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불교건축(불전_요사) 184

서울 봉원사, 요사채와 불전들(명부전)

봉원사는 오래된 사찰이지만, 한양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 그 규모에 제한을 많은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찰 경내도 넓지는 않고 건물들도 일반적인 사찰에 비해서 작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경제력이 집중되는 서울에 위치한 까닭에 거대한 불전을 지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봉원사 서쪽편에 위치한 삼천불전일 것이다. 또한 대웅전이나, 극락전 등 불전에 비해서 규모가 상당히 큰 요사채가 경내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봉원사 경내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요사채로 보이는 건물. 봉원사라고 적힌 편액을 걸고 있는 건물로 앞면이 7칸이나 되는 큰 건물이다. 마찬가지로 유리창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궁궐건물과 비슷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 건물의 기단은 궁궐 건물처럼 만들어 놓고 있다. 봉원사 서쪽편에 자리잡고 ..

서울 봉원사, 불전들 (반월전, 극락전, 미륵전)

봉원사는 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사찰로 신라 진성여왕때부터 존재해 왔다고 전해진다. 불교 종파 중 태고종의 총본산으로 고려 공민왕때 개혁 승려인 보우스님이 크게 중창하였고, 영조대왕이 봉원사 편액에 글씨를 하사할 정도로 번창했던 사찰이다. 하지만 서울에 있었던 까닭에 사찰의 규모가 지방의 사찰에 비해서 작고 대웅전은 한국전쟁 때 타 버렸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전각 중에서는 극락전과 만월전, 칠성각이 오래된 건물로 보이며 다른 건물들은 대부분 최건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봉원사 만월전. 만월전은 과거불인 약사여래를 모시는 불전으로 보통 약사전으로 불리지만 봉원사에서는 만월전으로 부른다. 봉원사 극락전. 미래불인 아미타불을 모신 불전으로 무량수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봉원사에서는 특이하게 유리창문으로..

고창 선운사, 주불전인 대웅보전

선운사 중심불전인 대웅보전은 신라 진흥왕 때 세운 것으로 전하며,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 때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중심불전인 대웅전에 석가모니를 모시지 않고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다. 석가모니불을 모신 영산전이 대웅전 옆에 별도로 있는데 우리나라 사찰건물 배치중에서는 아주 특히한 형태의 건물배치이다. 대웅보전 건물은 조선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사찰건물로 규모가 크고 안정감이 돋보이는 건물이며, 단청이 화려하고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선운사 동쪽 출입구에서 본 풍경. 만세루, 6층석탑, 대웅보전과 동백숲이 나란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선운사의 중심 불전인 대웅보전. 조선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건축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건물의 규모가 큰..

고창 선운사, 팔상전과 산신각

선운사 서쪽편 영산전 뒷쪽 축대위로는 우리나라에서 많지 않은 팔상전이 자리하고 있고, 그 옆으로는 산신각이 있다. 팔상전과 산신각 모두 최근에 조성한 불전이 아니고 오래 전부터 선운사에 존재했던 건물이다. 팔상전은 석가모니의 행적을 그린 그림을 보관하는 불전으로 대형 사찰에만 존재하는데 선운사의 규모를 말해주는 건물이다. 팔상전 뒷쪽으로는 선운사에서 가장 유명한 울창한 동백나무 숲이 있다. 선운사 대웅전 뒷편 축대 위에 있는 팔상전과 산신각. 선운사 팔상전. 우리나라에서 팔상전을 갖추고 있는 사찰은 많지 않은데 선운사에는 드물게 팔상전을 갖추고 있다. 대웅전 뒷편에서 올려다 본 팔상전 팔상전(八相殿)은 석가모니의 행적 가운데 극적인 여덟 장면을 그림으로 나타낸 팔상 탱화(幀畵)를 봉안하는 곳이다. 이 곳..

고창 선운사, 영산전과 명부전

선운사는 전북 고창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규모가 큰 사찰인 까닭에 일반적인 사찰보다는 넓고 전각도 많은 편에 속한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많지 않은 불전인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이 대웅전과는 별도로 자리하고 있다. 영산전이 존재하는 까닭에 사찰규모에 비해서 명부전의 규모는 크지 않고 낮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선운사 경내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영산전과 명부전. 대웅전 옆에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선운사의 특이한 전각배치이다. 그리고 명부전도 사찰규모에 비해 작아 보인다. 석가모니를 모신 영산전. 원래는 장육전이었던 것이 영산전으로 바뀌었다고 하며, 문화재로 지정된 목조삼존상을 모시고 있다. 영산전 단청과 편액. 영산전(靈山殿)은 대웅보전의 서쪽에 위치하며 정면 5칸, 측면 3..

