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불교건축(불전_요사) 184

[강진 월출산 무위사] 천왕문 (해탈문)

무위사 출입문인 천왕문이다. 국보인 극락전과 함께 무위사를 소개할 때 많이 등장하는 문으로 극락전과 잘 어울리게 소박하면서도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다. 무위사는 이 주차장에 내리면 바로 천왕문을 볼 수 있고, 천왕문을 들어서면, 넓은 공간이 펼쳐지는데 인위적인 면이 있는 듯 하다. 다른 지역의 사찰과는 달리 천왕문을 지나면 강당이나 누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불전인 극락전이 바로 눈앞에 들어온다. 무위사 천왕문(해탈문). 한옥 저택의 출입문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전통적인 무위사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형태이다. 천왕문 안쪽으로 무위사 극락전이 보인다. 무위사 편액과 용의 형상으로 만든 장식 사천왕상 천왕문을 들어서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목조건축물 중 하나인 무위사 극락전이 보인다. 무위사 경내에서 본 천왕..

[월출산 도갑사]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현대 사찰의 특징 중의 하나로 요사채 건물들이 계속 신축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곳 도갑사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중심불전인 대웅전 좌.우로 여러동의 요사채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 좌측편에는 강당겸 종무소 역할을 하는 건물이 있고 그 뒷편으로는 수행공간으로서 요사채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대웅전 우측편에도 새로이 신축한 요사채로 보이는 건물들이 있다. 도갑사의 수행공간인 요사채가 대웅전 우측편에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며 자리잡고 있다. 종무소겸 강당 역할을 하는 건물. 대웅전 좌측편에 새로이 신축한 건물 대웅전 좌측편의 요사채 건물

영암 도갑사, 불전들 (국사전, 미륵전, 천불전, 명부전, 산신각)

도갑사에는 국사전, 미륵전, 천불전, 명부전, 산신각의 불전이 있으며 그 중 도선국사와 수미왕사의 영정을 모신 국사전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산신각도 원래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미륵전은 보물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이 있던 자리에 건물을 지어 불전으로 만든 것이다. 도선국사와 수미왕사의 영정을 모신 국사전.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조사당이라고 부르는데 이 곳 도갑사에서는 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불전 이름인 국사전으로 부르고 있다. 대웅전 우측편 언덕에 위치한 국사전 국사전에 모셔진 도선국사 영정 도갑사 뒷편 계곡에 있는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인 석조여래좌상을 모신 불전인 미륵전. 석가여래를 모셨지만 미륵전이라고 부르고 있다. 대웅전 뒷편에 있는 천불전 요즘 사찰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명부전. 이 곳..

영암 도갑사, 주불전인 대웅전

도갑사 중심불전인 대웅전은 최근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규모가 큰 건물이다. 도갑사 사찰 규모에 맞지 않게 크게 지어져서 전체적으로 약간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건물로 보인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졌으며 화엄사 각황전을 연상시키는 삼국시대 불전이 금당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하고 있다. 무위사 극락전처럼 아담하면서도 기품있게 지어졌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 불전이다. 도갑사 대웅전, 오래된 고려시대 석탑인 도갑사오층석탑이 경내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그 뒤로 중심불전인 대웅전이 있다. 출입문인 해탈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대웅전의 모습 화엄사 각황전을 연상시키는 규모로 크게 건물을 지었다. 뒷쪽에서 본 도갑사 대웅전

[월출산 도갑사] 해탈문 (수리중)

도갑사 해탈문은 사찰의 출입문으로 보통 사찰은 사천왕문이나 금강문을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곳 도갑사는 해탈문을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갑사를 찾은 이유 중에 하나가 해탈문을 보기 위해서 였는데 마침 수리중이라서 제모습을 보지는 못했다. 국보급으로 선정된 문화재이지만 유흥준씨가 책에서 혹평했듯이 건축물로서의 가치는 높지 않아 보이는 건물이었다. 이 해탈문을 들어서면 넓은 도갑사 경내가 펼쳐지는데 이 또한 대형 사찰의 경내처럼 넓은데 원래부터 그랬는지는 알 수가 없다. 수리중인 도갑사 해탈문. 지붕은 뜯어서 없어졌지만 몸체는 남아 있었다. 도갑사 경내로 들어가는 계단길 도갑사 입구에서 수리중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막상 수리중인 장면을 보니 허탈한 마음이 들었다. 도갑사 입구의 돌계단. 궁궐처..

