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성곽(산성_읍성) 225

월미돈대, 월미산 정상에 세워진 돈대

인천 월미도 정상 부근에 쌓아 놓은 월미돈대이다. 조선후기 서울 부근 해안 경비를 강화하기 위해 쌓은 많은 돈대중의 하나로 현재에 있는 돈대구조물은 당시에 있던 것은 아니고 문헌을 통해서 그 위치를 추정하고 재현해 놓은 것이다. 월미돈대는 월미도에서 가장 전망이 좋은 곳으로 인청항 도크 안쪽의 선박들이 정박해 있는 항구가 아주 잘 보일 뿐 아니라, 인천 앞바다를 오가는 선박들을 감시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월미산 정상 바로 아래에 쌓아 놓은 월미돈대. 산성처럼 일반적인 전투를 위해서 쌓은 것은 아니고, 해안을 지나가는 선박을 감시하는 목적으로 쌓은 것으로 보인다. 월미돈대 올라가는 길 월미돈대 내부. 화포가 전시되어 있는데 이 곳 월미산 정상에서는 화포의 사거리 문제로 효용성은 많지 않았을 ..

[수원 화성] 동남각루와 남수문터

창룡문에서 시작한 수원화성 동쪽편 성곽 걷기가 끝나는 지점인 동남각루이다. 성곽위에서 보면 작은 누각하나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곽 아래에서 보면 웅장하고 위압적인 곳에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남각루는 지금은 없어진 남공심돈과 마주보고 있으며, 수원화성에서 방어에 제일 취약한 지역인 남수문을 지키던 방어시설로 특별은 시설로서 적을 제압하는 것이 아니라 치성이 점하고 있는 위치의 장점으로 그 기능을 다하던 시설이다. 평지를 걷는것 같던 수원화성 성곽길은 동남각루에서 경사진 길을 내려와 수원화성 상업의 중심지인 팔달문과 지동시장, 남수문터로 내려온다. 상업의 중심지답게 팔달문과 남수문터 사이의 성곽 시설은 지금은 없어져 버렸다. 수원화성 동남각루는 치성위에 작은 누각을 올려놓고 있는 형태로 공심돈..

[수원 화성] 동이포루와 동삼치

수원화성 동쪽편 봉수대가 설치된 봉돈을 지나 동남각루를 가기 전에 볼 수 있는 한쌍으로 포루와 치성이다. 동이포루는 성벽에서 많이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쪽 포루와는 다르게 판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공심돈과 같이 속이 비어 있는 구조도 아니다. 단지 치성위에 정자를 올려놓은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봉돈에서 공심돈의 기능을 하기때문에 간략하게 지은 것으로 보인다. 수원화성 동이포루. 치성위에 누각을 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포루는 성곽을 돌출시켜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동이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중 동쪽에 위하며 1796년 7월 3일에 완공되었다. 평탄하고 넓은 지형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돈을 방어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서북쪽의 포루와 다르게 성벽에서 많이 ..

[수원 화성] 봉돈, 봉수대와 돈대 기능이 함께 있는 돈대

수원화성을 성곽 창룡문을 지나서 2개의 포루와 치성을 지나면 우리나라에서 거의 유일한 군사시설인 봉돈을 볼 수 있다. 봉돈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적의 동태를 감시하고 제압하는 돈대의 기능과 수원화성과 다른 지역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봉수대의 기능을 같이 하고 있기때문이다. 중국 청나라 건축의 영향을 받아서 벽돌로 쌓아 만든 봉돈은 아래쪽은 공심돈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위쪽에는 5개의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수원화성의 봉돈은 용인 석성산 봉화, 서해안 흥천대 봉화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수원화성 동쪽 성곽에 설치된 봉돈. 돈대 위에 구운 벽돌로 쌓은 5개의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옆에서 본 수원화성 봉수대 봉화신호체계 수원화성 봉돈 아래쪽은 공심돈처럼 비어 있으며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수원 화성] 동포루, 동이치, 주변 성곽길

