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성곽(산성_읍성) 225

[공주 공산성] '이괄의 난' 이야기가 남아 있는 쌍수정과 백제 왕궁터

공주 공산성을 이루고 있는 구릉에서도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쌍수정이다. 이 곳 쌍수정은 지금은 나무가 많아서 주위가 잘 보이지는 않지만, 주위를 훤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이괄의 난'의 난을 피해서 인조가 6일동안 근심하면서 이 곳 쌍수정에서 반란 진압을 기다렸다고 한다. 그래서 이 곳에 있던 나무에 정삼품의 벼슬을 내리고 쌍수정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쌍수정 아래 약간 넓은 공간에는 백제가 이곳을 도읍으로 삼았을 당시의 건물터로 보이는 유적과 우물이 발굴되었으며, 아마도 초기에 왕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공산성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쌍수정. 이 곳에서 반란이 진압되기를 애타게 기다렸다는 인조의 모습을 상상하니 처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쌍수정 누각과 편액 공산성 ..

[공주 공산성] 남문 진남루(鎭南樓)와 주위 성벽들

공산산 남문과 누각인 진남루는 공산성 성문 중에 거의 유일하게 남아 있던 성문으로 보이며, 70년대 해체 복원했다고 한다. 토성이었던 공산성을 돌로 쌓은 석성으로 바꾸면서 만든 성문으로 공주 구시가지와 통하는 길이 이 진남루와 연결되어 있다. 공산성과 진남루가 통하는 길이 경사가 있는 산길이었고, 서문인 금서루가 금강변을 중심으로 교통의 중심지와 가까웠던 까닭에 도로가 서문방향으로 개설되어서 이 곳 진남루 주변은 보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진남루는 공산성의 중심인 쌍수루와 백제 왕궁터와 가깝고 공주 구도심과도 가까웠던 까닭에 조선시대에는 진남문을 통해서 출입하던 사람이 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공산성 남문인 진남루.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성문으로 조선시대 산성 성문 형태를 하고 있다. 남문은 도심과..

[공주 공산성] 금강변 우물인 연지(蓮池)와 만하루(挽河樓)

공주 공산성 정문격인 북문 공북루를 지나서 성벽을 따라서 동쪽으로 가면 금강과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누각인 만하루를 볼 수 있다. 만하루는 사람이 왕래하는 성문은 아니고, 금강 경치를 감상하고, 금강과 바로 연결되기때문에 군사적 방어 목적으로 누각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만하루 바로 안쪽으로는 공산성에서 필요한 식수를 확보할 목적으로 만든 우물인 연지가 있고, 그 뒷편으로는 작은 사찰인 영은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 곳 주변은 원래부터 사람이 많이 왕래하던 곳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누각인 만하루와 연못인 연지. 이 곳은 사람이 출입하는 성문은 아니고, 금강 경관을 관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누각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 앞에는 큰 연못인 연지가 있다. 만하루는 공주지역 유..

[공주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 옛다리 흔적

공주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는 지금은 아무도 드나드는 사람들이 없는 외진 곳처럼 보이지만, 고대 이래로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공주에 금강철교(금강교)가 가설되기 전까지는 호남지역에서 서울로 통하는 거의 유일한 내륙교통의 거점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던 출입문이다. 공북루를 나서면 금강을 건너는 나루가 있었고, 후대에는 각종 다리가 건설되었다고 한다. 이 곳에서 금강을 건너면 걸어서 천안 차령산맥의 관문인 차령을 넘어서 서울로 향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공주 공산성은 동.서로 흐르는 금강 수운과 호남지역에서 연결된 남.북 내륙 교통의 거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그 관문이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였다. 계곡을 둘러싼 포곡형 산성인 공주 공산성에서 정면이 뚫린 북쪽 방향에 북문과 공북루가 있다. 공북..

