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성곽(산성_읍성) 225

강화 연미정과 월곶진이 설치된 월곶돈대, 북녁땅이 눈앞에 보이는 아름다운 정자.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 북방민족에 침입에 대배하여 국방상 매우 중요한 요충지로 인식된 강화도에는 군사조직으로 5진 7보가 설치되었고 방어시설로는 강화산성, 외성, 53돈대가 숙종대까지 설치되었다. 월곶진은 한강이 서해로 나가면서 강화해협인 염하와 서해로 나누어진 곳에 위치하고 하고 있어며, 한강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인 문수산성과 마주 하고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월곶진에서 다른 진.보보다는 높은 종3품인 첨사가 담당하는 군사조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산하에 옥창돈, 월곶돈,휴함돈,적북돈을 두고 있다. 월곶진은 강화10경의 하나로 손꼽히는 절경으로 옛날 서해에서 한강을 거슬러 한양으로 가는 배가 닻을 내려 조류를 기다리던 곳이며, 한양에서 강화를 방문하는 인사들이 배를 타고 올때 이 곳에서 내려 강화산성..

울주 언양읍성(사적 153호), 평지에 네모꼴로 쌓은 평지성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한 읍소재지로 고려, 조선시대에는 울산에 설치된 울산도호부와 여러차례 분리되었다가 통합되기도 하였다. 대체로 100~200m의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있으며, 남북으로는 양산과 경주가 연결되는 교톨로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가지산을 넘어 밀양과 동쪽으로는 울산과 연결되는 교통상 주요 길목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삼국시대 이래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고을이다. 지금도 경부고속도로가 이 곳을 지나가고 있으며, 울산방향 분기점 또한 언양에 위치하고 있다. 선사 유적지인 울주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 각석이 언양읍에서 약 6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언양읍성은 조선초기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쌓았던 전국의 읍성 중 하나로 처음에 흙으로 싸았던 것을 150..

고성 소을비포성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선전기에 쌓은 남해안 성곽

고성군 하일면 동하리에 소재한 소을비포성이다. 이 곳에는 조선전기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연 전국적으로 방어체제를 구축할 당시에 쌓은 성곽으로 왜구의 침입이 줄어들고 안정화되었던 시기은 성종대에서 선조대까지 쌓은 성으로 추정된다. 남해안 해상교통로인 통영과 삼천포 사이의 해안에 위치한 이 성곽은 조선시대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행정구역인 소을비포진이 있었던 곳이다. 이 성은 만(灣)을 형성하고 있는 내해에서 해안으로 돌출한 구릉 정상부에 둘레 200m, 높이 3m 규모의 성으로 주민들이 거주했던 읍성과는 달리 군사들이 주둔했던 주둔지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군사적인 필요에 따라 설치된 행정구역인 진(鎭)은 북쪽 국경지대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해안가에 많이 설치되었다. 조선시대의 진은 절도사(종..

보령 남포읍성, 고려말 왜구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읍성

보령시 남쪽 지역인 남포면 일대에는 조선시대에 남포현이 있어던 지역이다. 금강하구 서해안에서 서울 방향의 육로와 서해안 뱃길이 지나가던 이 고장은 고려말 왜구의 침입이 많았던 곳으로 충청수영이 설치된 오천과 보령읍성, 서산의 해미, 홍성의 결성 등과 함께 서해를 통해 침입하던 왜구에 대처하기 위헤 읍성을 쌓았던 고장 중 하나이다. 남포읍성은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쌓았던 전형적인 읍성의 모습을 하고 있어며,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도시화에 소외되었던 까닭에 읍성의 온전히 보존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남포읍성에는 주로 관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읍성은 둘레 900m 정도로 그리 넓다고는 볼 수 없지만 높이 3.6m의 석축성으로 상당히 견고하게 쌓은 읍성이다. 동.서.남쪽에 성문을 두고 북쪽편에 관아인 ..

