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불교건축(불전_요사) 184

서산 개심사, 주불전인 대웅전

개심사 중심불전인 대웅전이다. 앞면 3칸 규모의 아담한 모습을 하고 있다. 개심사는 터를 넓게 잡지 않아서 사찰 규모가 아담해 보이고 경내에 불전은 대웅전 하나뿐이고 바깥쪽에 명부전을 두고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공포가 기둥사이에 있는 다포계 건축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개심사 중심불전인 대웅전. 처마 아래를 보면 기둥에만 공포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두어 지붕을 받치는 다포계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개심사 대웅전 편액 개심사 경내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그 앞에 작은 탑이 있는 아담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또한 대웅전은 낮은 축대위에 있고 정면에서 올라가는 계단을 설치하지 않았다. 절의 기록에 의하면 개심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

[서산 개심사(開心寺)] 심검당과 무량수각,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서산 개심사는 불전은 대웅전과 명부전만 있는데 비해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채는 심검당, 무량수각을 비롯하여 일반 주택같은 건물 여러동이 있다. 아마도 스님들도 있지만, 이 곳에 잠시 머무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 심검당은 조선 성종때 지은 건물이라 하며 상당히 오래된 건물이지만 사찰 건물같지 않고 여러동의 건물들이 붙이 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다. 무량수각은 원래 불전이었던 건물을 요사채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서산 개심사 요채채인 심건당. 전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은 이 건물이 원래의 건물로 보이고 왼쪽으로 여러동의 건물의 덧붙힌 것으로 보인다. 심검당 앞으로는 툇마루가 있어 사람사는 분위기를 주고 있다. 심검당 옆으로 이어진 건물. 비뚤비뚤한 나무로 기둥을 사용해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서산 개심사(開心寺)] 강당 누각인 안양루, 출입문인 해탈문

개심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잠시 걸터 앉아서 쉴 수 있는 강당 누각인 안양루이다. 개심사 건물의 특징인 곧고 바른 나무기둥이 아닌 비뚤비뚤한 나무를 사용해서 자연스러움이 배어 있는 건물이다. 건물의 내력이 오래된 것 같지는 않지만 낡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개심사는 규모가 크지 않아서 강당 건물 앞 경내도 석탑을 중심으로 약간 협소한 느낌을 주고 있다. 강당인 안양루에는 법고와 목어가 함께 보관되어 있다. 서산 개심사 강당인 안양루. 정면5칸.측면3칸의 건물이지만 협소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개심사 경내 바깥쪽에서 본 안양루. 경내에서 보는 모습과는 다른 분위기를 주고 있다. 개심사 안양루 내.외부에 걸린 개심사 편액 측면에서 본 개심사 안양루. 개심사에는 출입문이 천왕문이 없고, 안양루 누..

[서산 개심사(開心寺)] 일주문, 입구 풍경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고 가다보면 서산IC와 해미IC 사이에 있는 구릉에 넓은 초지가 있다. 김종필씨가 세운 '삼화목장'이 오늘에 이른 '농협가축개량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드문 넓은 초지이다. 이 목장을 지나서 국도를 따라서 한참을 들어가면 서산지역에서 제일 유명한 사찰인 개심사를 만날수 있다. 개심사는 지금은 상당히 유명한 사찰이지만 규모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요사체, 명부전이 있는 소규모 사찰로 수덕사의 말사라 한다. 상왕산 개심사 정문인 일주문. 개심사에는 천왕문과 금강문 같은 출입문이 없는 소규모의 사찰이다. 하지만 최근에 만들어서 그런지 일주문이 상당히 크고 웅장하다. 목조로 지은 개심사 일주문. '상왕산 개심사(象王山開心寺)'라고 적힌 편액이 걸려있다. 오래된 목조건축물처럼 보이는 것이 아주..

영주 부석사 - 삼성각, 지장전, 요사채 (응향각, 선열당), 종무소

부석사는 중심 불전인 무량수전을 제외하고는 부처님을 모신 불전을 많이 세우지는 않고 있는 반면, 작은 건물로 지어진 스님들이 기거하면서 수행을 하는 요사체들이 무량수전 아래 공간에 많이 자리잡고 있다. 조사당과 웅진전 바로 옆에 선방을 두고 있으며, 안양루 축대 아래 공간에는 스님들의 요사체인 응향각과 선열당이 있고, 범종루 아래 공간에 종무소가 자리잡고 있다. 태백산과 가까워서 그런지 삼성각이 다른 사찰에 비해서 규모가 크고, 가장 최근에 세워진 불전으로 보이는 지장전이 동쪽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부석바위 아래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삼성각. 원래는 불상을 모신 불전이었으나, 삼성각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안양루 아래 공간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스님들의 요사체인 선열당. 원래 조사당 옆에 있는 건물..

