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02

안동 금계리마을 겸와고택

안동시 금계리 마을에 있는 고택인 겸와고택(謙窩古宅)이다. 구한말 관료를 지낸 김진형이 처음 지은 집으로, 초산댁(楚山宅)이라고도 부른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ㅁ’자형 주택 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대청마루가 있는 앞면 3칸규모이며. 안채는 넓은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방과 부엌을 배치히 놓았다. 학봉종택에 비해 소박하면서도 검소한 느낌을 준다.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마을에 남아 있는 전통한옥인 겸와고택이다. 구한말 관료를 지낸 김진형이 처음 지은 집으로 구한말 안동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전제적으로 가운데 마당을 두고 있는 'ㅁ'자형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바깥주인의 생활공간이 사랑채. 1칸규모의 작은 대청마루와 온돌방을 두고 있다. 안채를 출..

고택_정원 2016.05.09

안동 천전마을 백하구려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에 남아 있는 전통 한옥인 백하구려(白下舊廬)이다. 구한말 김대락이 살았던 집으로 1885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김대락은 1907년에 이곳에 지역 최초의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를 개교하였다.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1910년에 만주로 갔으며, 독립자금마련을 위해 사랑채까지 팔았다고 한다. 현재는 문화재 및 국가보훈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건물은 앞면 4칸 규모의 사랑채, 문간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방과 부엌 등이 배치되어 있다. 현재의 사랑채 일부는 다른 곳에 있던 건물을 옮긴 것이라 한다. 안동 천전마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는 백하구려. 구한말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대락이 살았던 고택으로 19세기에 지어진 집이다. 건물은 사랑채와 ..

고택_정원 2016.04.21

안동 천전마을 제산종택

안동 천전마을 동쪽 끝편에 있는 제산종택(齊山宗宅)이다. 이 집은 조선후기 영조대 학자이자 관리였던 김성택이 살았던 집으로 살림집와 후학을 양성하던 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된 ‘ㅁ’자형을 하고 있다. 살림집 오른편에 앞면 3칸 규모의 초당을 두고 있는데 실제로는 초당이 바깥주인이 거처하면서 손님을 맞는 사랑채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건물들은 건축양식 등으로 볼 때 18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남 4대 길지 중 하나로 손꼽히는 천전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중 하나인 제산종택이다. 조선후기 영조 때 지은 집으로 안채와 사랑채 역할을 하는 초당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살림집에 해당하는 안채. 안동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안마당이 있는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고택_정원 2016.03.28

경주 기림사 주불전인 대적광전(보물 833호)

경주 기림사의 주불전인 대적광전(보물 833호)으로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이다. 삼국시대 기림사가 창건된 이래 존재했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듭했으며, 현 건물은 1629년(인조7)에 크게 고쳐 지은 것이다. 대적광전에 모신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958호)과 뒷편 탱화인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1611호)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앞면 5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공포에 조각을 많이 새겨 넣었으며, 옛모습이 손상되지 않은채 보존되고 있다.상당히 큰 규모의 불전이지만 낮은 기단에 건물을 세워 웅장하지만 위압감을 주지는 않고 편안하고 친근한 느낌을 준다. 경주 기림사는 삼국시대 때 인도 승려가 창건한 사찰로 원효대사가 중창하면서 기림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구 팔공산 동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 1563호)

대구 팔공산(해발 1193m) 동화사(桐華寺) 주불전인 대웅전(보물 1563호)이다. 이곳에는 석가모니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건물이 처음 지은진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여러차례 중건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727년 경에 새로 지었다고 한다. 건물은 장대석를 쌓은 높은 기단 위에 자연석으로 만든 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웠다. 앞면3칸, 옆면 3칸 규모이며, 다포계 공포와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잘 다듬어지지 않은 나무를 기둥으로 사용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내부 불단 위에는 닫집이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비교적 늦은 시기인 조선후기 영조대에 지어졌으며, 건축적인 조형미가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대구지역을 대표하는 동화사 주불전으로 이 지역의 사찰건축 경..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보물 247호),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부속 암자인 비로암 대적광전 앞에 세워진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이다. 1층 몸돌에선 돌로 만들어진 사리그릇이 발견되었는데,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부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기동모양을 새겨놓았다. 석탑을 구성하고 있는 기단, 탑신, 머리장식의 비례가 우수하며, 특별한 장식은 없지만 단정하면서 아름다운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장식적인 면은 없으나 전체적인 비례나 조형미가 우수한 편이다. 2층으로 된 기단부. 몸돌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고 있다. 3층..