보령읍성 성곽과 관아문

충남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는 주포면 소재지이자 조선시대 보령현 관아가 있었던 지역의 행정중심지였다. 현재의 보령시는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개편으로 보령,남포,오천군이 합쳐져서 만들어졌으며, 군청이 대천해수욕장과 대천항에 가까운 대천지역으로 1914년에 이전하면서 행정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잃고 작은 면소재지로 남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옛 보령현 관아가 있던 자리에 있는 보령읍성 성곽의 일부와 남문 문루인 해산문, 보령향교가 이 곳이 옛 보령현의 중심지임을 말해주고 있다. 옛 보령현 관아가 있던 자리에는 현재 주포초등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이 학교 담장과 출입문 역할을 했던 읍성 성곽의 일부와 남문 문루인 해산루가 남아 있다. 보령 읍성은 고려말에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처음 쌓았던 것으로 보이며, 태종때부터..

보령 충청수영성, 천수만 입구 조선시대 서해안 항로를 통제하던 수영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송리에 있는 작은 포구인 오천항은 조선시대 충청수영이 있었던 곳이다. 충청수영은 고려말에서 조선초까지 한반도와 중국 해안지방에 극심한 피해를 입혔던 왜구를 견제하기 위히 설치한 수영으로 충청병마절제사가 있었던 해미읍성과 함께 서해안을 방어하던 요지였다. 충청수영은 조선초에 설치되어 수영인 폐지된 1896년까지 오랜기간 동안 존속했던 곳으로 조선 세종때의 기록에 의하면 산하에 배속된 군선이 142척에 수군이 8,414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충청수영의 주 임무는 삼남지방에서 세금으로 거둬들인 쌀 등을 운반하는 조선선을 보호하고,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영역은 금강하구에서 경기만 일대까지라고 한다. 충청수영성은 오천항을 둘러싸고 있는 언덕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천 청풍 망월산성, 남한강을 지키던 신라의 산성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의 옛 청풍도호부 관아가 있던 마을 뒷편에 위치한 망월산 정상부를 둘러싼 망월산성이다. 청풍은 남한강 중류의 충주와 단양 사이에 있는 고을로 남한강 수운과 죽령길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중요한 지역으로 종3품관인 부사가 수령으로 있던 큰 고을이다. 남한강 경치가 아름다운 곳으로 옛부터 경북지역에서 죽령을 넘어 서울로 여행하던 많은 사람들이 잠시 쉬어가던 고장이다. 망월산성은 망월산 정상부에 작은 규모로 석축을 쌓은 테뫼식 산성으로 여주 파사산성, 충주 장미산성, 단양 적성산성과 온달산성과 함께 삼국시대에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신라와 고구려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던 시기에 처음 세워진 산성으로 보인다. 원래 쌓았던 산성의 석축은 없어지고 지금은 옛모습을 추정하여..

제천 청풍 팔영루, 옛 청풍도호부 문루

남한강 충주호에 수몰된 옛 청풍도호부 읍성 성문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청풍 팔영루이다. 청풍도호부는 부사가 고을 수령인 조선시대에는 상당히 규모가 컸던 고을이다. 청풍도호부는 충주, 단양과 함께 남한강 내륙수운의 중심지이자 영남에서 서울로 통하는 주요 교통로인 죽령고갯길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로 삼국시대 이래로 크게 번성하였던 고장으로 여겨진다. 충주와 함께 경부선 철도의 교통으로 크게 쇠락했다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는 비운의 고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청풍 팔영루는 옛 청풍도호부 읍성 성문으로 보이는 문루이다. 팔영루를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초기 전국적으로 읍성을 구축할 때 처음 지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팔영루는 2.2m 기단에 크지 않은 4각형의 출입문을 만들고 그 위에 문루를 올려놓고..