[공주 공산성] 공산루와 주변 성벽, 금강 경치를 감상하기 좋은 곳

공산성은 금강을 천연 해자로 삼아서 서축과 토축으로 쌓은 산성이다. 공산성에서도 서쪽 금강변 구릉위에 위치하고 있는 공산루는 기록에는 없는 누각으로 봐서 최근에 금강의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서 만든 누각으로 보인다. 지금은 공산성에 수풀이 우거져서, 산성 방위를 지휘하는 공산성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쌍수정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여 마치 금강변 구릉에 위치한 공산루가 그 역할을 하는 것 처름 보인다. 공산성 서쪽편 석축은 원래 백제시대에 쌓은 흙으로 쌓은 토축 외부에 돌을 쌓아서 축조했다고 한다. 공산루에 올라서면 금강과 북쪽편이 훤히 보이는데 벌판은 그리 넓어 보이지는 않아서 수도로서 기능을 하기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공주 공산성의 정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북문인 공북루 앞에서 올라다 본 공산루...

[공주 공산성] 금서루 (錦西樓), 정문 역할을 하는 서쪽편 출입문

공주 금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공산성은 백제의 두번째 도읍진인 웅진성이 있던 자리이다. 동에서 서로 흐르는 금강이 북쪽 방향으로 천연해자 역할을 하고 있다. 공산성은 계곡을 둘러싸고 있는 포곡형 산성으로 원래는 백제의 성곽형식인 토성이었으나, 조선후기에 석축을 쌓아 올렸다고 한다. 공산성 서쪽 출입문인 금서루는 오래전에 공산성 안에 도로를 만들면서 없으졌으나, 최근에 복원되었다고 한다. 공주에 있는 금강을 건너는 다리 중 가장 오래된 금강교 바로 옆에 있어 공산성 정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금도 공산성 내부로 자동차가 들어올 수 있도록 자동차 출입문이 있다. 공산성 서쪽출입문인 금서루는 최근에 복원된 성루이지만, 공산성을 대표하는 장소가 되어 있다. 공산성 입구 주차장에서 올려다 보이는 공산성 금서루. ..

[강화 해안 진지] 남장포대

강화도와 육지 사이를 흐르는 물길인 염하(강화해협)의 입구를 지키는 덕진진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은 남장포대입니다. 낮은 위치에 포좌를 설치하여 염하를 지나는 선박을 공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남장포대에는 대포 10문이 설치되어서 강화 해안의 진지 중에서 가장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던 곳이라 합니다. 신미양요 때 미국 함대와 격렬한 포격전을 벌인끝에 완전히 파괴되었다가 70년대에 복원되었다고 합니다. 염하(강화해협)을 지키는 진/보 중에서 가장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던 남장포대입니다. 대포 10문이 지키고 있었으며 신미양요 때 미국함대와 격렬한 포격전을 벌린 곳이기도 합니다. 남장포대에는 당시에 사용하던 대포를 전시해 놓고 있습니다. 남장포대의 포좌입니다. 대포 10문으로 서울을 들어오는 함대를 ..

[강화 해안 진지] 덕진진(德津鎭)

강화와 육지를 가르는 염하(강화해협)이 사실상 시작하는 곳에 자리잡고 있는 국방상의 요지인 덕진진입니다. 육지쪽인 김포의 덕포진과 함께 해협을 지나가는 선박을 제일 먼저 제압하는 시설입니다. 그래서 조선시대부터 이곳 덕진진 산하에 덕진포대와 남장포대를 두어서 제일 막강한 화력을 배치하였습니다. 물론 남쪽편에는 초지진이 있지만 그 곳은 소규모의 진으로서 감시의 역할이 더 큰 것으로 보입니다. 강화 염하(강화해협)을 지키는 요충지 덕진진의 문루인 공조루입니다. 이 곳을 통해서 강화도로 출입을 했을 것 같습니다. 신미양요때 파괴되어 홍예문만 남아있던 것을 70년대에 복원했다고 합니다. 덕진진 성벽에서 내려다 본 문루인 공조루입니다. 덕진진 외부 해안에서 강화도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문입니다. 문루 밖에서 본 덕..