[월출산 도갑사] 일주문, 들어가는 길

신라말 풍수설로 잘 알려진 도선국사와 관련된 사찰인 도갑사는 월출산 북쪽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다. 도갑사는 월출산 남쪽 계곡에 있는 무위사와 함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도선국사는 영암출신으로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에 많은 정신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며 전국 각지에 그의 흔적을 남겨 놓고 있으며, 도갑사도 그 중 하나이다. 도갑사 일주문을 지나면 월출산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개울물이 있고, 약 50m정도를 걸어가면 도갑사 경내로 들어갈 수 있다. 월출산 도갑사 입구. 도갑사 주차장에서 보이는 도갑사 일주문과 들어가는 길 주차장 반대편으로 보이는 월출산 작은 봉우리. 바위산으로 되어 있는 월출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월출사 도갑사 일주문. 최근에 세운 것으로 보이며 전국 사찰의 일주..

구례 화엄사 - 일주문, 화엄사 들어가는 길

구례 화엄사를 들어가는 일주문입니다. 주차장에서 조금 걸어서 올라가다 보면 화엄사 계곡에서 물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고, 계곡 위 다리를 지나면 일주문이 보입니다. 일주문 아래에서 안내 표지판을 읽은 후 조금 올라가면 구례 화엄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화엄사 일주문입니다. 관람객이 적을 때는 이 앞에까지 주차할 수 있지만 조금 걷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화엄사 일주문을 지나서 걸어 올라 가는 길, 저 위쪽으로 금강문이 보입니다. 화엄사 일주문 앞에 있는 안내 표지판입니다.

밀양 재약산 표중사 - 일주문, 들어가는 길

밀양 재약산 아래 자리 잡고 있는 표충사는 이름 그대로 호국과 관련 있는 사찰이다. 재약산 깊은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을 거너면 표충사 일주문을 만날 수 있고, 일주문에서 표충사까지 오솔길을 걸어가면 된다. 표충서원과 같은 길을 쓰기 때문인지 일주문이라는 현판이 없고, 정문격인 누각도 표충사라는 현판만 있을 뿐 불교 사찰에서 쓰는 금강문을 쓰지 않고 있다. 표충사를 들어서는 정문. 단순한 누각의 형태를 보일뿐 불교적인 의미는 찾을 수 없다. 표충사 입구인 일주문에서 정문까지 들어오는 호젓한 길. 표충사 안쪽에서 바라본 정문, 단순한 누각의 형태이다. 표충사 일주문. 별도의 현판이 없습니다.

양산 영축산 통도사 - 일주문

영취산 통도사를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한 일주문입니다. 통도사 옆을 흐르는 개울가에 자리한 일주문 다른 사찰에 비해 천왕문 및 사찰 본당과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통도사는 불보사찰답게 사찰의 조경이 잘 꾸며져 있고, 일주문 주위로는 절의 내력을 말해 주 듯 아름다운 고목들이 많이 심어져 있습니다. 금빛으로 색칠한 '영취산통도사'라는 현판이 있는 일주문입니다. 앞에는 오래전에 고사한 고목줄기가 있습니다. 뒤쪽의 사천왕문과의 거리가 멀지 않고, 개울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일주문 안쪽에 있는 천왕문에서 바라본 일주문, 고목들 속에 파묻혀 있습니다.

양평 용문산 용문사 - 일주문, 입구 풍경

경기도에서 네번째로 높은 산인 용문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용문사를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용문사는 조그만 사찰이지만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고 용문사 은행나무가 유명해서 인지 오래전부터 관광지로 조성되어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용문사 입구까지는 한가한 시즌에 찾아가더라도 자연적인 아름다움은 많지 않은 곳입니다. 하지만 용문사 입구부터는 시원한 계곡길을 걸을 수 있기 때문에 자연의 멋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양평의 용문산 자락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용문사로 올라가는 입구 광장의 풍경입니다. 가을의 향기가 묻어나는 풍경입니다. 뒤로 용문산이 보이고 있습니다. 용문사 일주문 앞을 흐르는 개울가 입니다. 요즘 유명한 사찰 입구에는 이런 분수를 많이 조성해 놓고 있습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시원한 분수..

