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02

일본 교토 히가시 혼간지(東本願寺)

일본 교토시에 있는 히가시 혼간지(東本願寺)이다. 일본 불교 진종 오오타니파(大谷派) 본산으로 정식 명칭은 '진종본묘(真宗本廟)'이다. '니시혼간지(西本願寺)' 동쪽에 있어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라 부른다. 혼간지는 전국시대 오사카성 자리에 있었는데 오다 노부나가와의 싸움에서 패한 후 파괴되었다가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오사카성을 축성하면서 교토 도심에 니시혼간지를 세우면서 옮겨졌다. 이후 에도시대 혼간지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현재의 위치에 '히가시혼간지'가 세워지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히가시혼간지는 먼저 세워진 니시혼간지에 비해 늦게 세워졌으며 여러차례의 화재로 소실되어 현재의 건물들을 주로 메이지시대 이후에 중건된 것이다. 아미타여래를 모신 아미타당(阿弥陀堂)을 본당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 최대 ..

일본(Japan) 2020.12.21

일본 교토 도지(東寺), 오층목탑이 랜드마크 역할을 했던 사찰

일본 도쿄의 랜드마크였던 오층목탑이 있는 도지(東寺)이다. 헤이안시대 수도 교토를 건설하면서 남문 앞에 서사(西寺)와 함께 세워졌던 사찰이다. 경주 황룡사나 시안 대자은사처럼 교토를 대표하는 호국사찰었으며 헤이안시대 초기 홍법대사(구카이)가 주지를 맡으면서 일본 진언종의 중심사찰이 되었다. 교토역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층목탑은 높이 54.8m로 일본에서 가장 높은 목탑이다. 도지는 국가 사적 및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금당, 오층탑, 대사당(大師堂), 연화문(蓮花門), 관지원객전(観智院客殿)이 일본 국보로 지정된 건축물이며 불상 등 많은 국보급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유서깊은 사찰이다. 도지(東寺)는 헤이안시대 시작될 때 도성과 함께 건설된 호국사찰로 당나라 전통사찰의 가람배치를 따르고..

일본(Japan) 2020.12.19

일본 교토 혼노지(本能寺), 오다 노부나가가 배신을 당해 죽었던 사찰

일본 교토시에 있는 혼노지(本能寺)이다. 일본 불교 법화종본문류(法華宗本門流) 중심 사찰로 전국시대를 끝낸 오다 노부나가가 배신을 당해 죽은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이 일어난 유서깊은 장소이다. 천황이 살았던 교토 어소(御所)에서 남쪽에 1 km 떨어진 교토 도심에 자리잡고 있다. 원래는 다른 곳에 있었는데 1591년 도요토미의 명으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현재에는 혜승원(恵昇院) 등 7곳의 암자(탑두)가 있으며 도심이 자리잡고 있어 박물관과 호텔 등을 같이 운영하고 있다.

일본(Japan) 2020.12.16

일본 교토 덴류지(天龍寺)

일본 교토에 있는 임제종천룡사파 본산인 덴류지(天龍寺)이다. 남북조시대 (1345년) 천황의 명복을 빌기 위해 천룡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사원의 중건을 위해 막부에서 천룡사선(天龍寺船)이라는 무역선을 명나라에 파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에 세워졌던 전각들을 여러차례의 전란과 화재 등으로 소실되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현재의 건물들은 19세기 메이지유신 이후 다시 지어진 것들이다. 덴류지는 참선과 수양을 중시하는 선종 사찰로 수행공간인 대방장(大方丈)을 중심으로 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주요 전각으로 법당(法堂), 다보전(多宝殿) 등이 있다. 주변에 2곳의 천황릉이 있는 등 천왕과 연고가 많은 사찰이다. 덴류지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대방장과 소겐치(大方丈と曹源池) 정원이 유명하며 일본 국가 명승과 사적..