[강화 해안 진지] 덕진돈대(德津墩臺)

덕진돈대는 초지진과 함께 염하(강화해협)를 들어오는 입구에 위치한 군사상으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돈대입니다. 그래서 바로 북쪽의 남장포대, 김포의 덕포진과 함께 서울을 출입하는 선박을 통제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돈대입니다. 신미양요때 미군과 격전을 벌인후 완전히 파괴된 것을 70년대에 복원했다고 합니다. 남장포대를 지나서 언덕위에 덕진돈대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덕진돈대에서는 염하(강화해협)으로 들어오는 선박을 감시하고 공격할 수 있습니다. 덕진돈대의 출입구입니다. 다른 돈대와 마찬가지로 한사람 정도가 지날 정도의 작은 통로입니다. 덕진돈대는 직사각형 모양의 돈대로서 전면 양쪽 모서리 부분에 각각 2개의 포좌가 있습니다. 덕진돈대는 높은 위치에 있어서 그런지 별도의 보호를 위한..

[강화 해안 진지] 오두돈대(鼇頭墩臺), 해안 돈대의 전형적인 모습

강화대교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내려오면 제일 큰 유적지 중의 하나인 광성보에 도착하기 직전에 자리잡고 있는 오두돈대입니다. 원형의 돈대가 있는 위치의 모양이 자라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오두돈대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강화해안에 자리잡고 있는 많은 돈대 중에 전형적인 돈대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오두돈대 남쪽으로는 고려시대에 벽돌로 쌓았다는 강화전성이 있다고 합니다. 강화 해안가에 자리잡고 있는 많은 돈대 중에서 전형적인 돈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오두돈대입니다. 원형으로 석축을 쌓고 있습니다. 화도 돈대 앞에서 바라 본 오두돈대가 있는 곳입니다. 이름 그대로 자라의 머리통 모양을 하고 있는 곳에 돈대를 쌓아 놓고 있고 주위에는 시야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습니다. 오두돈대의 외부 석축입니다. 원래 석축은..

[강화 해안 진지] 화도돈대(花島墩臺)

강화 화도돈대는 강화섬 해안가에 설치한 많은 돈대 중에 하나입니다. 이름처럼 화도돈대는 원래 섬이었던 지역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근처에 고려시대 대몽 항쟁시 설치된 강화외성의 흔적과 수문이 남아있는 지역입니다. 아마도 이곳이 강화성의 남쪽 끝이 아니었나 생각되는 곳에 자리잡은 돈대입니다. 화도돈대가 자리잡은 곳은 높은 언덕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해안가에 낮은 절벽이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도 돈대의 성벽은 거의 파괴되어 남아 있지 않고 시야를 좋게하기 위해 쌓은 축대의 일부만 남아 있습니다. 화도돈대의 출입문입니다. 돈대의 성벽은 남아 있지 않고 별다른 설명을 찾지 못해서 지금 복원한 모습이 원래의 모습인지는 알 수가 없지만 작은 출입문이 있습니다. 화도돈대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모..

[강화 해안 진지] 좌강돈대

강화 선원사지 부근 염하 해안가에 있는 용진진에서 관리하던 3개의 돈대 중에 현재 복원되어 있는 돈대인 좌강돈대입니다. 거의 대부분이 최근에 복원된 시설로 문화재로서의 가치는 높지 않지만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군사시설로 생각됩니다. 물론 강화 해안가에 있는 수많은 돈대 중에 하나이기는 하지만... 용진진의 좌강돈대는 전형적인 원형 돈대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주위는 평지로 인위적으로 언덕을 쌓았는 지는 알 수 없지만 돈대에 올라서면 사방을 감시하기에는 좋습니다. 좌강돈대에 올라서서 내려다 본 염하와 주변의 모습입니다. 좌강돈대와 용진진의 문루가 성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성벽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고 일부만 낡은 성벽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좌강돈대의 출입구입니다. 한 사람 정도 지나..