[고창 도솔산 선운사(禪雲寺)] 만세루(萬歲樓), 경전을 강의하던 강당

선운사는 평지에 터를 잡고 있기때문에 보통의 사찰들처럼 대웅전앞을 들어갈때 누각을 밑을 지나서 계단을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천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만세루가 있고 이를 돌아서 들어가게 되어있다. 만세루는 선운사를 창건할 당시부터 있었다는 건물로 알려져 있으며 건물의 규모가 보통의 사찰누각보다 커서 많은 사람이 앉아서 쉴 수 있게 되어 있다. 앞면 9칸의 상당히 규모가 큰 건물로 객사를 연상시키는 건물이다. 선운사 경내 대웅보전 앞 마당 한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 만세루. 보통 일반적인 사찰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기때문에 만세루 등의 누각 밑을 통과해서 중심불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지만 선운사는 평지에 자리잡고 있어 경내 한 가운데에 만세루가 자리잡고 있다. 선운사의 출입문인 천왕문을 들어서면 최..

[고창 도솔산 선운사(禪雲寺)] 천왕문, 범종각, 입구 풍경

도솔천을 따라서 난 숲속길을 5분쯤 걸어서 올라오면 선운사의 실질적인 출입문이 천왕문을 볼 수 있다. 선운사는 계단형태로 언덕위에 지은 사찰이 아니고 설악산 백담사와 비슷하게 개천 옆에 있는 넓은 평지에 지은 사찰이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넓은 선운사 경내가 한눈에 들어오고 정면에는 유서깊은 누각인 만세루가 사찰 경내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선운사 입구인 사천왕상이 모셔진 천왕문. 2층 누각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범종이 있다. 선운사는 사찰을 담으로 둘러쌓여서 천왕문을 통해서 들어가게 되어 있다. 문화재급의 건물은 아닌듯.... 천왕문에 모셔진 사천왕상. 선운사 경내 중앙에 위치한 만세루에서 본 천왕문 천왕문 동쪽편에 자리잡은 건물. 천왕문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범종각 선운사 영산전에서 본 천왕문과 선운사..

[부안 능가산 내소사] 설선당(設禪堂), 요사(寮舍)

내소사에는 특이하게 법당이 아닌 건물로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이 설선당으로 두개의 건물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금은 스님들이 기거하고 있는 요사채이다. 조선시대 인조때 처음 세워진 건물로서 대웅전 앞 마당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으며,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로 마루에 앉아 있으면 내소사 입구의 탁 트인 전경이 보인다. 내소사 요사채인 설선당 입구. 남쪽방향으로 문이 나 있고 앞에는 마루가 있다. 현재는 스님들이 거처하는 장소로 일반인을 출입을 할 수 없다. 설선당과 요사는 내소사를 출입하는 봉래루 동쪽편에 자리하고 있다.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동쪽편에 보이는 설선당과 요사의 전경 설선당과 요사 건물의 마루. 마루에 걸터 앉으면 내소사 입구 마당의 정겨운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봉래..

화성 용주사 호성전, 사도세자 위패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전각

호성전은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전각으로 용주사 창건의 동기가 되는 건물이다. 지금 이 곳에는 사도세자, 혜경궁홍씨, 정조대왕, 효의왕후 김씨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매일 여섯번의 재를 오렸다고 한다. 용주사 경내의 박석이 깔린 길, 삼문, 홍살문 등 궁궐식 예법이 들어간 건물들이 용주사에 있는 이유가 호성전에서 위패를 모셨기 때문이며, 당시 정조대왕이 이 곳 용주사로 여러번 행차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건물은 한국전쟁때 불타버린 것을 새로 중건하였다고 한다.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전각인 호성전. 그 앞에는 최근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 부모은증경탑이 있다. 호성전은 앞면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소박하고 검소해 보인다. 부모은중경탑. 취지는 좋으나 예술적인 면이 부..

화성 용주사, 주불전인 대웅보전

용주사 중심불전인 대웅보전은 조선후기 정조때 지은 건물로 당대의 사찰 건축 기술과 궁궐 건축 기술이 합쳐진 건물이다. 앞면 3칸의 건물로 화려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려한 단청에 용머리를 새겨 놓고 있으며, 금빛 글씨가 빛나는 '대웅보전'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편액이 걸려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김홍도가 관여했다고 알려진 탱화와 닫집 등이 있다. 대웅전 하단부 초석은 일반 사찰과는 달리 자연석을 쓰지 않고, 궁궐 건물에서 사용하는 장대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붕의 형태를 보면 궁궐 건물등에 사용하는 치미를 사용하고 있어 다른 사찰의 불전과는 많이 다른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초석으로 궁궐건축물에 사용하는 장대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건물 전체적으로 사찰건물이 아닌 궁궐 건물 양식이..