골굴암 석조여래좌상 (보물 591호), 토함산 자락 바위에 새긴 불상

경주 토함산 동쪽 기림사 부근에는 작은 암자인 골굴암이 있다. 골굴암은 석굴암처럼 석굴사원 구현한 것으로 보이는 작은 암자이다. 멀리 양북면 일대가 내려다 보이는 전망이 좋은 언덕 아래 12개의 작은 자연굴에 불전을 마련하여 암자를 형성하고 있다. 골굴암은 조선후기 화가 겸재 정선이 그림으로 남겨놓을 정도로 당시에도 유명했던 곳이다. 골굴암 석조여래좌상(보물 591호)는 자연석을 조각해서 만든 마애불상이다. 연석의 석질이 고르지 않이 일부 손상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입체감이 돋보인다. 머리위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의 윤곽이 입체적이면서 뚜렷하다. 얼굴에 비해 신체는 평면적이며 넓게 표현되어 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을 이루며, 굴곡을 표현한 V자형 무늬가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14호), 고려시대 목조건축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인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이다. 건물은 앞면 7칸, 옆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큰 규모의 건물이다. 주심포양식의 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고려말.조선초 주심포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살이 있는 분합문 대신 벽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운데 출입문을 두고 있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비슷한 형태이다. 소박하고 간결한 건물이지만 사찰 불전 중에서는 큰 규모이다. 거조암은 원래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거조사라는 큰 사찰이었으나 지금은 은해사 거조암(居祖庵)이라 부른다. 많은 전각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화재 등으로 소실되고 지금의 전각들은 최근에 새로 지은 것들이다. 부석사 무량수전(국보18호), 수덕사 대웅전(국보49호), 봉정사 극락전(국보15호)와 함께..

제비원 석불로 불렸던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115호)

안동시 이천동 옛 국도변에 위치한 제비원 석불로 불렸던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115호)이다. 고려초 지방 호족들이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성했던 거대한 석불 중 하나이다. 자연암석에 불상의 몸체를 선으로 새기고, 머리는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았다.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에는 미소가 흐르고 있다. 양 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을 배에 대고 있는 수인(手印)을 하고 있어 아미타여래로 여겨진다. 이곳 이천동은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된 연미사(燕尾寺)가 있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원(院)이 설치되어 제비원으로 불렸다고 한다. 또한 이곳은 ‘성주풀이’라는 민요에 가택신(家宅神)인 성주(城主)의 고향으로 설정된 곳이기도 하다. 제비원석불로 불렸던 ..

안동 지례마을 치헌(恥軒)

안동 천전마을 동쪽 끝에 위치한 치헌(恥軒)이다. 조선후기 정조대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건물의 규모는 크지 않으며 소박한 느낌을 주는 고택이다. 원래 임동면 지례마을에 있던 것을 임하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마을이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조선후기 정조대에 지은 건물로 소박한 느낌을 주는 고택이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편에 안채 부속 건물이 있다.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는 안동지방의 다른 고택과는 달리 개방된 형태를 하고 있다. 한쪽편에는 안채에 딸린 살립집이 있다.

고택_정원 2015.10.26

안동 지례마을 오류헌(五柳軒)

안동시 임하댐 아래 임하리 마을에 있는 오류헌(五柳軒)이다. 경치가 좋았던 반변천 부근 임동면 지례동에 자리잡고 있었던 비교적 큰 규모의 양반가옥으로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조선 숙종대에 천전마을 의성김씨 일가인 김원중이 분가하면서 처음 지어졌다고 한다. 사랑채는 1920년에 크게 증축하였다. 바깥주인과 안주인이 생활하는 공간을 담장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등 조선후기 안동지역 한옥의 특징들을 잘 갖추고 있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마을에 위치한 오류헌. 안채와 사랑채가 합쳐져서 'ㅁ'형을 이루고 있는 고택으로 조선후기 안동지역 한옥의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문간채가 있는 솟을대문. 사랑채는 온돌방, 대청마루, 누마루를 갖추고 있는 앞면 5칸 규모의 큰 건물이다. 안동지역..

