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46

밀양 재약산 표충사 - 사천왕문 외

밀양 표충사의 실질적인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 사천왕문이다. 문화재적으로 큰 의미는 없는 것 같지만 나름대로 잘 꾸며 놓고 있다. 표충사는 조선시대 유교 서원과 같이 있었던 까닭에 뭔가 다른 사찰과는 다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표충사 출입문인 사천왕문. 주위 조경수들을 잘 가꾸어 놓고 있다. 표충사 사천왕문 안에 있는 사천왕상. 표충사 사천왕문 옆에 있는 박물관. 표충사 박물관 외부에 전시된 문화재.

밀양 표충사, 관음전과 명부전

밀양 표충사 제일 안쪽에 있는 건물이 명부전과 관음전이다. 명부전은 나름대로 내력을 가진 건물이지만 관음전은 최근에 지은 건물인 듯 하다. 기복 신앙을 중시하는 한국적인 풍토에서 요즘 신축하거는 중수하는 건물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관음보살을 모신 관음전과 죽은 자의 명복을 비는 명부전일 것이다. 명부전은 표충사 제일 안쪽에 있고, 정문에 직선으로 제일 안쪽에 있어 그 앞에서 서면 멀리 사천왕문부터 절의 모습이 내려다 보인다. 표충사에서 제일 안쪽에 자리잡은 관음전. 언뜻 보기에도 내력이 깊지는 않고 전통 사찰에서 오래된 관음전에 비해서 건물을 크기가 상당히 큰편이다. 표충사 명부전. 원래부터 있었던 불전이라고 하며 현재의 건물은 최근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표충사 관음전 앞에서 내려다 본 표중사 경내. ..

밀양 표충사, 주불전인 대광전과 표충서원이었던 팔상전

밀양 표충사는 규모가 크지 않고 통도사 말사였던 까닭에 대웅전 대신 대광전이 중심 불전이 되어었던 것 같다. 중심 불전인 표충사 대광전 바로 옆에는 지금은 팔상전으로 사용중인 사명대사를 모신 표충서원이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에서 공이 매우 컸던 사명대사로 인해 서원 사당과 부처님을 모신 불전이 나란히 있었던 아주 특히한 가람배치이디. 표충사 삼층석탑이 이 대광전 바로 앞 경내 마당에 자리하지 않는 특이한 점이다. 표충사 중심불전인 대광전. 일제시대에 중수한 건물이지만 건물 자체는 잘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와 아미타불을 좌우로 모시고 있는 전형적인 대웅전 형태인데 비로자나불을 모신 불전에 붙이는 대광전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가까이 다가가서 본 표충사 대광..

밀양 재약산 표충사 - 만일루, 범종루, 풍경들

표충사는 오래된 절이지만, 통도사의 말사로서 규모가 크지 않았던 관계로 오래된 건물들은 많지 않지만 임진왜란 이후 사명대사 관련된 사찰로 융성하게 되어 지금은 적지 않은 규모와 주위 자연환경과 잘 어울려 아름다운 절의 풍경을 보여준다. 표충사는 불보 사찰인 통도사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지 사찰내 정원이 잘 꾸며져 있고 건물이 중구난방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나름 질서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밀양 표중사의 범종루. 누각 아래에 범종이 누각에 법고와 목어가 있는 오래된 문화재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잘 만들어진 건물이다. 표충사 범종 표충사 범종루의 법고와 목어 표충사 만일루. H자형 독특한 구조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효봉스님이 만년을 보낸 곳으로 오래된 건물은 아니지만 불교계에서는 의미가 깊은 건물로..

구례 화엄사 - 금강문, 사천왕문

구례 화엄사는 대형 사찰답게 들어가는 입구에 금강문과 사천왕문이 같이 있습니다. 화엄사 금강문 옆으로는 템플스테이 하는 장소가 있고 우측으로는 지리산 계곡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길이 넓지 않은 관계로 사천왕문과 금강문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에 속합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입니다. 옆으로 꽃나무가 심어져 있습니다. 아래쪽 입구에 자리한 금강문입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안에 있는 사천왕입니다. 안쪽에서 본 화엄사 사천왕문입니다.금강문이 있는 사찰은 금강문이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지만, 금강문이 없는 사찰은 사천왕문이 대문 역할을 한다. 금강역사는 불법을 훼방하려는 세상의 사악한 무리를 경계하고, 사찰로 들어오는 모든 잡신과 악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들어가면서 오른쪽을 지키는 역사가 나라..