영주 부석사, 불전들 (웅진전, 자인당, 단하각)

부석사 중심 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숲속길을 따라가다 보면 의상대사 초상을 모신 국보인 조사당이 있고, 숲속길을 조금 더 들어가면 마지막 건물인 웅진전, 자인당과 조그만 단하각이 자리잡고 있다. 웅진전은 부처님의 제자를 모신 불전으로 보통 사찰의 경우 대웅전 옆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부석사 웅진전은 무량수전 뒷쪽편 숲속에 자리잡고 있다. 자인당은 원래 스님들의 선방으로 사용했던 건물인데 인근 사찰터에서 옮겨온 삼존여래 좌상을 모시고 있다. 부석사 조사당을 지나 숲속에 자리잡고 있는 웅진전과 자인당. 부처님 제자를 모신 불전인 웅진전 인근 사찰에서 옮겨온 삼존 여래좌상을 모신 자인당. 원래는 선방으로 쓰였던 건물이라 한다. 웅진전 뒷편에 있는 작은 건물인 단하각. 손에 쥐를 쥐고 있는 나한상을 ..

영주 부석사 조사당, 의상대사 초상을 모신 곳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 초상을 모시기 위해 세워진 불전인 부석사 조사당은 중심 불전인 무량수전이 있는 경내에서 숲속길을 따라서 조금 올라가면 볼 수 있다. 조사당 바로 앞에는 의상대사 지팡이를 꽂은 곳에 핀 꼿인 어사화가 있으며, 동쪽편으로는 사명대사가 수도했던 곳으로 유명한 취현암이 자리잡고 있다. 부석사 조사당은 앞면3칸, 옆면1칸의 작은 건물로 맞배지붕과 주심포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조사당 내부에는 국보이자 고려시대 대표적 회화작품인 조사당 벽화(복제본)가 있다. 의상대상 초상을 모시기 위해 세워진 건물인 부석사 조사당. 국보로 지정된 건축물로 건축사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조사당 편액은 목재로 만들었으나, 장식과 글씨가 중국식으로 된 편액이다. 조사당 처마를 받치는 기둥에 설치한 주심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배흘림 기둥과 주심포 양식의 대표적 목조건축물

수덕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알려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불전으로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는 불전이다.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신 불전을 보통 극락전 또는 무량수전이라 하는데 부석사에서는 무량수전이라 명칭하고 있다. 부석사의 또 다른 특징으로 '무량수전'이라는 편액이 중국식으로 적혀있고, 뒷편 조사당의 편액또한 글씨를 세로로 쓰는 중국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부석사 편액을 고려 공민왕이 썼다고 전해지는데, 공민왕은 원나라에 자란 사람으로써 원나라 양식으로 글을 썼던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 무량수전은 그 역사가 오래되어서 유명한 점도 있지만, 건축사적으로도 고려시대 주심포계 목조건축물을 가장 잘 구현한 건축물로도 의미가 있..

영주 부석사 - 안양루, 날아 오르는 듯한 누각

부석사 중심 불전인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목조 건축물 중의 하나인 무량수전 경내로 들어가는 출입문 역할을 하는 안양루이다. 안양루에서 보는 소백산맥 줄기의 넓은 산하를 보는 경치는 우리나라에서도 손꼽히는 명장면 중의 하나이다. 안양루는 축대 아래에서 보면 웅장해 보이지만, 무량수전에서 보면 아담하며,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느낌을 주는 건물이다. 부석사 안양루는 중심불전인 무량수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는 출입문 역할을 하며, 부석사를 구성하고 있는 축대 중 가장 높은 곳을 들어가는 입구역할을 하기 때문에 축대 아래에서 보면 아주 웅장해 보인다. 부석사 안양루 입구에는 '안양문'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출입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무량수전이 있는 경내에서 보면 안양루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무량수전 ..