일본(Japan) 2020.12.08

일본 교토 신천원(神泉苑), 니조성 남쪽 사찰 정원

일본 교토시 니조성(二條城) 남쪽에 있는 작은 사찰인 신천원(神泉苑)이다. 일본 불교 진언종 사찰로 관음보살을 모시고 있다. 일본이 교토로 천도(794년)할 때 헤이안시대 궁궐 연못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공간이다. 1602년 도쿠가와가 니조성을 축조할 때 대부분 영역이 니조성에 포함되면서 현재의 규모로 크게 축소되었다. 연못에는 용왕이 살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신천원은 헤이안시대에 처음 조성한 궁궐 연못에서 유래한 법성취연못(法成就池)이 유명하다. 시안 대명궁 후원 연못이나 경주 반월지와 비슷한 시기에 처음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법성취연못을 지나는 다리를 건너면 용왕을 모신 사당인 선녀용왕사(善女竜王社)를 볼 수 있다. 이곳을 찾는 신도나 관광객이 찾는 주요 공간이다.

일본(Japan) 2020.11.26

일본 교토 니조성(二条城), 에도시대 쇼군의 거처

일본 교토에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공간인 니조성(二条城)이다. 도쿠가와가 세키가하라 전투에 승리한 후 쇼군으로 교토에 거처할 공간으로 세웠다. 일본 천황이 거처했던 궁궐인 어소(御所)에서 서남쪽으로 1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니조성은 동서 500 m, 남북 400 m의 직사각형 형태로 혼마루(本丸)를 중심으로 바깥쪽에 니조마루(二丸)를 두고 있으며 혼마루와 니조마루 사이와 니노마루 바깥에 해자가 있다. 교토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일본 다이묘들의 성곽과는 달리 규모도 크지 않고 방어시설도 견고하지 않은 편이다. 니조성은 전역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니노마루 어전은 국보로, 다른 건물 등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에도시대 쇼군의 거처로 교토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이었던 공간이다. ..

일본(Japan) 2020.11.20

일본 교토 후시미 이나리 신사(伏見稻荷大社)

일본 교토에 있는 후시미 이나리 신사(伏見稻荷大社)는 일본 전역에 있는 수많은 이나리신사를 대표하는 곳이다. 농업과 살, 여우, 공업, 성공 등을 상징하는 수호신으로 추앙받은 이나리신(稲荷神)을 모신 곳이다. 신사는 누문, 배전, 본전 등을 두고 있으며 뒷편 언덕에는 신자들이 기부한 도리이(鳥居)가 약 만개 정도 있다고 한다. 2번째 도리이 안쪽에는 불교 사찰처럼 누문(樓門)을 두고 있다. 이 건물은 1589년에 지어진 것으로 앞면 3칸의 전통적인 누각 형태를 하고 있다. 그 앞에는 사찰과 마찬가지로 손을 씻고 물을 마실 수 있는 큰 수조가 있다. 누문 앞에에는 이나리신을 상징하는 여우를 표현한 조각상이 세워져 있으며 출입문에는 신상이 모셔져 있다 누문을 들어서면 본전 앞에 위치한 외배전(外拝殿)이 있다..

일본(Japan) 2020.11.06

일본 교토 도후쿠지(東福寺),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 사찰

일본 선종 임제종 동복사파(東福寺派) 본산인 교토 도후쿠지(東福寺)이다. 교토 5대 선종 사찰 중 하나로 헤이안 시대 말기에 창건되었다. 당시 교토의 실력자가 나라(奈良)에 도다이지(東大寺)와 도후쿠지(興福寺)에 필적하는 큰 사찰로 창건하였으며 '동(東)'자와 '복(福)'자를 따서 동복사(東福寺)라 했다. 송나라 금산사(金山寺)에 유학했던 선승 엔에(円爾)가 초대주지를 맡으면 일본 임제족 동복사파가 시작되었다. 사찰은 여러차례 화재 등으로 소실과 재건을 거듭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저유물들이 발견된 신안 해저선은 화재로 소실된 도후쿠지를 재거 비용 조달 목적으로 파견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도후쿠지는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데 송나라에서 전해진 단풍나무가 심어진 것이라 한다. 메이지 유신 이후 규모가..