고택_정원 2015.10.05

안동 임청각(보물182호), 안동지방을 대표하는 99칸 대저택.

경북 안동을 대표하는 고택인 임청각(臨淸閣, 보물182호)이다. 권문세가의 세거지가 많은 안동지역에서도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99칸 대저택이다. 중종때 처음 지었으며, 영조대 중건하면서 99칸으로 크게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중앙선 철도가 집앞을 지나가면서 행랑채를 비롯한 부속건물들이 철거되어 그 규모가 많이 줄어들었다. 건물은 살림집에 해당하는 안채와 이에 딸린 행랑채, 조선중기에 지은 건물이 아직도 남아 있는 별당 건물이 군자정(君子亭)과 사당 등이 남아 있다. 임청각은 상해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을 비롯하여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집으로 국가현충시설로도 지정되어 있다. 영남산 동쪽 기슭에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는 배산임수의 풍수적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저택으로 낙동강변 경사..

고택_정원 2015.09.17

안동 임하마을 국탄댁(菊灘宅

임하댐 건설로 수몰된 지례마을에 있던 국탄댁(菊灘宅)이다.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임하마을로 옮겨졌다. 이 집은 영조대인 1757년에 지어졌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합쳐져서 ‘ㅁ’자형 주택을 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단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안채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이다. 국탄은 조선중기 숙종대 문신인 김방걸의 후손이다. 천전마을 의성김씨의 후손으로 임동면 지례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지례 마을에 있던 여러 고택들은 이곳 임하마을을 비롯하여, 천전마을, 원래 마을이 있던 곳으로 흩어졌다. 안동 임하댐 아래 전통마을인 임하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국탄댁이다. 원래 반변천 상류쪽 지례마을에 있던 것을 임하댐 건설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고택_정원 2015.09.02

안동 임하마을 이우당종택

안동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에 있는 이우당 종택이다. 이 집은 권환(權寏)이 살았던 집으로 조선중기 인조대에 지어진 집이다. 집은 마을 앞을 휘감으며 흐르는 반변천을 향해서 북동쪽을 향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의 ‘ㅁ’자형 안채와 북쪽으로 돌출된 사랑채, 불천위 조상을 모신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동 와룡면 출신인 권환이 천전마을 의성김씨 집안의 사위가 되면서 터를 잡고 살면서 안동권씨 집성촌이 되었다고 한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인 이우당종택. 조선중기 인조대에 처음 지어진 고택으로 비교적 규모가 큰 편이다. 이우당이라 적힌 현판이 결려 있는 사랑채. 앞쪽으로 돌출된 누마루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구한말에 증축된 부분을 당시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ㅁ'자형 살림집 ..

고택_정원 2015.07.28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

영남지역 4대 길지(吉地)로 손꼽히는 양반들의 세거지인 천전마을 종택 인근에 있는 추파고택(楸坡古宅)이다. 이 집은 종손의 아우였던 추파 김정락과 그의 아들 김병식이 살았던 집으로 원래는 천전마을 종택 안에 있었다고 한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 형태 한옥으로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19세기에 지어진 저택으로 당시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다. 이 집 주인이었던 김병식은 1907년 안동지역 근대교육의 출발점이 되었던 협동학교 교사와 교장을 역임하였다고 한다. 안동 천전마을 종택 부근에 위치한 추파고택. 19세기경 종갓집에서 분가하면서 지은 고택을 당시의 주택양식이 잘 남아 있다고 한다.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데, 중문 왼쪽편에 앞면 3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다. 오른..

고택_정원 2015.07.20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과 제자들을 모신 호계서원(虎溪書院)이다. 조선 선조 8년(1575)에 백련사 절터에 여강서원(麗江書院)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어졌다. 1605년에 대홍수 유실되어 다시 지었으며, 숙종대에 호계로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구한말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없어졌다가 강당만 새로 지었다. 강당은 앞면 3칸이 대청마루이고 양쪽에 앞면 1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원래는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와룡면 도곡리에 있었는데 1973년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이곳으로 옮겼다. 향후 안동댐 부근으로 옮길 예정이라 한다. 안동시 임하면 임하댐 아래에 위치한 호계서원. 호계서원은 퇴계 이황과 제자들인 류성룡, 김성일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강당만 복원되었다. 원래는 도산서원과 멀지 ..

