에 있는 티벳 라마교식 궁궐 건물 양쪽으로는 티벳식 첨탑과 망루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당히 이국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만수산 북쪽편 티벳식 궁궐 건물 뒷편에서 내려다 본 서쪽편 티벳식 첨탑과 망루 티벳식 첨탑과 궁궐건물 뒷편으로는 5개의 중국식 망루가 설치되어 있는데. 처마끝에 있는 잡상으로 봐서 이 곳이 궁궐 건물임을 알 수 있다. 중국식 망루중 서쪽편 망..

중국(China) 2009.08.19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배운전 좌.우에 있는 방휘전, 자소전

이화원 중심 궁궐 건물인 배운전(排雲殿) 좌.우에는 당시 원로대신들을 포함하여 이 곳에서 행사를 할 때 참석하는 고위 인사들이 잠시 쉬는 공간으로 서쪽편에는 자소전, 동쪽편에는 방휘전이 있다. 건물은 별로 크지 않고 소박해 보인다. 이 건물들을 지나면 배운전(排雲殿) 뒷편에 있는 불향각을 오르는 통로가 있고 여러 계단을 거쳐서 불향각과 만수산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배운전 동쪽편에 위치한 방휘전. 방휘전 현판. 궁궐 건물의 격식에 맞게 황금색으로 한자와 만주어로 쓰여진 현판이 걸려 있다. 안내표지판. 배운전 서쪽편에 자리한 자소전. 안내표지판 배운전 서쪽편에 있는 작은 건물을 지나서 불향각에 오를 수 있다. 배운전 동쪽편에 있는 작은 건물을 지나서도 불향각을 오를 수 있다. 보통 궁궐에는 나무를 심지 않..

중국(China) 2009.08.17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랜드마크가 되는 불향각(佛香閣)의 다양한 모습

이화원 불향각은 만수산 남쪽 거의 모든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팔각형 지붕에 3층탑 형태의 건물로 이화원 내부에서는 곤명호에 있는 작은 섬 남호도(南湖島)와 함께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인공으로 쌓은 산인 만수산 정면에서 호수를 바라보고 있는 불향각을 다양한 모습으로 방문객에게 다가오고 있다. 전형적인 이화원 불향각의 모습이다. 엄청나게 높은 축대위에 건설된 삼층 목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멀리에서 보는 불향각이 더 크게 느껴진다. 이화원 만수산 정상에서 곤명호수를 배경으로 본 불향가은 아래에서 보는 것보다는 작게 느껴진다. 불향각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 덕휘전 축대 아래에서 올려다 본 불향각 이화원 궁궐의 중심 건물인 배운전에서 올려다 본 불향가. 건물 정면의 모습이 가장 ..

중국(China) 2009.08.17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 배운전(排雲殿) 뒷편 공간

이화원 불향각에서 덕휘전을 거쳐 마름모꼴 계단을 따라서 걸어내려오면 이화원 궁궐 건물의 중심이 되는 배운전(排雲殿)을 만나게 된다. 배운전(排雲殿) 뒷편 마당은 넓지는 않고, 수직으로 높은 축대위에 세워진 불향각을 볼 수 있는 장소이다. 배운전(排雲殿)이 궁궐에서 중심이 되는 건물인 까닭에 나무를 심은 정원을 조성해 놓고 있지 않고 있다. 이화원 덕휘전에서 마름모꼴 계단을 따라서 내려오면 볼 수 있는 이화원의 중심전각인 배운전(排雲殿)의 뒷쪽 출입문. 배운전은 장식과 색채가 상당히 화려하고 황금빛 글씨가 곳곳에 적혀 있다. 이화원 배운전(排雲殿) 뒷 마당에서 올려다 본 덕휘전과 불향각 배운전(排雲殿) 뒷마당의 모습. 배운전(排雲殿)과 양쪽에 부속건물이 보인다. 배운전(排雲殿)에서 불향각으로 오르는 길에 ..

