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138

경조 남산 용장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187호)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이다. 3층 대좌에 위에 앉아 있는 불상은 머리가 없어졌으며 손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불상은 신체의 볼륨이 강조하지 않고 현실의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는데 조각수법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우수하다.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은 석굴암 감실의 불상이나 8세기 중엽 불상들에서 보여주는 특징이다. 불상이 남아 있는 이곳은 용장사에서 불전 역할을 했던 공간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 넓지 않은 공간이지만 옛 용장사에서 주불전에 해당하는 공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얼굴과 손 등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신체의 비례나 세부표현이 사실적이다. 불상이 올려져 있는 3단의 원형 대좌. 불상 앞에서 내려다 보이는 경주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이다. 삼층석탑 아래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불상을 새겨 놓았다. 얼굴은 원만하게 표현했으며 신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 활력있는 형태, 세련된 선의 흐름 등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바위 옆 공간에는 석조여래좌상(보물 187호)이 남아 있다. 용장사 절터는 금오산 정상부에서 서쪽으로 멀지 않은 용장사 계곡 정상 부근에 자리잡고 있는데 그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조선초 세조때 생육신인 김시습이 이곳에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했다고 한다. 경주 남산 용장사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바위에 돋을 새김한 불상으로 단순하지만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돋보인다. 마애불상..

경주 남산 삼릉곡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

경주 남산 탐방로 중 삼릉계곡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이다. 석굴암 본존불 조각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상으로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게, 옷주름선은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꽃무늬와 안상을 조각해 놓았다. 얼굴부분이 파손이 심했는데 최근에 보수하여 복원해 놓고 있다. 광배 또한 불상에서 떨어져 있던 것을 원래의 위치에 붙여 놓았다. 불상이 있는 절터에는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약사여래좌상과 경주박물관에 있는 삼층석탑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큰 규모의 암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삼릉계곡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 666호).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의 조각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통일신라 석조불상이다. 연화대좌에 결가..

경주 남산 삼릉곡 마애관음보살상

경주 남산 삼릉계곡에서 2번째로 볼 수 있는 유물인 마애관음보살상이다. 바위에 불상을 새겨놓고 있는데, 보관을 쓰고 정병을 들고 있는 모습이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불상 뒷편 기둥모양 바위가 광배역할을 하고 있다. 얼굴과 몸통 윗부분은 입체감 있게 조각되었으나, 아랫부분은 윤곽이 거의 없으며,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조성연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통일신라 전성기인 8~9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주 남산 삼릉계곡 탐방로에서 2번째로 만날 수 있는 유물인 마애관음보살상. 불상은 기둥처럼 생긴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불상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으며, 정병을 들고 있는 모습에서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쪽에서 본 모습.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

신라 불교의 성지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이다. 배리삼릉 뒷편 계곡을 따라서 오르는 탐방코스에서 첫번째로 볼 수 있는 불상이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어 원형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다. 높이 1.6m의 상당히 큰 규모이며, 머리가 잘려있다. 불상의 신체나 복식 등 세부 표현이 섬세하며, 웅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때 만들어진 불상으로 보인다. 경주 남산 배리삼릉 뒷편 계곡 탐방로에서 첫번째로 볼 수 있는 불상. 불상은 얼굴이 남아 있지 않지만, 신체나 복식의 세부표현이 섬세하며, 전체적인 조형미도 우수한 편이다. 옆쪽에서 본 모습 뒷편에서 본 모습.

경주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186호)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있는 삼층석탑(보물 186호)이다. 바위를 1층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2층기단과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 정형화된 삼층석탑 형태를 하고 있는데, 주위 경치와 함께 아름다운 조형미를 만들고 있다. 절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다시 세웠다고 한다. 용장사는 금오산 정상부 서쪽 용장사 계곡 정상에 자리잡고 있었다. 사찰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며, 절터에는 삼층석탑으로 비롯하여 석조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이 남아 있다. 조선초 천재이자 생육신 중 한명인 김시습이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한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경주 용장사 계곡 정상부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 186호).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명장면으로 주변 경치와 어우러져 아름다운 조형미를 만들어 내고..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907호)

경주 현곡면 남사리 마을 뒷편 절터에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으며,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은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을 하고 있지 않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나 세부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절터에는 삼층석탑 외에 특별한 유물이나 건물터 흔적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기록에도 남아 있지 않다. 통일신라 왕경이었던 경주 교외에 조성된 귀족들의 원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 불국사 삼층석탑과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는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삼층석탑이다. 삼층석탑 기단부. 기둥모양을 새겨 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이 없다. 3층으로 된 ..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908호)

경주 용명리마을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 908호)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이 없는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다. 전체적인 구성이나 비례와 조각수법 등은 양호한 편이다. 절터에는 삼층석탑 외 특별한 흔적은 남아 있지 않고 주변에는 민가들이 흩어져 있어 옛 사찰의 규모를 짐작할 수 없다. 이곳에 용명사(龍明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사찰의 내력에 대한 기록도 없는 듯 하다.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908호).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조가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는 양호한 편이다. 석탑 기단부.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