화성 용주사, 불전들 (지장전, 천불전, 시방칠등각)

화성 용주사는 정조대왕에 창건한 사찰로 대웅전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대형 사찰과는 달리 불전이 많지 않은 편이다. 지장전은 보편적으로 현대 사찰에 많이 있는 불전으로 창건당시 용주사에는 없었으나, 19세기 말 인근에 있던 퇴락한 사찰인 만의사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처불전은 천개의 불상을 모신 불전으로 여러차례 화재로 소실된 것을 최근에 새로 지었다고 하며, 시방칠등각은 삼성각, 산신각, 독신각에 모시는 산신, 칠성신, 독성을 함께 모시는 삼성각으로 시방칠등각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다. 용주사 대웅전 동쪽편에 있는천불전. 보통 대형 사찰의 경우 주불전 외에 명부전,관음전,약사전,나한전 등을 두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곳 용주사에는 천불전을 두고 있다. 대웅전 아래 마당에서 보이는 천불전 용주사 뒷편..

[화성 용주사]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용주사 천보루를 들어서면 좌.우에 위치하고 있는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들이다. 동쪽편 건물은 나유타료라 불리며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이고, 서쪽편 건물은 만수리실이라 하며 선당으로 용주사를 찾는 손님들이 기거하는 공간이다. 용주사에는 대웅전을 제외하고는 큰 법당은 많지 않으나, 서울과 가깝고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었던 까닭에 많은 스님들이 머물고, 찾아 오는 손님이 많았던지 삼문 좌.우의 행랑채를 포함하여 상당히 많은 요사채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정조대왕을 효를 중심으로 일반인들을 교육하는 효행교육관을 운영하고 있다. 용주사 경내 동쪽편에 위치한 요사채인 나유타로. 승당으로도 불리며 스님들이 기거하는 공간이다. 경내 서쪽편에 위치한 요사채인 만수리실. 용주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잠깐 머무는 ..

[화성 용주사] 사찰 누각인 천보루(天保樓)

용주사 누각인 천보루는 정조대왕이 용주사를 건설할때 세워진 건축물로 일반 사찰 누각과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천보루 기둥 아래 초석은 석조기둥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경복궁 경회루의 1층 기둥을 연상시키는 초석이며, 궁궐 건물의 양식을 사용했다고 볼 수있다. 천보루 양쪽에는 요사채로 사용하는 회랑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또한 사찰 건물이 아니라 권문세가의 저택을 연상시키는 모습을 하고 있다. 천보루 앞에는 오층석탑이 있고, 용주사 본당인 대웅전은 천보루 누각 아래의 통로를 지나서 들어갈 수 있다. 화성 용주사 강당누각인 천보루는 앞면 5칸의 규모가 큰 누각이다. 누각의 모양새가 일반적인 사찰의 누각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궁궐 건물을 연상시킨다. 아마도 정조대왕 시절 궁궐 건물을 ..

[화성 용주사] 삼문, 사도세자 융륭의 재궁 역활을 보여주는 출입문

화성 용주사는 정조대왕이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시고 명복을 빌기 위해 중건한 사찰로 사도세자은 능인 유릉의 재궁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특징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이 출입문인 삼문과 홍살문, 그리고 길에 깔아 놓은 판석일 것이다. 삼문은 보통 궁궐이나, 사당, 서원 등에 사용하는 유교적인 예법을 반영한 문으로 사찰 출입문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능의 재궁 역할을 하는 서을 봉은사 등에만 있는 양식이라 한다. 삼문 양쪽으로는 중건 당시부터 세워진 행랑채가 있다. 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석탑이 있고, 서쪽편에는 최근에 만든 범종이 있는 불음각이 있다. 화성 용주사 출입문인 삼문. 유교 예법이 반영된 출입문으로 중앙문은 닫혀 있고, 혼령이 드나들 수 있도록 크게 틈이 있다. 내부에서 본 삼문 용주사 ..

설악산 신흥사, 불전들 (삼성각, 명부전)

신흥사는 규모가 아담하기때문에 부처님을 모신 불전이 많지 않고 내세를 중시하는 사찰의 성격으로 주불전인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과 보조 성격의 불전으로는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이 있고 민간신앙과 관련된 삼성각이 있습니다. 신흥사의 명성에 비해서는 불전이 많지 않다. 신흥사 중심불전인 극락보전 좌측에 자리한 명부전. 신흥사는 사실상 극락보전과 명부전으로 이루어진 사찰로 내세를 중시하는 사찰의 성격을 보여준다. 한국의 사찰에서 빠질 수 없는 민간 신앙과 관련된 삼성각. 명부전과 극락보전이 나란히 있고 뒤쪽편 언덕에 삼성각이 있다.