중국(China) 2009.08.17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만수산에서 내려 본 곤명호수(쿤밍호)

곤명호수(쿤밍호)는 이화원 전체 면적의 대부분인을 차지하며, 인력을 바닥을 파낸 인공 호수이며, 파낸 흙으로 만수산을 쌓았다고 한다. 만수산 정상에 올라보면 더넓은 바다같은 호수가 보이며, 호수에는 수많은 뱃놀이를 하는 배들이 떠 다니고 있다. 만수상 정상에는 티벳불교 사원인 지혜해(智慧海)가 있고 그 아래로 엄청난 크기의 삼층건물인 불향각과 궁전 건물들이 언덕을 따라서 조성되어 있다. 곤명호수의 넓이가 얼마나 넓은지 날씨가 맑지 않아 사진이 선명하지 않다. 만수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곤명호 호숫가에 있는 이화원 궁궐 건물들. 황금빛 지붕이 인상적이다. 이화원 만수산 정상 불향각 정면 곤명호 풍경. 정면에 곤명호수에 조성된 유명한 섬인 남호도(南湖島)와 그 섬을 건너는 다리가 보인다. 이화원 정문이 있는..

중국(China) 2009.08.17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불향각 옆에 위치한 전각들

이화원 불향각 동쪽편으로는 선현사(善現寺)라는 작은 사찰과 잡상이 5개씩 있는 조그만 정자 역할을 하는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만수산 정상에 위치한 이 건물들은 상당히 중요한 기능이 부여된 건물들로 보이며, 건물 자체로도 상당히 화려하고, 이화원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불향각 옆에 인공적으로 돌을 쌓아서 만든 축대 위에 위치한 이 건물은 아마도 서태후가 휴식을 취하면서 이화원 전체를 감상하던 건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곳에서 바라보는 이화원 곤명호수의 경관이 상당히 아름답다. 불향각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인 선현사(善現寺)는 사찰 건물이지만 이화원 전체를 감상할 수 있는 정자가 양쪽으로 있고, 가운데에 커다란 비석이 서 있는 건물이다. 이곳은 황제와 황후가 경서를 보관하고,..

중국(China) 2009.08.1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만수산을 장식하고 있는 거대한 불향각(佛香閣)

이화원 만수산 남쪽 거의 모든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팔각형 지붕에 3층탑 형태의 건물로 이화원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화원 만수산 정상에서 조금 내려 오면 거대한 높이의 석축 위에 세워진 이 티벳 라마교식 불교 사원을 볼 수 있고 그 앞으로는 인간의 힘으로 파낸 거대한 인공호수인 곤명호의 장관이 펼쳐져 있다. 이 건물 1층에는 천수관음상, 2층에는 건륭제 때의 삼세불상, 3층에는 불향각 건축 관련 내용을 전시하고 있다. 이화원 불향각은 팔각형 모양의 삼층 목탑 형태로 티벳 라마불교 사원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서유기에 많이 나오는 목탑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건물이다. 천수관음상이 모셔져 있는 1층. '운외천향(雲外天香)'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화원 불향각 2..

중국(China) 2009.08.1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만수산 북쪽 티벳 라마교식 궁궐 건물과 잡상들

이화원 만수산 뒷편 건물군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궁궐건물로 자금성 건물처럼 황금빛 기와를 하고 있는 팔작지붕 건물로서 잡상으로 처마끝을 장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궁궐 건물로 지은 것 같다. 이 건물의 잡상들은 우리나라 잡상과는 달리 제일 앞에 삼장법사가 있는 것은 같은 뒤쪽에는 손오공과 저팔계 등이 아닌 사자, 봉황 같은 신화속의 동물들로 장식하고 있다. 본전 건물에는 5개의 잡상이 있고, 입구 건물에는 3개가 있고, 담벼락을 장식한 기와에는 잡상들이 없다. 이화원 만수산 북쪽편을 바라보고 있는 건물로 주위 건물군의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황금빛 유약을 바른 기와를 사용했으며, 높은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지었다. 건물에서 보면 이화원 북쪽 풍경이 훤히 보이는 곳이다. 건물의 단청과 장식들 입구 ..