일본(Japan) 2020.10.22

일본 교토 우지시 뵤도인(平等院)

일본 중세 헤이안시대를 대표하는 불교 사찰인 뵤도인(平等院)이다. 998년에 별장 건물로 처음 지어졌으며 1052년에 불교 사찰로 바뀌었다. 뵤도인은 거대한 청동 아미타여래 불상을 모신 형태로 지어졌으며 가마쿠라 막구 시기에 정토원과 나한당이 새로 세워지는 등 거대 사찰로 바뀌었다. 당시 정토원은 정토종이, 나한당은 천태종이 관할하였으며 지금은 특정 종파에 속해 있지 않다. 봉황당을 중심으로 여러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그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뵤도인의 중심 건물인 봉황당은 일본을 대표하는 목조건축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건물은 아미타여래를 모신 중당을 중심으로 양쪽에 궐(闕)을 연상시키는 복도가 있으며 뒷폄에 미랑이 있다. 중국 시안의 당대명궁 함원전 건물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일본(Japan) 2020.10.14

일본 교토 어소(御所), 일본 천황이 살았던 궁궐

에도시대까지 일본 천황이 살았던 궁궐이 교토 어소(御所)이다. 간무 천황이 746년 나라에서 교토로 수도로 옮긴 이래 메이지 유신으로 수도롤 도쿄로 옮기기 전까지 정궁(正宮)이었던 곳이다. 당나라 장안을 모방하여 교토를 건설하면서 교토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막부시대에 천황이 실권을 잃으면서 1331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중국 자금성이나 경복궁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교토 어소 남문에 해당하는 건례문(建礼門)이다. 교토 어소는 담장으로 둘러져 있으며 바깥은 어소가 도쿄로 옮겨진 후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어소 입구에 있는 제대부간(諸大夫間)이다. 천황을 알현하기 전 대기하는 공간이다. 어소 정전인 자신전(紫宸殿)이다. 경복궁이나 자금성과는 달리 월대를 두고 있지 않다. 자신전 옆 춘흥전(春興..

일본(Japan) 2020.08.19

동해 북평해암정

동해시 추암 촛대바위 부근에 있는 작은 정자인 북평해암정이다. 앞면 3칸 규모의 전형적인 정자 건물로 조선중기에 지어졌으며 여러차례 수리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송시열을 비롯하여 조선후기 관동팔경 유람을 떠났던 많은 선비들이 찾았던 명소 중 한곳이다. 동해 북평해암정. 경치가 빼어난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정자이다. 옆쪽에서 본 모습. 정자 뒷편으로는 기암괴석들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동해안 일출명소인 추암 촛대바위가 있는 언덕. 추암 촛대바위

고택_정원 2018.07.30

함백산 두문동재(해발 1,268 m)

백두대간을 넘는 고갯길 중 정선군 고한읍에서 태백시로 넘어가는 두문동재(해발 1,268 m)이다. 고갯길 아래 터널이 생기면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태백시의 관문이었던 고갯길이다. 함백산과 주변 봉우리를 탐방하는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한강 발원지인 검룡소까지 탐방로가 개설되어 있다. 함백산 두문동재. 해발 1,268 m의 높은 고갯길로 태백시의 관문이었던 길이다. 고개 아래에 터널이 생기면서 지금은 차량 통행이 거의 없는 한적한 길이다. 함백산으로 연결되는 등산로 북쪽으로는 한강발원지인 검룡소와 연결되는 탐방로가 개설되어 있다. 다양한 야생화들이 있는 생태보고로 환경보호를 위해 탐방객 수를 제한하고 있다. 야생화 천국임을 알려주는 표지판