충남 홍성 홍주성, 구한말에 증축한 조선시대 읍성

충남 홍성의 군청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는 홍주성은 구한말인 고종때 홍주목사 한응필이 크게 보수한 읍성으로 조선이 쌓은 마지막 성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곳 홍주성 성곽은 최초의 축성연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구한말 일본에 대항한 큰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당시의 전투결과 및 일본인들로 인해 많은 훼손이 있기는 했지만 성곽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홍주성은 둘레 1,772m에 달하는 읍성으로 원래는 사대문을 두고 있었으나 지금은 동문인 조양문만이 남아 있다. 성내에는 동헌을 비롯하여 관아건물이 35동이나 있었으나, 홍주아문과 동헌인 안회당 정도만 남아 있다. 구한말에 증축한 홍주성은 조선시대 축성기술이 동원된 마지막 성곽으로 성곽을 쌓은 규모로 보았을 때 상당히 정성을 들여서 쌓았던 것으로..

홍성 조양문, 홍주성의 동문

홍주성은 조선시대 홍주목 관아가 있던 읍성으로 지방 읍성 중에는 규모가 제법 크고, 잘 보존되어 있는 읍성 중의 하나이다. 홍주성 내에는 홍주목 관아와 주요 행정시설들이 있었는데, 정3품이 목사가 다스리던 고을로 관아의 규모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홍주성에는 남쪽과 서쪽의 성벽, 동헌, 아문과 동문인 조양문이 남아 있다. 홍주성은 구한말 고종때 대대적인 수리를 한 성곽으로 역사적으로 보면 가장 최근에 축성한 성곽이라고 할 수 있다. 홍주성에는 동문인 조양문, 서문인 경의문, 북문인 망화문으로 3곳에 문루를 세웠었는데 지금은 도심 한가운데에 조양문만이 남아 있다. 조양문은 구한말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일으킨 의병군과 일본군의 치열한 전투로 상당부분 파괴되어 있던 것을 1975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홍주성의..

남원성, 정유재란때 왜군과 큰 전투가 있었던 읍성 (사적298호)

정유재란 당시 남원전투는 당시 왜군이 전북 남원성을 공격해 조.명 연합군과 전투를 벌린 것으로 각지의 의병들과 군민들이 합세해 벌린 큰 전투였으며, 결국 왜군에 패해 모두 살했당했으며, 그당시 살해당한 관민 일만명의 무덤이 남원에 있는 만인의총이다. 당시 왜군은 칠전량에서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을 격파하고 육군도 구례를 함락시키고 남원성으로 총진격하였으며 왜군의 수가 오만이 넘었다고 한다. 당시 남원성은 경상도에서 호남지역을 거쳐서 서울로 북상할 수 있는 길목에 해당되기 때문에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 3,000명이 파견되었고 각지제서 관군들과 의병들이 모여서 일만이 넘는 민.관이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고 있었다. 5만이 넘는 왜군의 주력부대와의 싸움에서 작은 읍성으로는 지키기 어려웠기때문에 남원성에 있었던..

[서울 성곽] 홍지문, 오간수문, 탕춘대성

홍지문은 서울 성곽 북서쪽 출입문인 창의문을 지나서, 북한산에서 흘러내리는 홍제천 계곡에 있는 성문이다. 조선중기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시 반란군이 반정을 모의한 세검정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군이 경복궁으로 들어온 길에 있는 성문이다. 이 지역은 서울 성곽과 북한산성 사이에 있는 사각지대를 방어하기 위해 조선 숙종때 쌓은 북한산성과 인왕산 성곽을 연결해주는 탕춘대성의 출입문이다. 홍지문은 숙종때 쌓은 성문과 홍제천을 막아 놓고 있는 오간수문이 연결되어 있으며, 홍지문이 있는 길만 평지이고 성문 좌.우로는 능선을 따라서 성벽이 쌓아 놓고 있다. 현재의 성문과 오간수문은 일제강점기에 홍수로 떠 내려간 것을 1977년에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 서울 세검정 상명대학앞 홍제천가에 세워진 홍지문. 1921..