[강화 해안 진지] 갑곶돈대

강화도 해안은 조선시대 국방상 아주 중요한 장소로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한 최후의 보루로 생각하여 나름 철저한 방비를 해 놓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안을 따라서 많은 돈대와 보, 진을 설치해 놓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육지와 강화 사이의 염하를 경계로 하는 해안에 많은 군사시설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갑곶돈대는 서울에서 강화로 들어오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군사 시설로 여겨져 왔습니다. 지금의 갑곶돈대는 70년대에 고증을 통해서 복원해 놓은 시설로 강화역사관 내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구(舊) 강화대교 입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강화를 들어오는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갑곶 돈대입니다. 갑곶나루터는 서울에서 강화로 들어오는 출입구로서 강화해안에 있는 많은 요새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

[강화 해안 진지] 돈대, 용진진

강화의 출입구인 강화대교에서 남쪽으로 해안 도로를 따라 내려오다 보면 도로변에 볼 수 있는 작은 성문이 보입니다. 이 성문이 강화의 해안 진지 중에 하나인 용진진입니다. 3개의 돈대를 관리했다고 하나 평지에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 유실되었고 최근에 복원한 문루와 좌강돈대만 볼 수 있습니다. 용진진의 성문과 문루입니다. 아마도 옛날 이 곳에 나루터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원래는 성벽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았지만 최근에 복원한 모습입니다. 뒷편에는 복원된 좌강돈대가 있습니다. 용진진이 관리하던 좌강돈대입니다. 원형의 돈대로서 사방의 시야가 아주 좋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용진진 문루와 주위 성벽입니다. 용진진 좌강돈대 내부입니다. 측면에서 본 용진진 문루와 좌강돈대입니다. 좌강돈대에서 내려다 본 염하입니다...

[서산 해미읍성] 돈대와 성벽

해미읍성은 순천의 낙안읍성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읍성이다. 해미읍성과 낙안읍성은 그 구조와 성을 쌓은 목적이 매우 유사하며, 해안에서 들어오는 왜구의 기습에 대비한 모습을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 읍성은 대규모로 침입하는 적들에 대항하여 오랜 기간 농성을 할 수 없는 구조이며, 왜구와 같이 노략질을 목적으로 기습적으로 들어오는 적에 대항하여 2~3일 정도 농성할 수 있는 규모이다. 그래서 해미읍성은 성벽의 높이가 높지 않고, 조총이 없던 시절에 활용한 성으로 성벽위와 돈대에 흉벽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물론 국가적인 반란의 거점이 될 수 없도록 주위에 해자도 설치하지 않고 있다. 해미읍성에는 돈대가 2곳 설치되어 있는데 서해안 바닷가를 향한 남서쪽 방향에만 2개의 돈대가 설치되어 있다. ..

[서산 해미읍성] 복원된 성문인 동문, 서문

해미읍성이 60년대에 정비될때 복원된 성문인 동문과 서문이다. 오래전에 복원되서 그런지 고증을 거치지 않고 현대적인 석재로 복원해서 성문의 옛스러움이 없어 보인다. 서문에는 지성루(枳城樓)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데 아마도 해미읍성 성벽 바깥쪽에 탱자나무를 심어서 성곽방어에 이용했다는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성루에는 흉벽 등의 방어시설은 없고 단순히 적의 침입을 감시하는 돈대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해미읍성 서문. 복원된 부분이 주위의 성벽과 잘 어울리지 않는 현대적인 석자재를 사용했다. '지성루(枳城樓)'라고 적힌 서문 성루 편액, 탱자를 성벽밖에 심었다는 유래와 관련된 명칭으로 보인다. 해미읍성 내부에서 본 서문. 지금은 서문을 통해서 해미읍성 외부를 출입할 수 있다. 해미읍성 성벽에서 본 ..