동포루는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과 남문인 팔달문 사이에 있는 포루로서 치성을 벽돌로 쌓아 공심돈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시설이다. 당시 중국의 성곽 축성 기술을 참조하여 쌓은 것으로 보이며, 창룡문과 팔달문 사이의 방어시설 중에서 화력이 제일 좋은 곳으로 보인다. 동포루를 지나면 동이치가 있고 그 다음 광교산 방향을 보고 있는 봉수대로 연결된다. 동포루는 공심돈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수원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전형적 포루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내부는 비어있으며, 3층 구조물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여러 방향으로 총포를 발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많은 병력이 포루 내부에서 적을 방어할 수 있는 시설이다. 동포루는 화성의 5개포루 중 동쪽 동일치와 동이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년 7월 1..

[수원화성] 동일포루와 동일치, 창룡문 남쪽 성곽길

수원화성 동쪽방면 성곽은 약간 경사진 언덕위에 위치하고 사람의 왕래가 많지 않았던 곳 위치한 까닭에 동문인 창룡문과 남문이 팔달문까지의 거리는 다른 곳에 비해 긴편이고 평이하게 치성과 포루가 반복되고 있으며 중간에 봉수대 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동일포루와 동일치는 창룡문에서 남쪽방향으로 있는 방어시설이다. 동일포루. 창룡문에서 남쪽으로 걸어가면 첫번째로 보이는 방어시설이다. 다른 포루와 다른 판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정자처럼 보인다. 포루는 성곽을 돌출시켜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동일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년 7월 10일 완공되었다. 평탄하고 넓은 지형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쪽의 포루와 다르게 성벽에서 많이 돌출되었으며 ..

[수원 화성] 동문격인 창룡문

창룡문은 수원 화성의 동문으로 군사지휘소 역할을 했던 동장대와 인접해 있는 성문이다. 보통 성곽 출입문의 경우 북쪽에 통행이 많지 않고 동.서 문이 출입이 많은 것이 보통이다. 수원 화성의 경우 서울 방향의 출입문인 북문격인 장안문이 정문역할을 하는데다 창룡문 주변에는 군사훈련을 하는 동장대가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이 출입을 꺼렸을 것으로 보이는 출입문으로 장안문이나 팔달문에 비해 성문의 높이도 낮고 단층 문루가 설치되어 있다. 옹성에도 별도의 출입문을 두지 않고 통로만 만들어 놓고 있다. 수원 화성 동문이 창룡문. 군대가 주둔하고 훈련하던 동장대 주변에 위치한 까닭에 창룡문을 드나드는 도로가 발달해 있지 않고, 주위에 치성같은 방어시설을 많이 두고 있지 않다. 창룡문 문루는 팔달문이나 장안문처럼 2층 누..

[수원 화성] 동북공심돈, 동북노대

수원화성 동장대을 지나면 1번국도에서 수원화성 안으로 들어오는 제일 넓은 길이 있고, 그 위를 지키는 모양을 하고 있는 동북공심돈과 동북노대를 볼 수 있다. 자동차가 많이 지나 다니는 1번국도 옆에 있기때문에 수원화성이 있는 많은 시설물들 중에서 사람들 눈에 가장 많이 익숙한 구조물일 것이다. 공심돈은 중국 청나라 수도 북경을 지키는 성곽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벽돌로 쌓아 올린 돈대로서 내부가 비어 있어 공심돈이라 불리며 화포로 중무장한 많은 병사들이 내부에서 적을 제압할 수 있는 시설이다. 또한 동북공심돈과 창룡문 사이에는 동북노대가 있는데 서장대가 있는 팔달산 정상의 서노대와 함께 수원화성에서는 2곳에 설치된 시설로 아마도 동장대를 호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동북공심돈과 동북노대..