안동 임하댐,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을 막아 건설한 다목적댐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에 세워진 다목적댐인 임하댐이다. 댐은 높이 73m, 길이 515m로 저장된 용수는 하루 40만톤 규모이다. 임하댐은 안동지역 농업용수나 수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은 것은 아니고 이곳에서 멀리 떨어진 제철소가 있는 포항지역에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 저장된 물은 금호강 상류 영천댐으로 공급되어 포항지역의 공업용수와 영천지역의 농업용수로 사용된다고 한다. 1984년 착공하여 1992년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댐건설로 안동시 임동면을 비롯하여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 주변에는 영남4대 길지 중 한곳으로 손꼽히는 천전마을을 비롯하여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과 전통마을들이 아직도 주변에 많이 남아 있다.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을 막은 임하댐 전경 댐은 계..

한국의 풍경 2015.06.25

[맛집] 안동찜닭 골목으로 유명한 안동구시장

안동은 동쪽과 북쪽으로 낙동강 상류방향이며 산이 맣은 고장이고, 서쪽과 남쪽으로 들판이 비교적 넓고 많은 지역과 교통로가 연결되고 있다. 이런 지리적인 조건 등으로 옛 안동읍성 서문 근처에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었다. 안동시 남문동에 위치한 안동구시장은 이 지방의 명물로 바뀐 '안동찜닭'이 생긴 곳이기도 하다. '안동찜닭'이라는 이름에서 안동지방 전통음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1980년대부터 안동 재래시장에서 즐겨먹기 시작한 음식이라고 한다. 닭도리탕처럼 토막낸 닭고기에 채소와 당면을 넣고 간장에 조린 음시이다. 맛이 뛰어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음식양이 푸짐해 보여서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안동찜닭이 처음 생겼다는 안동구시장 찜닭골목. 주변지역에서 안동을 주로 출입하는 옛 안동읍성 ..

맛집 2015.06.12

단양 구인사, 소백산 자락에 자리잡은 사찰

소백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인 단양 구인사(救仁寺)이다. 이 사찰은 1945년에 처음 건립되었다. 사찰은 전통사찰과는 달리 5층 높이이 대법당을 중심으로 콘크리이트로 지은 거대한 건물들로 이루어 졌다. 불교 27개 종단 중 하나로 1967년에 이곳에서 시작된 대한불교 천태종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을 종조(宗祖)로 삼고, ‘법화경’을 근본경전으로 삼는다고 하고 있다. 고려시대 천태종을 계승하고 있다고 하나, 전통불교인 조계종이나 태고종과는 달리 신흥종교 중 하나로 불 수 있다. 전국에 200여개소의 사찰이 있으며, 신도수로 170여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대한천태종의 총본산인 단양 구인사. 일반 사찰과는 달리 대형 콘크리트 건물인 대웅전을 중심으로 많은 신도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큰..

전국 사찰 2015.06.08

부여 부여현(扶餘縣) 관아 내아(內衙), 부여현감이 거처하던 살림집.

백제 마지막 수도 사비성을 지키던 부소산성 아래 부여읍 관북리는 옛 백제왕궁터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부여현 관아가,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백제를 대표하는 부여박물관이 있었던 곳이다. 옛 부여박물관 정원을 장식하고 있는 조선시대 관아터에는 국왕의 궐패를 모시는 객사, 부여현감의 공식 업무공간인 동헌, 살림집인 내아(內衙)가 남아 있다. 내아(內衙)는 현감이 살던 살림집으로 여러 동의 건물이 있었겠지만 지금은 본채만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5칸의 ‘-’자형 건물로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 그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백제시대의 주춧돌과 기단석을 사용하여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내아 뒷편에는 부여지역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모신 사당인 도영강당(道江影堂)이 있다. 옛 부여현 관아 건물터 동쪽편에 위치한 내아. ..

조선 관아 2015.0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