중국(China) 2009.08.16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만수산 북쪽 티벳 라마교식 궁궐 광장 사자상과 석탑

이화원에 곤명호수를 판 흙과 돌로 쌓은 만수산 뒷편에는 티벳식 라마교 사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 라마교 사원은 만수산 앞쪽의 화려한 모습과는 달리 아주 조용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이화문 북궁문에서 곤명호수 수로 다리를 거너면 정면에 이 티벳식 라마교 사원 계단 입구에는 큰 광장이 조성되어 있고 이 곳에는 중국에서는 보기 드물게 대리석으로 만든 라마교식 석탑이 자리잡고 있다. 광장에 들어서면 눈 앞에는 고개를 들어야 만 보이는 라마교 사원이 있다. 이화원 소주거리가 있는 곤명호수 수로를 건너서 패루를 지나면 정면에는 여러 계단을 걸어 올라야 하는 티벳식 라마교 사원을 볼 수 있다. 이화원 만수산 북쪽편 티벳식 라마교 사원을 오르는 계단 계단을 걸어서 이화원 티벳식 라마교 사원이 있는 광장을 올라..

중국(China) 2009.08.15

북경 이화원( 颐和园, I-ho Yuan), 곤명호수 수로에 조성된 소주(蘇州, Su-chou) 거리

이화원 북쪽 출입문인 북궁문을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볼 수 있는 장관은 곤명호수 수로 주변으로 조성된 소주(蘇州, Su-chou) 거리이다. 이 수로는 그 모습이 강남 소주의 운하를 본떠서 만든 것으로 보이며, 아기자기하고 울긋불긋한 색채로 장식된 강남의 소주거리의 건물들이 이 곳 이화원에 조성되어 있다. 이 곳은 별도의 요금을 내고 출입해야 하는 곳이고, 다리 위에서 내려다 본 거리의 풍경도 상당히 아름답다. 청나라 건륭제가 강남 풍경을 좋아하는 어머니를 위해서 만든 거리하고 한다. 이화원 곤명호에는 중국에서 제일 아름답다는 소주 운하 주변 거리 풍경을 재현해 놓고 있다. 운하에 비친 거리의 풍경이 상당히 아름답고, 달빛이 비치는 밤에는 더욱 아름다울 것 같다. 이화원 북궁문을 들어서면 있는 돌다리 위에..

중국(China) 2009.08.15

북경 이화원(颐和园, I-ho Yuan), 북궁문을 지나 곤명호 수로 다리를 건너서

북경 이화원 후문격인 북궁문을 지나면 수석으로 장식된 길을 약간 걸어가면 이화원을 이루고 있는 곤명호수 수로가 있고, 이 수로를 건너는 다리를 지나면 정면에 곤명호에서 판 흙과 돌로 쌓은 만수산을 볼 수 있다. 곤명호 다리를 건너면 정면에는 보통 차이나타운 입구를 장식하는 전형적인 중국 출입문인 패루(牌樓)가 있고 다리 양쪽으로는 강남 항주의 운하 주변 마을처럼 꾸며 놓은 작은 건물군들을 볼 수 있다. 이화원 입구를 장식해 놓고 있는 비석. 이화원 북궁문을 들어서면 바위돌로 장식해 놓은 길을 통해 이화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화원을 들어가는 길 양쪽으로는 백송을 비롯한 다양한 나무를 심어 놓은 정원이 있다. 이화원 입구 숲속길을 조금 걸어 들어가면 정면에 곤명호 수로를 건너는 다리가 있고, 다리를 지나면..