[수원 화성] 동장대, 연무대라 불리는 수원화성의 중심

수원화성 동장대는 동문인 창룡문과 북수문인 화홍문 사이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장대이다. 팔달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가 화성 안밖을 감시하면서, 적과 화성에 주둔하고 있는 병사들의 움직임을 조망하면서 지휘하는 장소라면, 서장대는 이 곳 수원화성에 주둔하는 병사를 모아놓고 훈련을 하거나 군사적인 집회가 이루어진 곳이다. 실제로 정조대왕 재위시절에 이 곳에서 많은 행사가 있었으며, 군사들을 모아놓고 무예를 수련하게 했었다고 하며, 그래서 연무대란 별칭이 붙어 있다. 연무대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동장대. 수원화성 동북방면 언덕에 세워진 동장대는 사방이 트여있어 성안을 살펴보기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병사들이나 수원화성내 동태를 감시하는 역할보다는 병사들을 모아 놓고 훈련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

[수원화성] 각건대라 불린 동북포루와 동암문

동북포루는 수원화성 동북방면에 위치한 포루로서 팔달산을 제외하고는 이 일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가장 눈에 많이 띄는 포루이다. 그래서 이 포루는 화홍문에서 동장대까지 엄호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물이다. 이 동북포루의 형태는 성벽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치성위에 누각을 세웠으며, 치성은 속이 비어 있는 공심돈과 유사하다. 동북포루를 지나면 동암문이 있는데, 북암문과 거리는 짧은 편으로 아마도 동장대를 보좌하기 위한 출입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동북포루는 방화수류정 다음에 위치한 포루로서 각건을 닯아 각건대라 불리기도 한다. 큰 돌을 쌓아 올린 치성과는 달리 벽돌로 쌓아 올렸으며 공심돈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동북각루에서 동북포로 사이의 성곽 담당 부대가 적힌 표지석 동북포루 누..

[수원 화성] 방화수류정이라 불리는 동북각루와 북암문

수원화성의 동북각루는 그 아래에 있는 용연, 화홍문과 함께 경관이 가장 빼어난 곳으로 수원화성의 백미라 할 수 있는 곳으로 조선후기 건축기술의 뛰어남을 잘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그래소 동북각루는 방화수류정이라는 이름이 따로 붙여져 있으며, 꽃을 쫓고 버드나무를 따라가는 아름다운 정자라는 뜻이다. 건물은 앞면3칸, 옆면3칸으로 팔각지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흔히 볼 수 없는 건물구조를 하고 있다. 아마도 중국 건축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동북각루 위쪽으로는 구운벽돌로 쌓은 작은 암문이 있고, 암문을 통해서 용연과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용연, 방화수류정, 화홍문이 한데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동북각루는 우리나라에서 볼수 있는 정자의 건축양식과는..

[수원 화성] 화홍문(북수문), 조선시대 건축의 걸작

화홍문은 수원화성 북수문의 별칭으로 수원화성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수원천이 성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수원 화성 북쪽에 세워진 수문이다. 북수문은 홍예라는 아치형의 수문이 7개이 있으며, 이 수문에는 옛날에 최창살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겨울이라 많은 물이 흘러내리지는 않지만, 장마철이나 비가 온 후에 수문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장관이라 하여 수원팔경중의 하나로 꼽았다고 한다. 이 북수문위에 세운 누각은 화홍문이라 하며, 누각 자체로는 뛰어난 건축물이라 할 수 없지만 일곱개의 아치형 수문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화홍분 동쪽으로는 수원화성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자인 방화수류정이 있고, 그 앞으로는 용연이라는 작은 연못이 있다. 수원화성 북수문을 화홍문이라 부르며, 7개의 아치형 수문과 그 위에 세워진..