한국의 풍경 2018.07.30

함백산 만항재(해발 1,330 m), 가장 높은 자동차 고갯길

정선군 고한읍과 태백시를 연결하는 고갯길인 함백산 만항재이다. 백두대간을 넘어 가는 고갯길로 자동차가 지나가는 도로 중 가장 높은 해발 1,330 m에 위치하고 있다. 자동차 통행이 많은 도로는 함백산 정상을 쉽게 오를 수 있는 등산로의 출발점이 되며 근처에 태백선수촌이 있다. 자동차 드라이브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길이며 만항재 아래에는 전국 5대 적멸보궁 중 한곳이 정암사가 자리잡고 있다. 백두대간을 넘는 고갯길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만항재. 정선에서 만항재를 넘어 태백으로 내려가는 길 만항재 표지석 만항재 서쪽 백두대간을 따라 이어지는 옛길. 벌목을 위해 조성한 임도로 보인다. 만항재에 조성되어 있는 작은 공원 만항재 동쪽 함백산을 따라 태백으로 이어지는 도로. 함백산 중턱에 위치한 태..

한국의 풍경 2018.07.30

함백산 정암사, 전국 5대 적멸보궁

함백산 아래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정암사(淨巖寺)는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중 한 곳이다. 사찰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며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언덕에 세워진 사리를 모신 수마노탑이 있으며 그 아래에 적멸보궁을 비롯한 크고 작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는데 적멸보궁을 제외하고는 최근에 크게 지은 것으로 보인다. 함백산 아래 사찰 경내를 흐르는 계곡은 맑은 물에서만 살 수 있는 열목어가 살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함백산 정암사.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전국 5대 적멸보궁 중 한곳이다. 정선에서 만항재 고갯길을 오르는 도로에서 볼 수 있는 정암사 입구. 정암사 주불전인 적멸보궁. 적멸보궁 내부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고 있지 않다. 정암사에는 크고 작은 전각들이 있는데 대부분 최근..

전국 사찰 2018.07.29

태백 삼수령(해발 935 m)

강원도 태백시와 정선군을 연결하는 고갯길 중 하나인 삼수령(해발 935 m) 이다. 태백시에서 한강 발원지인 검룡소를 찾아 가는 길에 볼 수 있다. 백두대간이 두타산, 덕항산을 지나 서쪽으로 방향을 바꿔 매봉산으로 향하는 산줄기에 위치하고 있다. 이런 지리적 특징 때문에 이곳에 내린 비는 남쪽으로는 낙동강 발원지인 황지천을 거쳐 남해로 흐르고, 북쪽으로 정선 아우라지를 거쳐 남한강을 지나 서해로 흘러간다. 동쪽으로 삼척 오십천을 따라 동해로 흘러간다. 이런 특징 때문에 이곳을 삼수령(三水嶺)이라 부른다. 태백 삼수령(해발 935 m). 태백시에서 한강 발원지 검룡소를 가는 길에 만날 수 있는 고갯길이다. 삼수령 표지석. 삼수령에 자리잡고 있는 오래된 휴게소 삼수령에 조성된 공원에 세워진 기념 조형물. 이..

한국의 풍경 2018.07.28

태백 함백산(해발 1,573 m)

함백산(해발 1,573m)은 강원 동부의 최고봉으로 자동차가 올라갈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 일 것이다. 근처 태백산에 비해 찾는 사람이 적어 한적하게 등산을 즐길 수 있다. 남쪽으로는 해발 1,300미터 고개인 만항재가 있고, 북쪽으로는 싸리재(두문동재)가 있다. 두문동재에서 정상으로 가는 길은 등산로가 뚜렷하고 내내 조망이 시원해 눈이 즐겁다. 함백산은 등반하기는 쉬워도 강원도에서 설악산 다음 으로 높으며, 전국적으로도 아마 열손가락안에 드는 높은 산이다. 함백산 아래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신 전국 5대 적멸보궁 중 한곳인 정암사가 자리잡고 있다. 함백산 정상부에 세워진 표지석 함백산을 가장 빠르게 오를 수 있는 산책로가 시작되는 만항재. 해발 1,300m 가 넘는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가..