서울 북한산성, 북한산을 둘러싸고 있는 성

북한산성에는 지금은 고양시쪽 입구에만 일부 주민이 거주하고 있고, 남쪽의 대남문은 아주 높은 지대에 성문이 있다. 북한산성 성벽을 따라서 서울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으며, 삼국시대 한강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유용했으나 고려시대 이후에는 군사적으로는 별로 유용성을 보여주지 못한것 같아 보인다. ☞ 북한산성 주요 유적지 1. 대남문, 청수동 암문, 문수봉, 2. 성벽을 따라 걷는 대성문, 대동문 3. 북한산 계곡에 자리잡은 중성문, 4. 진흥왕순수비가 있었던 비봉 북한산성의 남문인 대남문입니다. 문수봉 아래 구기동으로 가는 고갯길을 막고 있습니다. 멀리 비봉 근처에서 바라본 대남문 북한산 동쪽의 대동문 주위 북한산성의 정문격인 대서문의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해 계곡 한가운데 세운 중성문 북한산성이란 이름은 삼국..

[오산 독산성] 세마대지, 권율장군이 흰쌀로 말을 씻어 왜군을 물리친 전설이 있는 산성

오산 독산성은 수원, 기흥, 동탄의 넓은 평야지대를 내려보고 있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성이다. 북쪽으로 수원 광교산까지는 산이 거의 없는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어, 독산성에 올라서면 상당히 넓은 지역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이 곳은 군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거점이지만, 산성내에 물이 부족한 것이 가장 큰 문제였고, 그래서 임진왜란때 권율장군의 세마대 전설이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독산성은 남한산성 등과 더불어 수도 서울의 남쪽을 지키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 산성으로 그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독산성은 산정사 부근에 성벽을 쌓은 퇴메식 산성으로 산성의 규모는 크다고 볼 수 없다. 현재 성벽을 쌓은 규모로 보면 남한강변을 지키는 적성산성이나, 온달산성과 비슷한 규모로 보이며..

보은 삼년산성(三年山城), 삼년에 걸쳐 쌓았다는 삼국시대 신라의 성

보은 읍내에 자리잡고 있는 삼년산성은 우리나라에 몇개 남지 않은 신라시대 산성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납작한 돌을 층층히 쌓아 거대한 산성을 쌓았다. 보기에도 매우 튼튼해 보이는 이 성은 신라가 북쪽으로 진출할 때 교두보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조그만 돌로써 쌓은 형태로 보아서는 고구려 산성이 형식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를 개량해서 매우 튼튼하게 쌓았다. 삼년산성의 성벽입니다.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성벽과는 달리 조그만 돌로써 매우 촘촘하게 쌓았습니다.성문은 남아 있지 않고 출입구만 있습니다. 성벽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삼년산성은 삼국시대에 쌓은 성이라서 삼국이 대치하는 상황에서는 매우 중요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매우 튼튼하게 성벽을 쌓았습니다. 반면 고려시대 이후에는 전..

단양 적성산성, 남한강변 죽령길을 지키는 신라의 산성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금석문이 있는 비석 중 하나인 단양 신라적성비가 있는 적성산성이다. 조령과 더불어 영남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중요한 통로 중의 하나인 죽령을 지키는 산성으로 남한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성재산에 자리잡고 있다. 이 적성산성은 남한강 북쪽에서 쳐들어 오는 적을 제압하는 목적으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에게 유용했던 산성으로 보인다. 대부분 성벽은 최근에 복원된 것이라 하며, 성을 쌓은 방법과 형태를 보면 보은의 삼년산성 비슷한 신라계 산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단양 적성산성 정상 부근. 이 성벽위에 서면 발아래로 남한강이 흘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적성산성에서 내려다 본 남한강 단양 적성산성 성벽위에는 흙이 깔려있지 않다. 단양 적성산성 내부 성벽적성산성 성문. 남한강 방향으로 성문이 있..