[수원 화성] 용연, 방화수류정 밖 아름다운 연못

수원화성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는 곳은 아마도 화홍문 아래로 흐르는 수원천 물길과 함께 방화수류정이라 불리는 동북각루, 그리고 그 아래에 조성된 작은 연못은 용연일 것이다. 용연은 크지도 않으면서, 성벽과 정자가 어우러져 아름다연 경관을 만들어낸다. 용연 가운데에는 전통적인 궁궐 연못을 연상시키는 작은 섬을 조성해 놓고 있다. 궁궐의 연못과는 달리 수원화성을 복원하면서 약간의 인위적인 모습이 보이기는 하지만, 원래 연못을 조성할 때의 위치가 뛰어나서 그런지 크게 흠이 되지는 않아 보인다. 방화수류정이라 불리는 각루와 그 아래 연못이 용연. 성곽과 정자가 연못에 비치는 모습인 빼어나다. 수원화성 성곽밖에 조성된 작은 연못인 용연. 용연에서 흘러내리는 냇물. 원래부터 용머리 모양의 배수가 있었는지는..

[수원 화성] 북동치, 북동포루, 장안문과 화홍문 사이 성곽길

수원화성의 정문인 장안문과 제일 아름다운 구조물인 화홍문 사이는 거리가 멀지않고 그 사이 성곽길에는 북동적대, 북동치, 북동포루의 3개의 방어시설이 있다. 이 성곽길 바깥쪽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많은 야외행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성곽길을 걸어가면 성안 서쪽편 팔달산과 서장대가 보이고 거기에서 이어진 화서문, 장안문과 동쪽의 동장대가 보인다. 수원화성에서 가장 편안하게 성곽길을 걸을 수 있는 코스이다. 장안문 동쪽 옆에 있는 북동치는 북동적대와 같이 붙어있다. 북동치를 지나서 화홍문을 가는 성곽길. 화홍문을 서쪽편에 있는 북동포루. 벽돌을 쌓은 중국풍 전성의 모습이 보이는 곳이다. 돈대와 치성의 기능을 같이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북동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북동쪽 장안문과 화홍문 사이에..

[수원 화성] 북문인 장안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성문

수원 화성 북쪽 출입문인 장안문은 서울의 숭례문보다 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성문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에서 오는 길과 연결된 장안문은 그래서 특이하게 북문임에도 정문으로 여겨지는 성문이다. 바깥쪽에는 옹성이 있고 팔달문과 함께 옹성에 별도의 출입문이 있다는 것이 화서문, 창룡문과 다른점이다. 조선시대에는 누각이나 궁궐 정전 건물은 보통 팔작지붕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곳 장안문은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는 이층건물로 아마도 자금성을 포함한 북경의 주요 건물이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는 것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강대국을 표방하고자 했던 정조대왕의 기상을 엿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한다. 수원화성 북문인 장안문. 벽돌로 쌓은 옹성이 있고, 옹성에도 아치형의 출입문을 두고 있다. 아치형의 옹성 출입..

[수원 화성] 장안문을 지키는 북서적대, 북동적대

적대는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좌우에 설치해 놓은 시설로 수원화성에서는 장안문과 팔달문 양쪽에 설치하였는데, 팔달문 양쪽 적대는 없어지고 장안문 양쪽에 있는 적대만 남아 있다. 적대는 치성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화포를 전시해 놓고 있는데, 화포가 들어갈 자리는 아닌것으로 생각된다. 장안문 서쪽편에 위치한 북서적대. 북서적대 내부에는 화포가 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흉벽에서 총이나 조선의 주력화포였던 블랑기를 발사 했을 것으로 보인다. 장안문 동쪽에 위치한 북동적대. 장안문과 북동적대 사이에 수원화성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중앙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북동적대 바로 옆에는 북동치가 바로 붙어 있다. 아마도 장안문 부근이 돌출되어 있어 북동적대가 전 방향을 감당할 수 없기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적..