한국의 풍경 2018.07.28

태백 귀네미마을

드넓은 고냉지 배추밭으로 유명한 강원도 산촌마을인 귀네미마을이다. TV방송 프로그램에도 자주 등장했던 명소로 해발 1,000 m 이상 백두대간 능선에 자리잡고 있다. 원래부터 있던 마을은 아니고 인근에 댐이 세워지면서 수몰민들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살아왔다고 한다. 마을이 있는 백두대간 너머에는 삼척의 명소인 환선굴이 있다. 태백 귀네미마을 전경 백두대간 능선을 개간하여 드넓은 채소밭을 만들어 놓고 있다. 백두대간 능선을 오르는 길. 백두대간 능선. 안개가 심하게 끼어 능선아래 동해바다를 볼 수 없었다.

한국의 풍경 2018.06.04

태백 구문소(천연기념물 417호), 낙동강 첫번째 절경

태백시에 발원하여 남해안으로 흘러드는 낙동강의 첫번째 명소인 태백 구문소(천연기념물 417호)이다. 발원지인 황지에서 솟아난 황지천이 암반을 뚫고 지나면서 철암천과 만나는 곳에 형성된 석문과 소(沼)이다. 부근 석회암 지대에는 건열, 물결자국 등 다앙한 형태의 퇴적구조와 삼엽충, 완족류, 두족류 등의 다양한 생물화석이 출토되고 있다. 구문소 옆에는 태백과 봉화를 연결하는 국도 31호선이 지나가는 작은 동굴이 있다. 낙동강 발원지 황지연못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볼 수 있는 태백 구문소. 오랜 세월 동안 낙동강이 석회암 바위를 뚫고 작은 동굴을 만들면서 흘러 내려간다. 태백 도심 황지연못에서 발원하여 흘러내려오는 황지천. 낙동강이 석회암지대를 흐르면서 다양한 퇴적지형을 만들어내고 있다. 바위를 깎으면서 구문..

한국의 풍경 2018.05.04

낙동강 발원지, 태백 황지연못

낙동강 발원지인 태백 황지연못이다. 태백 도심에 있는 연못으로 옛 문헌에 낙동강의 발원지라 기록되어 있다. 실제 발원지로 추정되는 곳이 주변에 여럿 있기는 옛문헌의 기록되어 있고, 워낙 많은 물이 솟아오르기 때문에 낙동강의 발원지로 사실상 인정받고 있다. 못은 상지,중지,하지 3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지 남쪽에 깊은 수굴에서 엄청난 수량의 샘이 솟아나고 있는데, 가뭄에도 하루 약 5,000t 이상의 물이 솟아나고 있다고 한다. 황씨 성을 가진 사람과 관련된 전설이 전하며, 조선시대에는 관아에서 제를 올렸다고 한다. 낙동강 발원지 황지연못에 있는 3개의 연못 중 첫번째 연못. 맑은 물이 고여 있는 연못처럼 보이지만 엄청난 수량의 물이 솟아오른 큰 샘이다. 두번째 연못. 여느 관광지 연못처럼 방문객..

한국의 풍경 2018.04.06

남한강 발원지, 태백 검룡소 (명승 73호)

1천3백여리(514.4 km) 한강의 발원지인 태백 검룡소(명승 73호)이다. 금대봉 주변 석회암에 스며들었던 빗물이 솟아올라 계곡으로 계곡으로 흘러 내린다. 검룡소는 둘레 20 m 정도로 샘에서 하루 2,000~3,000t의 물이 솟아 오른다. 이무기가 용이되고자 한강을 거슬러 올라왔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검룡소는 한강의 발원지라는 지리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곳이기때문에 탐방의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곳이다. 계곡을 따라서 이어진 약 1.5 km의 산책로는 경사가 완만하며 울창한 숲,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 야생화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 등이 조화를 이루어고 있어 걷기 편하면서도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걷고 싶은 숲길이다. 남한강이 시작되는 태백 검룡소(명승 73호) 태백 검룡소 입구에 세워진..

한국의 풍경 2018.0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