구례 화엄사 - 덕장정, 성행당, 광학장 (템플스테이 하는 곳)

요즘 전국적으로 템플스테이가 인기를 끌고 있어 유명 사찰마다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구례 화엄사에도 꽤 큰 장소가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으로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 좌측에 있는 3개동의 건물에 템플스테이를 참여하는 사람이 머물고 있습니다. 화엄사 템플스테이 장소인 덕장정, 성행당, 광학장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입니다.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고 밖에서 건물 모습만 담았습니다. <

구례 화엄사 - 만월당, 청풍당 (사천왕문 주변)

구례 화엄사의 사천왕문 좌우에 있는 건물입니다. 스님들이 기거하는 곳이라 생각됩니다. 작지 않은 건물들로 봐서 화엄사의 규모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곳입니다. 화엄사는 계단식으로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 건물들은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면 계단위로 보제루가 있고 계단 우측에 당간이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 보제루 아래 하나의 독립적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 좌측에 있는 만월당입니다. 화엄사 우측에 있는 운고각 너머로 스님들이 기거하는 곳이 보입니다.

구례 화엄사 보제루, 화엄사를 찾는 사람들 쉼터가 되는 강당

보제루는 구례 화엄사의 본 절 입구를 장식하고 있는 건물로 목조구조물에 색칠이 되어 있지 않아 고풍스러운 분위기른 느끼게 해주는 건물이다. 앞면 7칸의 규모가 큰 건물이지만 문화재로서의 중요성이 높지는 않은지 강당 내부는 이 곳 화엄사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강당에 앉아 경내를 보면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람배치에서는 강당은 금당 뒷편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사찰을 찾는 신도들과 승려들을 대상으로 경전을 공부하는 장소로 준비된 곳이지만, 요즈음 강당은 사찰을 찾는 신도들이 잠시 쉬는 공간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산지사찰의 경우는 누각과 강당을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누각이 출입문 역할을 하는 사찰 또한 많은 편이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면 우리를 맞이 해주는 누각..

구례 화엄사, 원통전과 나한전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 옆에 자리잡고 있는 원통전과 나한전입니다. 보통 주불전일때 원통전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화엄사는 규모나 형태면에서 주불전이 아닌것처럼 아담하게 세워져 있습니다. 나한전 또한 구석편에 아주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엄사 원통전은 대웅전이나 각황전에 비해 규모가 작습니다. 화엄사 석등을 배경으로 각황전, 나한전, 원통전, 영전이 차례로 있습니다. 아주 아담한 크기의 화엄사 나한전입니다. 화엄사에서 가장 큰 법당인 각황전과 비교해서 본 원통전 ☞ 원통전 관음전(觀音殿), 원통전(圓通殿)이라 일컫는다. 관세음 보살을 모신 불전인데 주불전일 때는 원통전이라 부르며 부속 전각일 때는 관음전이라 부른다. 관세음 보살은 모든 중생들의 고난의 소리를 들으시고 대자대비한 마음으로 이를 건져 주시..

구례 화엄사, 영전과 명부전

구례 화엄사의 대웅전 옆에 자리한 영전과 명부전입니다. 화엄사 대웅전 좌측에 있는 영전은 건물이 좀 오래되어 보이고 다른 절에는 눈에 띄지 않는 건물입니다. 규모는 큰 편에 속하는 건물이고 현판의 글씨가 깨끗합니다. 보통 명부전에는 탱화가 있다고 하는데, 얼른 보기에는 눈에 띄는 것은 아니고, 명부전에 많은 사람들의 이름을 적은 명찰 비슷한 것이 많다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 명부전 시왕전(十王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이 법당의 주불(主佛)은 지장보살이며 그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협시로 봉안하며 다시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을 안치한다. 후불탱화로는 지장보살 뒤에 지장탱화를, 시왕의 뒤에 명부시왕탱화를 봉안한다. 명부전은 일반적으로 대웅전을 향해 우측편에 위치하며..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륭탑 사자석등 (보물)

충주에서 남한강 하류쪽으로 내려가다가 원주방향으로 가는 길에 있는 청룡사지 보국국사정혜원융탑 사자석등입니다. 보각국사 사리탑의 불을 밝혀주는 석등으로 그 자체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석등, 사리탑, 탑비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어 사리탑으로서 완성도가 높아 보입니다. 충주 청룡사지에 남아있는 유물인 국보로 지정된 보각국사정혜원륭탑 앞에 있는 석등입니다. 이 석등 자체만으로도 문화재로의 가치가 높아서 보물로 지정된 유물입니다. 사자석등의 불을 밝혀주는 화사석 아래로 3단의 받침돌이 있는데 제일 아래에 있는 사자조각상에서 이름을 따서 사자석등이라 불립니다. 비슷한 모양의 석등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없은 것 같아..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황룡사실 - 금동약사불, 황룡사지 출토유물