경주 단석산 마애불상군(국보 199호)

경주 단석산(斷石山, 해발 827m) 중턱에 있는 마애불상군(국보 199호)이다. 자연암석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고 있다. 석굴 내부 바위에는 10구의 부처와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미륵보살(여래입상)이 북쪽면에, 동쪽에는 관음보살, 남쪽에는 지장보살을 새겨 삼존불을 이루고 있다.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굴사원으로 불상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충남 서해안 지역 서산이나 태안의 삼존불과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중국 낙양이나 산동지방에서 유행했던 석굴사원이 백제를 거쳐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석굴사원은 경주 골굴암, 군위 석굴암을 거쳐 토함산 석굴암에서 신라의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운다. 경주 단석산 마애불상군(국보 199호). 삼국시대 신라..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

남원 용담사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이다. 큰 바위에 부처의 형상을 부조로 새겨놓은 높이 6m에 이르는 거대한 불상이다. 얼굴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보기 힘들지만 힘차고 박력있는 표정을 느낄 수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비롯하여 고려 초 호족세력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성한 거대한 불상 중 하나이다. 조각으로 표현된 부분이 마모되어 알아보기는 힘들지만 전체적으로 힘이 넘치고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도 양호한 편이다. 남원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도선국사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오고 출토된 유물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남원 용담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 42호). 얼굴 형체는 알아볼 수..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보물 294호)

경남 함양군 승안사 절터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의 모습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새겨놓은 통일신라말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머리장식으로 받침과 복발, 연꽃모양장식이 남아 있다. 기단과 탑신의 비례에서 보이는 조형미가 비해 떨어지는 편이며, 고려전기 특색을 보여주는 장식들이 여러곳 있다. 승안사(昇安寺)는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 북쪽에 승안산 기슭에 있던 사찰로 조선초 사찰이 있었다는 사실 외에 다른 기록이 없다. 조선중기 이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에 부조를 새겨 놓은 통일신라 말 삼층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에는 부처, 보살, 비천..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 구한말에 지어진 고택

경남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이다. 인근 개평마을에 세거지를 형성하고 있는 정여창의 후손이 분가하여 터를 잡고 살아온 마을에 자리잡고 있다. 이 집은 아주 오래된 고택은 아니고 구한말에 지어졌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담장으로 안채와 사랑채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유교적인 질서가 해체되는 구한말에 지어져서 집 규모가 큰 편은 아니지만 대저택에서 사용하는 솟을대문을 사용하고 있다.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조선중기 문신 정여창의 후손들이 분가해서 세거지를 이루고 있는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이다. 정여창을 모신 남계서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유교적인 질서가 무너진 구한말에 지어진 고택으로 문간채는 솟을대문을 사용하고 있다. 안쪽에서 본 문간채. 한쪽편에는 문간방이..

고택_정원 2016.10.24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경남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로 풍천노씨 입향조인 조선초 문신 노숙동이 처가인 이 마을에서 처음 자리잡은 곳이다.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일렬로 배치되어 개방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의 구조나 형태 등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당시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마을의 대종가이지만 저택의 규모나 형태가 소박하면서도 검소해 보인다. 개평마을은 하동정씨, 풍천노씨, 초계정씨가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집성촌으로 함양을 대표하는 양반들의 세거지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창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마을 특산물로는 정여창 종가에서 손님을 접대했던 지리산 솔송주가 있다. 개평(介坪)이란 말은 두개의 하천 사이에 있다는 뜻이다.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조선중기 풍..

고택_정원 2016.10.10

함양 개평마을, 일두고택

함양군 개평마을에서 가장 큰 저택인 일두고택이다. 조선중기 유학자이자 문신인 정여창이 살았던 집터에 후손들이 다시 크게 지은 것이다. 경남 서부 지역을 대표하는 대저택을 넓은 부지에 사랑채, 안사랑채, 안채, 아래채, 광채, 사당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안채는 약 300년 전에 다시 지었으며, 사랑채는 구한말에 지었다. 폐쇄적인 구조의 경북북부 지역의 한옥과 달리 ‘-’자형구조를 하고 있으며 넓은 마당을 쓰고 있다. TV드라마 '토지'를 비롯하여 많은 사극에 등장했던 한옥이다. 개평마을은 하동정씨, 풍천노씨, 초계정씨가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집성촌으로 함양을 대표하는 양반들의 세거지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창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마을 특산물로는 정여창 종가에서 손님을 접대..

고택_정원 2016.09.28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함양 개평마을 고택 중 하나인 하동정씨 고가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자형으로 앞면 6칸의 상당히 큰 규모이다. 사랑채는 앞면 3칸으로 별당 또는 아래채 건물 규모이다. 사랑채가 있던 자리에는 정원수가 있는 넓은 마당으로 바뀌었다. 마을 대저택인 일두고택과 비슷한 시기인 1644년에 지었다고 한다. 양반들의 세거지였던 개평마을의 명성에 걸맞게 이 집 주인은 성균관대 학장과 차관을 지냈다고 한다. 고택이 있는 개평마을은 하동정씨, 풍천노씨, 초계정씨가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집성촌으로 함양을 대표하는 양반들의 세거지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창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창의 후손이 분..