[수원 화성] 북포루, 북서포루, 화서문과 장안문 사이 성벽

수원 화성의 사대문인 팔달문, 화서문, 장안문, 창룡문은 정확하게 동.서.남.북 방향으로 출입문이 난 것은 아니다. 화서문과 장안문은 약간 북서방향으로 출입문이 나있고, 그 거리도 가까운 편에 속한다. 그래서 화서문과 장안문 사이에는 치가 없고, 북포루와 북서포루의 2개 포루가 있다. 북포는 치성위에 누각을 쌓은 보통의 포루와 비슷하지만, 북서포루는 공심돈과 비슷하게 벽돌로 성밖에 돌출된 치를 쌓고 그 내부을 비워놓고 군사들이 포를 발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화서문과 장안문 사이 성벽 바깥쪽으로는 공원을 조성해 놓고 있다. 북포루. 화서문과 서북공심돈을 지나서 조금 걸어가면 있는 포루로 성벽에서 돌출된 치성 위에 누각을 올려놓고 있다.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북포루 누각 수원 화성 성벽 바깥에서 본 북포..

[수원 화성] 서북공심돈,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들었다는 공심돈

수원 화성은 정약용 등 당대 최고의 실학자들이 동서고금의 성곽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여 쌓은 조선시대 최고의 읍성으로 다양한 시설을 두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여러 시설물 가운데 하나인 공심돈은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인 돈대이다. 구운 벽돌을 쌓어서 만든 시설로 당시 정조대왕이 크게 자랑스러워했다는 시설이다. 아마도 중국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지점인 천하제일관의 문루와 돈대, 성벽 등의 시설을 보고 수원 화성 축성시 많이 참조해서 그런것으로 보인다. 수원화성 화서문을 지키는 망루인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은 성벽위에 벽돌을 2층으로 쌓아 돈대를 만들고, 그 위에 누각을 올려놓고 있다. 수원 화성을 쌓으면서 참조했을 것으로 보이는 산해관 성벽위에 설치된 돈대. 조선후기 청나라를 방문하는 우리나라 ..

[수원 화성] 화서문, 수원화성의 서문

화서문은 화성의 4대문 중 서쪽 대문으로 1896년 (정조 20면)에 완공된 성문으로 약 200년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화서문은 축성당시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어 팔달문과 함께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화선문은 화성 남쪽 서해안 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 출발하는 곳으로 그 중요도에 있어서 정문격인 팔달문보다 낮았던 것으로 보이며, 성문의 크기가 작아 보인다. 화서문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이자 정조대왕의 최측인 채제공이 썼다고 한다. 팔달산 성벽길을 따라서 걸어 내려오다 서북각루에서 잠시 쉰 후, 평지에 도달하면 수원화성의 서쪽 출입문인 화서문과 화서문을 지키는 망루 역할을 하는 공심돈을 볼 수 있다. 화서문 부근을 보면 잘 알 수 있듯이 수원화성은 큰 돌을 쌓은 석성을 기본으로 하여 암문, 옹성, ..

[수원 화성] 서일치, 서북각루

수원 화성 서쪽 출입문인 화서문에서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에 위치하고 있는 서북각루와 서일치이다. 팔달산 능선을 따라서 경사진 길을 내려오던 성벽길이 평지로 바뀌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평지인 주변지역과 서쪽편 정면에 위치한 숙지산을 잘 감시할 수 있는 약간 높은 위치이다. 멀리 동북쪽 방향으로는 수원화성에서 높은 지역에 속하는 동장대 큰 누각이 보인다. 팔달산 능선을 따라 내려오는 성벽길. 팔달산 서쪽 성벽 밖으로는 수원역과 경기도청 등 행정기관에 많이 몰려 있다. 우리나라 행정기관 위치의 특징 중 하나가 성벽을 허문 자리 또른 성벽 주변에 많이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일치는 서북각루와 서포루 사이에 있는 치성이다. 서북각루. 수원화성 서문격인 화서문 주변을 감시하고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한 누각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