[서산 해미읍성] 진남문(鎭南門), 읍성의 정문

서산 해미읍성의 정문인 진남문(鎭南門)이다. 60년대 해미읍성이 복원될때 남아있던 유일한 성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미읍성은 뒤로는 수덕사, 개심사 등이 있는 가야산 산자락이 있고, 앞으로는 서산지역의 넓은 평야가 펼쳐진 곳으로, 조선시대까지 연안 해상 교통의 중심인 태안반도를 관장하던 군사적 중심지였다. 해미읍성은 평지에 쌓은 전형적인 읍성으로 만주지역으로 부터 들어오는 북방기마부대를 중심으로한 대규모 군사의 침입에 대비한 방어시설은 아니고, 고려시대에서 조선중기까지 우리나라를 괴롭혔던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쌓은 읍성이다. 그래서인지 성문에는 옹성이 없는 단순한 모습을 하고 있다. 서산 해미읍성의 정문인 진남문. 단순히 왜구의 기습에 대비하기 위해서 지은 읍성이기 때문에 옹성이 없고, 성문이 ..

서울 송파 몽촌토성, 초기 백제 수도 위례성을 지키던 토성

서울 올림픽 공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초기 백제 시대의 토성이다. 88올림픽이 열렸던 역사적인 장소와 같이 했던 곳으로 그 때문에 공원화되고 아주 깨끗학 정비되어 있다. 전체 둘레는 2.7 km라고 하며 조선시대 읍성 규모의 토성이다. 한 나라의 수도로서는 규모가 작다는 점 또한 맞는 말 같다. 그래서 백제 수도 위례성이라고 인정 받지 못하는 것 같다. 풍납토성과 함께 초기 백제 수도 위례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것은 맞는 것 같다. 지금은 올림픽 공원의 일부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올림픽공원 동쪽 출입문으로 들어서면 북쪽편에 있는 몽촌토성이다. 몽촌토성의 성벽을 소개할 때 많이 등장하는 장면으로 시범적으로 목책을 설치해 놓은 곳이다.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이 보이는 이..

경주 월성 (반월성) - 월성을 둘러싸고 있는 성벽

경주 월성(반월성)은 지금은 나무가 울창한 평범한 야산처럼 보이는 곳이지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수도 경주의 궁궐이 있는 성으로 성벽은 자연 지형을 이용한 곳도 있고, 흙과 돌을 쌓아 놓은 부분도 있는 국왕이 살고 있던 도성입니다. 고려이후 통일된 국가에서는 평지에 궁궐을 쌓지만 삼국시대까지만 해도 전쟁이 많았기때문 안전한 요새처럼 성벽을 쌓고 그 내부에 궁궐을 짓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성벽은 석축형태로 쌓은 조선시대와는 달리 흙과 돌을 섞어서 쌓았으며, 자연지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경주 월성의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았기때문에 자연 지형 그대로인 것처럼 보입니다. 백제의 토성은 흙으로만 쌓은데 비해 월성은 돌을 섞어서 쌓아서 월성에는 큰 돌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경주 월성(반월성)의 성..

경주 월성(반월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 월성교(모형)

경주 월성(반월성)은 신라의 궁궐이 내부에 있었던 도성입니다. 삼국시대는 고려.조선과는 달리 전쟁이 많았던 시절답게 궁궐이 요새화된 성벽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신라의 수도 경주에는 반월성이라는 천연의 언덕위에 궁궐을 짓고 사방을 토성으로 쌓았으며 토성 아래에는 적의 침입에 대비한 해자 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지금도 동쪽편 일부에는 물을 채워서 해자 시설을 하고 있으며 여러곳에 발굴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남쪽 해자에는 월성교라는 아름다운 부교가 있었다고 합니다. 경주 월성(반월성) 동쪽편 임해전지와 연결되는 성문 주위 경주 박물관 방향으로는 해자시설을 복원해 놓고 있습니다. 아마도 월성 전체를 이런 형태의 해자로 둘러쌓여 있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경주 월성(반월성) 동쪽편 임해전지 방향 출입문 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