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중부지방민가이다. 'ㄱ'자형 건물의 안채와 '-'자형의 별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로 사랑채를 두고 있지 않다. 집안에 디딜방아가 있으며, 농기구와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광이 많고, 집안 농사일을 돌보던 머슴이 머물던 작은 방이 별채에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일정규모 이상의 농지를 가지고 농사에 종사하던 중농이상의 계층이 살았던 집으로 보인다. 서울지역 민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ㄱ'자형 안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사랑방 영역으로 나누어 같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방과 그 앞의 툇마루가 있는 것으로봐서는 남녀구분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부지방 생활과 문화를 잘 보여주는 구조를 하고 있는 민가이다.
중부지방민가
중부내륙지방의 생활과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민가이다. 안채는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 특유의 'ㄱ'자형이나 부엌 안에 칸 막이를 하여 광을 둔 점이 특이하다. 부엌에 연하여 안방이 2칸 통으로 길게 연한 것 또한 서울의 민가와 상통하는 형식이다. 사랑채를 별도로 두지 않고 농기구와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광을 다양한 구조로 배치한 전형적인 농가 형식이다. <출처:한국민속촌>
별도의 문간채나 대문을 두고 있지 않은 전형적인 민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 한옥은 산을 등지고 있는데, 이 가옥의 경우는 도로를 등지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복원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이런 가옥 배치를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출입문을 들어서면 툇마루를 달아 놓아서 정자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는 이 가옥의 사랑방이 보인다. 남녀구분을 고려한 건물배치로 손님들이 들어올 수 있는 범위를 말해주고 있다. 아마도 농업에 종사하던 양반계층이 살았던 집이 아닐까 생각된다.
안방과 사랑방이 같은 건물에 있으며,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공간을 분리하고 있다. 'ㄱ'자형으로 구성된 서울 지역 민가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한다. 마당이 꽤 넓은 편에 속하는 집이다.
집안의 중심이 되는 대청마루. 앞면 2칸이지만, 폭이 넓지 않아서 그리 넓다고 보기는 힘들다. 대청마루 안쪽으로 2칸을 틔어 놓아 넓어 보이는 안방을 두고 있다.
안방 내부. 뒷편으로 출입문을 두고 있다.
안방 뒷편으로는 툇마루를 두어서 여자들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로 툇마루가 도로쪽으로 나 있는데, 이는 잘못된 건물배치로 보인다. 원래는 뒷마당과 장독대가 있어야 할 공간으로 도로가 지나가고 있고, 그 옆으로 세워진 담벼락 또한 원래의 모습은 아닌듯 하다.
안방 옆에 있는 부엌.
부엌 옆으로는 술독 등을 보관하던 작은 광이 있다.
안채 맞은편에는 디딜방아와 농기구, 곡물 등을 보관하던 앞면 5칸 규모의 '-'자형으로 된 광채가 있다. 이집 농사일을 돌보던 머슴이 살았던 곳으로 보이는 방이 있다.
디딜방아
곡물 등을 보관하던 광.
절구통
마당 한가운데 체험을 위해 준비해 놓은 물지게
마당 한쪽편에 있는 닭장
중부지방 민가.
'고택_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민속촌 한옥, 제주 산간촌 가옥2 (2) | 2011.06.09 |
---|---|
한국민속촌 한옥, 제주도 산간촌 가옥 (0) | 2011.06.07 |
제천 청풍 후산리 고가 (0) | 2011.06.05 |
제천 청풍 황석리 고가 (0) | 2011.06.03 |
한국민속촌 한옥, 99칸 중부지방 양반가 대저택 (2) | 2011.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