설악산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

신흥사의 주불전인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이다. 일반적인 사찰은 대웅전을 주 불전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깊은 산중에 있는 까닭에 극락보전이 주불전으로 되어 있다. 전형적인 조선시대에 건립한 불전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크지는 않지만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설악산 신흥사의 중심불전인 극락보전. 신흥사의 명성에 비해서는 소박한 규모의 건물이다. 극락보전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건물자체는 조형미가 뛰어난 건물이다. 명부전과 나란히 있는 극락보전 울산바위를 오르는 길에서 본 극락보전 신흥사 극락보전 편액. 극락보전은 서까래에 화려한 단청을 하고 있으며, 기둥뿐 아니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세워서 지붕을 지탱하는 조선시대 건축양식인 다포계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건물은 신흥사의 중심 전각으로 조선시대..

[설악산 신흥사] 사천왕문, 범종각, 보제루

신흥사는 외설악 지구에 들어서면 대부분의 설악산 땅이 신흥사 소유로 되어 있어 매우 큰 절처럼 느껴지지만 신흥사에 들어서면 크지 않은 아담한 사찰규모임을 알 수 다. 입구는 단촐하게 사천왕문 하나만 있고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바로 보제루와 범종각을 볼 수 있고 그 너머에 본당인 극락보전이 있다. 설악산 신흥사의 입구인 사천왕문 신흥사 입구인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볼 수 있는 보제루와 범종각 신흥사 보제루. 조선후기에 세워진 건물이다. 본당인 극락보전 앞에서 바라본 보제루 측면에서 본 보제루 보제루와 나란히 있는 범종각입니다. 신흥사 사천왕상

[설악산 신흥사] 일주문, 설악산 외설악 입구 가을 풍경

일년 사계절 중 설악산이 가장 아름다울 때인 가을의 풍경입니다. 아직 산아래까지 단풍이 물들지는 않았지만 가을의 풍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립공원 설악산 외설악 지구의 입구이자 신흥사의 출입문입니다. 외설악 지구를 들어서면 볼 수 있는 청동불상입니다. 웅장하게 지어졌지만 주위의 자연경관과는 잘 어울리는 편은 아닙니다. 신흥사 입구에서 보이는 울산바위입니다. 등산을 마치고 하산하는 등산객들.... 멀리 보이는 설악산을 봉우리들 설악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중의 하나인 권금성입니다. 한반도의 중추인 태백산맥중에 가장 높은 대청봉(1708m)을 정점으로 펼쳐진 설악산은 남한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봄의 철쭉 등 온갖 꽃과, 여름의 맑고 깨끗한 계곡물, 설악제 기간을 전후한 가을 단풍, 눈덮인 설경 등 사시..

설악산 백담사, 주불전인 극락보전과 나한전, 산령각

설악산 내설악에 자리잡고 있는 백담사는 일반도로에서 내설악 백담사 계곡을 따라서 무려 10km를 걸어야만 갈 수 있는 산중 깊은 곳에 자리한 사찰이다. (물론 봉정암은 백담사에서 수 km 이상을 산길을 걸어가야만 하지만..) 최근까지도 겨울에는 버스가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걸어서 백담사를 가야한다. 그래서 인지 백담사는 예전부터 스님들이 수행을 하는 공간이었던 것 같다. 백담사 중심 불전은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이고 일반적인 사찰과는 달리 명부전이 없고 나한전이 있다. 아마도 산중 깊은 곳에서 수행한다는 의미로 부처님의 제자들을 모신 나한전이 중시되었다고 생각된다. 백담사의 중심불전인 극락보전. 지금은 백담사의 규모가 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조그만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극락전앞 마당에는 조그..

서산 개심사, 홀로 떨어져 있는 명부전

개심사 경내 남쪽 바깥에 자리잡고 있는 명부전이다. 조선 인조때 만들어진 건물로 우리나라 여러 사찰에 있는 많은 명부전이나 지장전 중에서도 오래된 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명부전은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10왕와 지장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기능을 하고 있어, 관음전과 함께 찾는 사람이 많은 불전 중의 하나이다. 개심사 남쪽편 축대위에 세워진 명부전. 홀로 외로이 떨어져 있어서 고즈넉한 산사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 준다. 명부전 편액. 내부에 지방보살 불상이 보인다.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명부전.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진덕여왕 5년(651)과 의자왕 14년(654)은 다른 해에 해당한다. 개심사 경내에는 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