영주 부석사 - 천왕문 주변 풍경

영주 부석사는 산중턱에 축대을 쌓아서 만든 사찰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일주문에서 시작한 은행나무 가로수가 있는 언덕길을 걸어올라가면, 실질적인 사찰을 입구라 할 수 있는 천왕문을 만나게 된다. 이 곳 천왕문에서부터 단계별로 축대를 쌓아서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천왕문 부근에는 특별한 건물이나 탑은 없지만, 천왕문을 들어서면 불국사 축대와 함께 사찰 경내를 조성하는 유명한 축대를 볼 수 있다. 영주 부석사의 실질적인 출입문인 천왕문. 여기서부터 유명한 부석사 축대를 볼 수 있다. 인공적인 경주 불국사 축대에 비해서 자연석을 이용해서 자연스럽게 쌓아 올린 부석사 축대를 볼 수 있다. 부석사 천왕문 천왕문 오른쪽으로 난 숲속길. 아마도 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길로 보인다.(?) 사천왕상. 천왕문을..

영주 부석사 - 일주문과 은행나무길

태백산 끝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영주 부석사는 절 마당에서 내려다 본 경치의 아름다움으로 유명한 대표적인 사찰이다. 부석사는 계곡이 아닌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지만 올라가는 길은 어렵지 않고 평탄한 편에 속하며, 일주문을 지나서 걸어가는 호젓한 길은 가을 은행나무의 노란색과 더불어 가을 분위기를 물씬 풍겨주고 있다. 길 양쪽에 있는 주렁주렁 매달린 사과 과수원의 사과와 함께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게 해 준다. 물로 봄에 핀 사과꽃도 상당히 아름다운 길이다. 영주 부석사 일주문, 태백산 자락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부석사 일주분 동쪽편 언덕에 있는 가을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사과밭. 그 주변으로 김장 준비를 위한 채소들이 심어져 있다. 부석사 입구에서 일주문으로 오르는 은행나무길. 동쪽편에는 사과나무밭..

밀양 재약산 표충사 - 사천왕문 외

밀양 표충사의 실질적인 정문 역할을 하고 있는 사천왕문이다. 문화재적으로 큰 의미는 없는 것 같지만 나름대로 잘 꾸며 놓고 있다. 표충사는 조선시대 유교 서원과 같이 있었던 까닭에 뭔가 다른 사찰과는 다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표충사 출입문인 사천왕문. 주위 조경수들을 잘 가꾸어 놓고 있다. 표충사 사천왕문 안에 있는 사천왕상. 표충사 사천왕문 옆에 있는 박물관. 표충사 박물관 외부에 전시된 문화재.

밀양 표충사, 관음전과 명부전

밀양 표충사 제일 안쪽에 있는 건물이 명부전과 관음전이다. 명부전은 나름대로 내력을 가진 건물이지만 관음전은 최근에 지은 건물인 듯 하다. 기복 신앙을 중시하는 한국적인 풍토에서 요즘 신축하거는 중수하는 건물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관음보살을 모신 관음전과 죽은 자의 명복을 비는 명부전일 것이다. 명부전은 표충사 제일 안쪽에 있고, 정문에 직선으로 제일 안쪽에 있어 그 앞에서 서면 멀리 사천왕문부터 절의 모습이 내려다 보인다. 표충사에서 제일 안쪽에 자리잡은 관음전. 언뜻 보기에도 내력이 깊지는 않고 전통 사찰에서 오래된 관음전에 비해서 건물을 크기가 상당히 큰편이다. 표충사 명부전. 원래부터 있었던 불전이라고 하며 현재의 건물은 최근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표충사 관음전 앞에서 내려다 본 표중사 경내. ..

밀양 표충사, 주불전인 대광전과 표충서원이었던 팔상전

밀양 표충사는 규모가 크지 않고 통도사 말사였던 까닭에 대웅전 대신 대광전이 중심 불전이 되어었던 것 같다. 중심 불전인 표충사 대광전 바로 옆에는 지금은 팔상전으로 사용중인 사명대사를 모신 표충서원이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에서 공이 매우 컸던 사명대사로 인해 서원 사당과 부처님을 모신 불전이 나란히 있었던 아주 특히한 가람배치이디. 표충사 삼층석탑이 이 대광전 바로 앞 경내 마당에 자리하지 않는 특이한 점이다. 표충사 중심불전인 대광전. 일제시대에 중수한 건물이지만 건물 자체는 잘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와 아미타불을 좌우로 모시고 있는 전형적인 대웅전 형태인데 비로자나불을 모신 불전에 붙이는 대광전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가까이 다가가서 본 표충사 대광..