여주 파사산성, 신라 파사왕이 쌓은 남한강변을 지키는 산성

우리나라 역사에서 조선시대까지 중요한 교통로 중의 하나였던 남한강 수운을 지키는 여러 산성중에서 하나인 여주 파사산성이다. 이 성은 삼국시대 신라 파사왕때 쌓은 산성으로 당시 고구려와의 투쟁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는 산성이다. 그 후로도 한강 수운을 지키기 위해서 이 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한강에 있는 많은 나루터중에 하나인 이포나루를 지키는 이 성은 조선시대 수도 서울을 지키는 중요한 성들 중의 하나였지만, 이 곳 주민들은 이 성을 쌓고 유지하는 데 비협조적인 것으로 여러 기록들에 남아 있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이 산성의 형세를 보면 북쪽은 산악지대이고 남쪽은 여주와 이천의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다. 파사산성을 쌓은 파사왕의 의도에서 알 수 있듯이 북쪽으로부터의 침입을 막고자 하..

파주 중성산 칠중성(七重城), 나.당 전쟁과 한국전쟁 격전의 현장

파주 임진강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칠중성(七重城)입니다. 워낙 격전이 많았던 곳이고, 특히 한국전쟁 당시 가장 치열한 전투가 계속되었던 파주 감악산 인근에서 가장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던 곳이어 과거의 성벽과 시설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한국전쟁의 연장선으로 많은 참호들과 군사시설이 있는 곳입니다. 칠중성이 있는 이 곳은 남북한 세력이 부딪히는 임진강 중류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고구려와 백제의 투쟁, 고구려와 신라의 투쟁, 나.당 전쟁과 최근의 한국전쟁의 격전장입니다. 그래서 부근에 고구려성과 백제토성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칠중성이 있는 중성산 정상에 올라서면 북쪽 임진강 방향을 막힌 산이 없어서 조그만 움직임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전략적 중요성을 한눈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서울 아차산성, 백제 수도 위례성이 내려다 보이는 산성

서울의 동쪽 경계인 지금의 워커힐 호텔이 있는 뒷산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백제의 수도 위례성을 한눈에 내려볼 수 있는 아차산에 쌓은 산성이다. 백제가 수도 위례성을 방어하기 위해 처음 쌓았으며, 이때는 토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고구려가 아차산성을 점령하고 이 일대에 군사시설인 보루를 건설함으로써 백제 위례성에서 물러나 공주지역으로 수도를 옮길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성곽은 중간크기 돌을 촘촘하게 쌓고 있는데, 고구려 산성축조법의 영향을 받은 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하면서 쌓은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아차산성에서 백제 개로왕이 전사하였다고 하며, 신라가 한강유역을 장악한 이후 고구려의 온달장군 또한 이곳에서 전사하였다고 전해진다. 아차산성에서 거의 유일하게 산성임을 눈으로..

단양 온달산성, 온달장군 전사한 장소라는 전설이 남아있는 곳

온달산성은 단양에서 남한강을 따라서 상류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소백산자락 아래 남한강변 성산에 자리잡고 있는 산성이다. 삼국시대에서 신라 전성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고구려와 신라 간에 힘겨루기가 치열하게 있었던 장소로 고구려 온달장군이 전사했다는 전설이 남아 있는 곳이다. 산성의 이름은 온달산성으로 고구려 산성으로 여겨지는 곳이지만, 산성이 위치한 장소가 북쪽으로부터의 적을 제압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보아서 신라의 산성으로 여겨진다. 성을 쌓은 방법을 보면 작은 돌로서 촘촘하게 쌓은 것이 아차산성 등 고구려 산성과 비슷하기도 하며, 신라가 쌓은 보은 삼년산성과 비슷한 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고구려, 신라 간에 주인이 여러번 바뀌었을 것 같다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곳이다. 이 곳 온달산성에 올라가면 남한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