김제 금산사, 불전들 (명부전, 조사전, 나한전, 삼성각, 원통전)

금산사는 대형 사찰로 많은 전각들을 두고 있다. 그 중 미륵전과 대장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근래에 세워진 건물들로 보인다. 절의 규모에 맞게 많은 전각들을 새로 짓거나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미륵전 맞은편 대적광전 서쪽에는 명부전과 대장전이 있고, 대적광전 뒷편에 조사전, 나한전, 삼성각이 있다. 특이하게 강당 동쪽에 원통전이 자리잡고 있다. 미륵전 맞은편에 위치한 명부전. 보통 지장전이라고 부르며, 죽은이의 명복을 비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어 최근 전국 대부분의 사찰에서 명부전이 신축되고 있다. 금산사 조사전.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조사당이라고 명칭하고 있는데 이 곳 금산사에서는 조사전이라 부르고 있다. 금산사 나한전. 원래는 방등계단 입구에 있던 것을 옮겼다고 한다. 사찰의 제일 뒷편에 위치하는 삼성각..

김제 금산사 대장전, 목탑에서 법당으로 변한 건물

금산사 대장전은 미륵전 정면에 위치한 작은 법당이다. 원래는 미륵전 마당 가운데 있는 목탑이었던 건물로 조선시대에 금산사가 중건될때 목조탑을 법당 건물로 바뀌었다고 한다. 전통적인 가람배치에 있어서 금당 앞에 있던 목탑으로 보인다. 지금도 지붕에는 목탑이었을때의 흔적이 남아 있다. 금산사 대장전. 앞면 3칸의 작은 건물로 지붕에 목탑이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대장전 편액. 대장전에 모셔진 석가모니불 여러 방향에서 본 금산사 대장전 금산사는『 금산사사적』에 따르면 백제 법왕(600)때 세운 절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원래 미륵전 뜰 가운데 세운 목조탑으로 불경을 보관하던 곳이었는데, 지금은 예전의 기능은 없어지고 안에 불상을 모시고 있다. 조선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짓고, 1922년에 지금 있는 위..

김제 금산사, 주불전인 대적광전

금산사의 중심불전인 대적광전이다. 원래의 건물은 1986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1994년에 복원한 건물이라 한다.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이 또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했던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불교 신앙의 흔적으로 보인다. 현재는 이 대적광전이 주불전으로 되어 있으나, 금당의 배치상으로는 통일신라 이래로 미륵전이 주불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신앙의 중심이 탑에서 대웅전을 비롯한 불상으로 옮겨지면서 주불전이 바뀐것으로 보인다. 금산사 중심 불전인 대적광전. 앞면 7칸의 규모가 큰 법당 건물로 화재로 소실된것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사찰의 중심불전인 대웅전은 앞면이 3칸 또는 5칸인 경우가 많은데 이 곳 금산사 대웅전은 7칸 규모..

김제 금산사 미륵전, 통일신라 장륙전 모습이 남아 있는 불전

금산사 미륵전은 통일신라시대 사찰의 구성 요소인 금당의 흔적이 남아 있는 많지 않은 불전 중의 하나이다. 신라 고도 경주 황룡사 금당인 장륙전의 모습을 상상할려면 이 곳 금산사 미륵전이나, 구례 화엄사의 각황전을 연상하면 될 것 으로 보인다. 장륙전은 금산사처럼 외부에서 보면 3층 건물로 보이지만, 내부는 통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산사 미륵전처럼 황룡사 장륙전 내부에는 엄청난 규모의 청동불상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 모습은 일본 나라의 동대사에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미륵전은 수차례에 걸쳐서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중건하여 오늘날까지 내려왔으며,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사찰의 오래된 전형을 볼 수 있는 건물이다. 물론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 비슷한 형태의 사찰 건물이 많이 남아 잇는 것으로 보인..