밀양 재약산 표충사 - 만일루, 범종루, 풍경들

표충사는 오래된 절이지만, 통도사의 말사로서 규모가 크지 않았던 관계로 오래된 건물들은 많지 않지만 임진왜란 이후 사명대사 관련된 사찰로 융성하게 되어 지금은 적지 않은 규모와 주위 자연환경과 잘 어울려 아름다운 절의 풍경을 보여준다. 표충사는 불보 사찰인 통도사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지 사찰내 정원이 잘 꾸며져 있고 건물이 중구난방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나름 질서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밀양 표중사의 범종루. 누각 아래에 범종이 누각에 법고와 목어가 있는 오래된 문화재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잘 만들어진 건물이다. 표충사 범종 표충사 범종루의 법고와 목어 표충사 만일루. H자형 독특한 구조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효봉스님이 만년을 보낸 곳으로 오래된 건물은 아니지만 불교계에서는 의미가 깊은 건물로..

구례 화엄사 - 금강문, 사천왕문

구례 화엄사는 대형 사찰답게 들어가는 입구에 금강문과 사천왕문이 같이 있습니다. 화엄사 금강문 옆으로는 템플스테이 하는 장소가 있고 우측으로는 지리산 계곡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길이 넓지 않은 관계로 사천왕문과 금강문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에 속합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입니다. 옆으로 꽃나무가 심어져 있습니다. 아래쪽 입구에 자리한 금강문입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안에 있는 사천왕입니다. 안쪽에서 본 화엄사 사천왕문입니다.금강문이 있는 사찰은 금강문이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지만, 금강문이 없는 사찰은 사천왕문이 대문 역할을 한다. 금강역사는 불법을 훼방하려는 세상의 사악한 무리를 경계하고, 사찰로 들어오는 모든 잡신과 악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들어가면서 오른쪽을 지키는 역사가 나라..

구례 화엄사 - 덕장정, 성행당, 광학장 (템플스테이 하는 곳)

요즘 전국적으로 템플스테이가 인기를 끌고 있어 유명 사찰마다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구례 화엄사에도 꽤 큰 장소가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으로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 좌측에 있는 3개동의 건물에 템플스테이를 참여하는 사람이 머물고 있습니다. 화엄사 템플스테이 장소인 덕장정, 성행당, 광학장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입니다.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고 밖에서 건물 모습만 담았습니다. <

구례 화엄사 - 만월당, 청풍당 (사천왕문 주변)

구례 화엄사의 사천왕문 좌우에 있는 건물입니다. 스님들이 기거하는 곳이라 생각됩니다. 작지 않은 건물들로 봐서 화엄사의 규모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곳입니다. 화엄사는 계단식으로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 건물들은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면 계단위로 보제루가 있고 계단 우측에 당간이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 보제루 아래 하나의 독립적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 좌측에 있는 만월당입니다. 화엄사 우측에 있는 운고각 너머로 스님들이 기거하는 곳이 보입니다.

구례 화엄사 보제루, 화엄사를 찾는 사람들 쉼터가 되는 강당

보제루는 구례 화엄사의 본 절 입구를 장식하고 있는 건물로 목조구조물에 색칠이 되어 있지 않아 고풍스러운 분위기른 느끼게 해주는 건물이다. 앞면 7칸의 규모가 큰 건물이지만 문화재로서의 중요성이 높지는 않은지 강당 내부는 이 곳 화엄사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강당에 앉아 경내를 보면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람배치에서는 강당은 금당 뒷편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사찰을 찾는 신도들과 승려들을 대상으로 경전을 공부하는 장소로 준비된 곳이지만, 요즈음 강당은 사찰을 찾는 신도들이 잠시 쉬는 공간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산지사찰의 경우는 누각과 강당을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누각이 출입문 역할을 하는 사찰 또한 많은 편이다. 화엄사 사천왕문을 지나면 우리를 맞이 해주는 누각..

구례 화엄사, 원통전과 나한전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 옆에 자리잡고 있는 원통전과 나한전입니다. 보통 주불전일때 원통전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화엄사는 규모나 형태면에서 주불전이 아닌것처럼 아담하게 세워져 있습니다. 나한전 또한 구석편에 아주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엄사 원통전은 대웅전이나 각황전에 비해 규모가 작습니다. 화엄사 석등을 배경으로 각황전, 나한전, 원통전, 영전이 차례로 있습니다. 아주 아담한 크기의 화엄사 나한전입니다. 화엄사에서 가장 큰 법당인 각황전과 비교해서 본 원통전 ☞ 원통전 관음전(觀音殿), 원통전(圓通殿)이라 일컫는다. 관세음 보살을 모신 불전인데 주불전일 때는 원통전이라 부르며 부속 전각일 때는 관음전이라 부른다. 관세음 보살은 모든 중생들의 고난의 소리를 들으시고 대자대비한 마음으로 이를 건져 주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