국립 경주박물관 황룡사실에는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들이 있다. 황룡사가 오랜 기간 동안 존속해 왔던 대규모 사찰이었던 까닭에 불상, 생활용품, 염주 등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황룡사지 목탑터에서 발굴된 금동약사여래불 입상. 많이 발굴되고 현존하는 약사여래불 입상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삼국시대에 제작된 불상이라 한다. 금당터와 강당터, 회랑터, 목탑터 등지에서 모두 9점의 작은 금동불상이 출토되었다. 목탑터 동쪽에서 발견된 금동약사불입상은 화재를 입었는지 표면의 도금층이 벗겨지고 목 부분도 일부 파손되어 고개가 약간 뒤로 젖혀진 상태이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법의法衣를 입고 오른손에 약단지를 들고 있는 이 불상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원래는 발과 대좌가 없는 모습으로 발견되..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황룡사실 - 치미, 기와, 수막새, 암막새

국립 경주박물관에 전시된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유물들 중 기와와 같은 건축자재들이다. 황룡사의 규모를 느끼게 해 주고 있는 유물들로 바닥에 깔았던 용무늬전, 장식용 기와인 치미 등이 있는데 각각에 다양한 무늬로 장식해 놓고 있다. 잘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후대에 만들어진 궁궐 등의 건축물에 비해서 상당히 화려했었다는 느낌을 많이 갖게 한다. 황룡사지에서 발굴된 치미. 치미는 건물의 양끝을 세운 장식용 기와인데 통일신라 이후의 건물에는 치미가 있는 건물이 거의 없고 지금은 일본 나라의 동대사 같은 큰 사찰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상당히 화려하며, 외부에 금박 같은 것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 같다. 치미는 궁궐이나 절의 용마루 양끝에 세운 장식용 기와이다. 치미를 놓으면 건물이 더 높아 보이기 때문에 ..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 금동반가사유상 얼굴, 금동 불상들

경주박물관 미술관에는 전시된 다양한 금동 불상들이다. 황룡사에서 발굴된 금동반가사유상이 유명한 것 같고, 당시에 유행한 각종 불상들이 아주 작은 금동불상으로 많들어 졌다. 아마도 개인이 소장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비로자나불상 좌상, 반가사유상, 약사여래불 입상, 보살 입상 등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졌다. 삼국시대 백제, 신라 그리고 일본에서 유행했던 불상으로 보이는 반가사유상. 이 반가사유상은 섬세한 멋은 떨어지나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황룡사터에서 발굴된 반가사유상의 머리. 경주의 황룡사터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이 보살상의 얼굴은 머리의 보관은 앞부분이 조금 파손되었지만 단순한 형식의 삼산관이며 통통하게 살찐 둥근 얼굴은 두 눈을 지긋이 감은 듯하며 뺨을 팽창시켜 입가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 석조불상들,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

경주박물관 미술관에 전시작 유물들 중 석조 불상들이다. 많지는 않지만 경주 일대에서 발굴된 석조 불상유물들을 전시해 놓고 있는데 주로 경주 남산에서 발굴된 유물이 많은 것 같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불상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 남산 봉우리인 장창골에서 발굴된 석조미륵삼존불이 예술적가치가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유행한 비로자나불, 약사여래, 보살 등의 입상, 좌상 들이 많아 보인다. 경주 남산골에서 발굴된 유물이 석조미륵삼존불이다. 석굴암처럼 완벽하게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나름 예술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삼존불은 1925년 경주 남산의 북쪽 봉우리인 장창골의 한 석실(石室)에서 옮겨온 것으로, 입가에 머금은 천진난만한 미소 때문에 ‘애기부처’ 로도 불리운다. 애기 같은 ..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경주박물관, 백률사 금동약사불 입상 (국보)

경주박물관에 전시중인 국보로 지정된 백률사 금동 약사불 입상이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크기나 형태면에서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불상이다.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형식적인 면이 많다고 하며 생동감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백률사 금동 약사불 입상은 세련된 곡선미를 보여주고 있으나, 생동감이나 힘이 넘치는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은 많이 주지 못하고 있다. 측면에서 본 백률사 약사불 입상. 1930년 경주 백률사에서 옮겨왔으며, 현재 광배와 두 손 및 대좌(臺座)를 잃었으며 표면 곳곳에 도금 자국이 남아 있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우게 되어있는데 그 위치로 보아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처럼 약단지를 받들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크기와 주조 기법 그리고 조각수법과 신체비례..