고택_정원 2016.09.21

함양 개평마을, 오담고택

경남 함양 개평마을에 있는 오담고택이다. 정여창의 후손인 오담 정환필이 분가하면서 구한말인 19세기에 지어진 고택이다. 앞쪽에 '-'자형 사랑채, 뒷편에 안채를 두고 있으며 마당을 넓게 쓰고 있다. 조선후기 종가에서 분가한 양반계층의 주거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고택이다. 고택이 있는 개평마을은 하동정씨, 풍천노씨, 초계정씨가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집성촌으로 함양을 대표하는 양반들의 세거지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창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함양 개평마을 오담고택. 조선중기 문신이자 유학자인 정여장의 후손이 분가하면서 지은 고택이다. 앞쪽에 사랑채를, 뒷편에 안채를 두고 있다. 마당을 넓게 쓰고 개방적인 조선후기 남부지방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바깥주인이 거처하면서 손님을 ..

고택_정원 2016.09.19

함양 개평마을, 노참판댁 고가

함양군 개평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중 하나인 노참판댁 고가이다. 가옥은 사랑채와 안채가 일렬로 배치된 전형적이 남부지방 한옥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의 규모는 크지 않고 검소한 편이다. 구한말 바둑계의 일인자였던 노근영이 태어나고 살았던 유서깊은 집이다. 이 가옥이 위치한 개평마을은 함양을 대표하는 양반들의 세거지로 하동정씨, 풍천노씨와 초계정씨가 터를 잡고 살아오고 있다. 조선중기 유학자인 정여창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함양 지곡면 개평마을 남아 있는 노참판댁 고가.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고택이라하며 앞쪽에 사랑채가, 뒷쪽에 안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한말 도시한옥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문간채. 사랑채. 앞면 4칸 규모로 대청마루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건축적으로 잘 ..

고택_정원 2016.09.15

함양 안의 광풍루

조선시대 안의현 읍치였던 함양군 안의면 소재지에 남아 있는 광풍루(光風樓)이다. 남강이 내려다 보이는 읍치 동쪽편에 선화루라는 이름으로 조선초기에 처음 세워졌다. 조선중기 안의현감을 지낸 정여창이 광풍루라 이름을 붙였다. 관아에서 공식적인 연회나 회의를 위해서 세운 2층 누각으로 앞면 5칸, 옆면 2칸의 비교적 큰 규모이다. 내부는 넓은 마루로 되어 있으며, 사방이 뚫려 있다. 시골이지만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남강과 읍치의 옛 풍경은 남아 있지 않지만, 웅장한 누각의 모습은 잘 남아 있다. 안의현(安義縣)은 경남 함양군 안의면과 주변지역이 설치되었던 조선시대 지방행정 조직이다. 이 지역은 덕유산 남쪽의 여러 갈래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에 자리잡고 있는데, 덕유산에서 발원한 남강을 중심으로 마을이나 농경..

조선 관아 2016.08.30

함양 허삼둘가옥

함양군 안의면 소재지에 있는 삼둘가옥이다. 기존 한옥과 약간 다른 면모를 보이는 일종의 개량한옥이다. 바깥쪽에 사랑채와 바깥행랑채가 ‘-’자로 배치되어 있고, 안쪽에 ‘ㄱ’자형 안채와 ‘-’자형 안행랑채가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을 이루고 있지만 안마당을 넓게 쓰고 있으며 개방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특히, 안채 한가운데에 부엌을 배치하여 여자들이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생활편의를 고려한 공간배치는 일제강점기 전통한옥의 변화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마을은 옛 안의현 읍치였던 곳으로 마을 형상이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 하여 ‘쇠부리’라고 불린다. 일제강점기 때 부호였던 윤대홍이 부인 허삼둘과 함께 지었다고 한다. 함양군 안의면 소재지에 남아 있는 전통 한옥인 허삼둘가옥이다. 일..

고택_정원 2016.08.11

함양 청계서원, 김일손을 모신 서원

연산군 때 학자이자 문인인 김일손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함양 청계서원이다. 조선시대 세워진 서원은 아니고 1907년에 세워진 사당 성격의 서원이다. 강당을 중심으로 강학공간이 낮은 곳에, 사당을 높은 곳에 배치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남계사원과 거의 비슷하게 지어졌는데 건축적 측면에서 완성도는 떨어지는 편이다. 김일손(1464~1498년)은 조선 성종~연산군대 활동한 학자이자 관리로 남계사원에 모셔진 정여창과 함께 김종직의 제자였다. 그는 사관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이란 글을 사초(史草)에 넣어 무오사화 때 희생되었다. 한때 이곳에서 ‘청계정사’를 세후고 후학들을 양성했다고 하여 지역 유림들이 그를 기리는 유허비와 서원을 세웠다. 목천 도동서원과 청도 자계서원에 모셔졌다. 함양 남계서원 옆..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