중국(China) 2009.08.15

북경 이화원(颐和园, I-ho Yuan), 후문격인 북궁문 (Entrance Summer Palace)

곤명호와 만수산, 그리고 많은 전각들로 이루어진 이화원은 북경 서북부의 해정구에 위치한 정원이자 궁궐이며, 서태후의 여름궁전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북경의 첫 방문지로 선택한 이화원을 들어가는 문은 여러곳에 있지만 사람이 많지 않은 북문을 선택해서 들어가 보았다. 북문을 통해서 들어가면 곤명호의 작을 수로를 지나서 만수산을 바로 올라 갈 수 있으며, 만수산 오르는 길목에는 작은 궁궐 건물과 만수산 정상의 라마교 사원을 볼 수 있다. 중국 북경 이화원 후문격인 북궁문이다. 우리나라 궁궐처럼 삼문이 있는 이층 누각 형태이다. 북경 궁궐 출입문 지키고 있는 사자상(?)이 이 곳 이화원을 찾는 사람을 맞아 주고 있다. 중국 궁궐 건물을 들어가는 입구에는 항상 다리가 있다. 이는 우리나라 궁궐도 마찬가지로 바깥 ..

중국(China) 2009.08.15

가족 주말농장 ('09년 7월1주)

주말 농장을 시작한지 2달이 지난 7월 장마가 오기 직전의 주말농장 모습이다. 벌써 감자는 수확을 완료하고 그 자리에는 제초제를 뿌려서 남은 잡초가 사라졌다. 오이는 한창 열매가 달리기 시작하고, 푸른 빛을 띤 토마토가 매달리기 시작했다. 풋고추가 한창 제철을 만나고 상치는 철이 지나버려 먹을 수 없게 되었다. 생각만큼 잘 되지는 않지만 나름 결실을 맺는 기쁨을 만끽할 수 있었다. 탐스럽게 매달린 토마토 탐스럽게 매달린 풋고추 역시나 고난도의 기술을 요하는 오이. 몇개 따먹지 못했다. 탐스럽게 열린 참외 홀로 외롭게 서 있는 해바라기 감자를 캔 자리에는 제초제를 뿌려서 남은 잡초가 없다. 옥수수 고구마 가지 먹을 수 없게 커 버린 쌈채소들 논에 자라는 벼 호박

기타 2009.08.15

진해 진해만 해안 - 진해 명동 STX조선소

진해만 해안가 마을인 명동에 자리잡고 있는 STX조선소입니다. 세계 조선산업의 활황으로 STX조선이 호황을 구가함에 따라 이 조선소도 활기를 띠면서 규모를 계속확장하고 있는 조선소입니다. 예전에는 경운기를 만들던 회산인 대동에서 대동조선소를 이 곳에 건설할 때만 해도 조그만 배를 만들 수 있는 소규모 조선소 처럼 보였었는 데 STX인수 후 세계 조선경기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 조선소가 앞바다를 다 차지하고 있습니다. 조선소 옆 수치해안에 있는 횟집 건물들도 지금은 여러 건물들이 STX에 인수되었는지 STX전용 식당 처럼 변해있습니다. STX조선에서 배를 건조하고 있는 광경입니다. 수치해안에 있던 여러 식당, 모텔(?)들이 지금은 STX전용 시설로 바뀌어 있습니다. 수치해안에서 본 STX조선소 전경, 선박건..

한국의 풍경 2009.08.02

낙동강 을숙도 에코센터, 철새를 관찰할 수 있는 곳

부산 낙동강 하구 을숙도 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입니다. 을숙도를 가로 지르는 도로의 북쪽은 현재 시민공원으로 조성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작으나마 예전의 낙동강 을숙도 생태환경을 복원해 놓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낙동강 하구 에코센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렇게 큰 기대를 하고 가지는 않았지만 을숙도 환경복원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였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이 괜찮은 편입니다. 복원한 갈대밭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 들어서면 강의 생태 환경과 낙동강에 대해서 많은 설명과 전시물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남쪽 을숙도 갈대밭 쪽으로 난 이층 로비 전망대에서는 을숙도 갈대밭과 철새들을 탐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철새들이 많지는 않..

지역박물관 2009.08.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