지역박물관 2009.07.18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금석문실 - 화랑정신의 표현 '임신서기석', 남산신성 축조 기록 '남산신성비'

신란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을 남겼는데 현재까지 가장 많이 남아있는 것은 각종 비석에 글자를 새겨서 업적을 남기고 있고, 그 기록 중에는 다양한 연도표시가 되어 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것이 진흥왕이 전국 각지에 남긴 순수비일 것이다. 경주 박물관에는 진흥황 순수비는 없지만 가장 유명한 것이 화랑정신을 새겨 놓은 임신서기석과 남산신성 축성 기록을 남겨 놓은 남산신성비이다. 비석 외에도 사리, 기와 등에서 한문으로 각종 기록을 남겨 놓고 있다. 신라 화랑에 대한 기록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임신서기석'이다. 자연석에 74자로 이루어진 글귀를 새겨 놓고 있는데 화랑정신의 실천을 다짐하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1934년 경주 석장동(錫杖洞)에서 발견된 것으로, 비석의 첫머리에「임신(壬申)」이라는 간지(干支)가 ..

지역박물관 2009.07.18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 얼굴무늬 수막새 (신라의 미소), 도깨비 기와

경주를 대표하는 상징 중의 하나인 '신라의 미소'로 불리기도 하는 경주 영묘사터에서 발굴된 얼굴무늬 수막새와 도깨비 기와를 포함한 각종 수막새와 다양한 기와들이 경주박물관 미술관 불교미술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다. 신라의 기와는 획일화된 형태가 아니라 다양의 형태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 경주 시내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캐릭터이자 유명한 경주빵 상표이기도 한 '신라인의 미소'를 잘 표현하고 있는 얼룩무늬 수막새이다. 간결하고 단순화되었으면서도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경주 영묘사터[靈廟寺址]에서 발견된 얼굴무늬수막새이다. 대개 둥근 수막새에는 연꽃무늬가 장식되는데, 이처럼 얼굴무늬가 표현된 것은 매우 독특한 경우이다. 수막새 뒷면에 반원형 수키와를 붙였던 흔적이 남아 있어 실제로 건물에 사용되었던 것임을 알..

지역박물관 2009.07.18

일본 미카타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지브리 박물관,

'모노노케 히메' 같은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일본 감독 '미야자키 하야요'의 작품을 전시하는 일본 미카타현에 위치한 지브리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동경 교외에 공원에 있으며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어린 아이들 위주로 작품을 전시해 놓고 있는 많은 어린 학생들이 가고 싶어하는 박물관이다. 유럽을 동경하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특징이 잘 반영된 것 같은 지브리 박물관의 외관이다. 주위에 작은 수목들을 아기자기하게 꾸며 놓은 것이 이탈리아 교외에 있는 건물들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지브리 박물관에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조각작품인데 그의 작품 '천공의 성 라퓨타'에 등장하는 로봇을 조각작품화 한 것으로 보인다. 지브리 박물관 내부는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 아마도 이 작품이..

일본(Japan) 2009.07.09

일본 동경 에도성 - 일본 천황이 거처하는 에도 막부 쇼군의 거처였던 곳

일본 동경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 천황이 거처하는 에도성이다. 이 곳은 원래부터 일본 천황이 살던 곳이 아니고 막부시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이묘시절 막부였다가 쇼군이 된 이후에 일본 정치이 중심이었던 곳이다. 천황이 이 에도성에 살게된 건은 불과 메이지유신 이후 불과 100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기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방문객들은 니주다리와 후시미 망루만 보고 것이 일반적인 관광 코스가 아닌가 생각된다. 에도성은 국왕이 살던 우리나라의 궁궐과는 다른 형태이며, 교토에서 천황이 살던 어소가 우리나라 궁궐과 비슷하다. 일본 동경의 에도성을 대표하는 장면인 일명 '안경다리'라고 불리는 니주다리와 후시미 망루 상당히 깊고 넓어 보이는 에도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일본 성곽의 전형적인 ..

일본(Japan) 2009.07.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