[김제 모악산 금산사] 강당인 보제루와 요사채

금산사는 전북 최대 규모의 사찰로 미륵전을 포함하여 많은 전각들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사찰 전각이 있지만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건물들도 많다. 그 중 사찰 경내 입구라 할 수 있는 누각 건물인 보제루와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들이 대표적으로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산사에는 조선시대에 지어진 12칸짜리 누각인 만세루가 있었다고 하며, 지금의 보제루는 이를 계승한 건물로 여겨진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사찰 강당이라고 할 수 있는 보제루를 볼 수 있다. 보제루는 앞면 9칸의 큰 건물로 최근에 지어진 건물로 보인다. 보제루 편액 금산사 경내에서 본 보제루 천왕문을 지나 가람의 중심에 이르면 누각 건물이 보제루이다. 앞면 7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식 건물로서 아래층은 절 앞마당으로 오르는 계단..

[김제 모악산 금산사] 금강문, 천왕문

김제 금산사는 우리나라 최대 곡창지역인 전북의 중심지인 전주지역에 속해 있는 최대의 사찰답게 규모가 상당히 크다. 금산사의 규모와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중의 하나가 출입문이다. 보통 일반적인 사찰의 경우 천왕문 또는 금강문 하나만 있으며, 수도권 지역 사찰의 경우 출입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비해 금산사는 천왕문과 금강문을 별도로 두고 있다. 현재의 금강문과 천왕문은 오래된 문화재는 아니고 내력 또한 깊지 않아 보이지만, 두개의 출입문이 있다는 것 자체가 이 사찰의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금산사 출입문인 금강문. 금강문 편액 금강문에 있는 금강역사와 동자 금산사 안쪽에서 본 금강문 금산사 천왕문 천왕문 편액 천왕문에 모셔진 사천왕상 금산사 강당에서 내려다 본 천왕문

[김제 모악산 금산사] 일주문, 들어가는 길

금산사는 전주 남쪽에 위치한 모악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로한국에 대표적인 미륵신앙 중심지이다. 금산사는 모악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지만 사찰의 형태는 평지 사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모악산을 등반하려는 등산객들이 많은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걸어가는 길은 언덕길이 아니라 가로수가 우거진 산책로 같은 느낌을 주고 있으며, 물이 많은 산이라서 그런지 도로 주변 작은 도랑으로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사찰 입구인 일주문을 지나서 금강문까지는 약 15분정도 도보로 걸어가는데 맑은 공기를 마시며 상쾌하게 걸을 수 있는 곳이다. 사찰을 찾을때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풍경인 비빔밥을 파는 식당가를 지나 포장된 도로를 따라서 걸어 들어간다. 모악산은 물이 많은 사이라서 그런지 도로옆 도랑에는 맑은 물..

[고창 도솔산 선운사] 일주문, 도솔천, 들어가는 길

동백꽃으로 유명산 전라북도 고창에 위치한 선운사입니다. 선운사는 깊은 산중에 위치한 절은 아니지만, 주위에 마을이 있는 그런 지역은 아닙니다. 도솔산 아래에 넓은 지역이 아마도 선운사 소유인 것 같습니다. 선운사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장소라서 그런지 주차장에서 한참을 걸어가야만 선운사 일주문을 만날수 있습니다. 일주문에 들어서면 산속에 있는 고찰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숲속길과 맑게 흐르는 개천인 도솔천을 볼 수 있습니다. 선운사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유명한 사찰이러서 그런지 주차장에서 일주문까지는 한참을 걸어서 들어가야 합니다. 제일 먼전 선운사에 들어섰음을 알려주는 일주문입니다. 일주문(一柱門)은 사찰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알림의 문으로 부처님을 향한 진리는 하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도솔산..

서울 봉원사, 대웅전과 칠성각

봉원사 중심 불전인 대웅전은 1991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새로 건립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봉원사 경내로 들어서면 정면에 보이는 새로 지은 건물인 대웅전, 삼천불전, 명부전을 보면 이 사찰의 내력이 없어 보인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하지만 봉원사 자체로는 내력이 깊은 사찰이며, 수도인 한양에서 제일 가까운 사찰이었던 까닭에 많은 역사적인 내력을 갖고 있다. 또한 조계종에서 분리된 태고종의 본산으로서 지금도 사찰땅은 조계종 소유로, 사찰 운영은 태고종에서 하고 있다고 한다. 봉원사 대웅전. 1991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새로 만들었다나고 한다. 일반적인 사찰양식과는 약간 달리 궁궐 건물 양식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봉원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보이는 칠성각. 봉원사는 문에 유리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