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근대건축물 64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사적 254호),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관악구 남현동 사당역 부근에 위치한 옛 벨기에 영사관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한말인 1905년에 완공된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벽돌과 화강석으로 지어졌다. 원래는 서울 도심인 회현동에 있던 건물로 일제강점기에는 보험회사 사옥, 일본 해군 등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해방후에도 대한민국 해군 헌병대에서 사용하다가 1970년에 원래 있던 자리에 상업은행 건물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도 한다. 구한말이 끝날무렵인 1905년에 지어진 근대식 건축물 중에서는 규모가 큰 편이다. 앞으로 돌출된 중앙 현관과 연결된 중앙복도를 중심으로 방이 배치된 좌우대칭의 평면구조를 하고 있으며, 양쪽끝에는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장식한 발코니를 만들어 놓고 있다. 이 건물은 서울 도심 회현동에 있던 것으..

[덕수궁] 중명전, 서양식 왕실 도서관 건물으로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장소

덕수궁 중명전은 정동길 정동극장 뒷편에 옛 미국대사관과 나란히 있는 건물로 일제강점기에 덕수궁 일원에서 제외되어 서울구락부라는 사교단체 등에 임대되었던 건물이다. 중명전은 1897년 황실도서관으로 지어진 건물로 원래 이름은 수옥헌이었으나, 1904년 덕수궁 화재때 고종이 이곳으로 거처를 옮겨서 중명전이라는 이름으로 바뀐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덕수궁과 떨어져 있지만, 동쪽편의 미국대사관저, 서쪽편의 예원학교와 함께 덕수궁 궐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덕수궁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영역은 원래의 1/3정도로 축소되어 대한제국의 궁궐이었음에도 다른 궁궐에 비해 좁아 보인다. 이 곳은 덕수궁 화재 이후 편전으로 사용되어 외교사신의 접견이 이루어졌던 장소로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다. 중..

궁궐_종묘 2012.10.12

진해우체국(사적291호), 일제강점기 초기에 세워진 러시아풍 근대 관공서 건축물

군항 도시 진해의 중심부인 8거리로 이루어진 중원로터리에서 모여 있는 공공기관 중 하나인 진해우체국이다. 사적 291호로 지정된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기 시작한 1912년에 세워진 러시아풍의 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원래부터 우편과 통신업무를 담당하던 우체국건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도 우체국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이 건물은 단층건물로 136.7평 규모로 지어진 목조건물이다. 건물입구에는 강한 배흘림의 둥근 기둥이 세워졌고, 내부에 카운터가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근대화된 도심풍경을 연상시키는 건물이다. 지붕은 원래 동판으로 덮었던 것을 2차대전 당시 포탄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징발되었던 것을 1984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지어진 일제강점기 건축물 중에서는 그 연대가 상당히 오래된 ..

진해역사, 1926년에 개통된 오래된 기차역

창원시 진해구 중심부에 위치한 진해역사는 1926년 경전선과 군항인 진해항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진해선의 역사로 해군부대에 위치한 통제부역(통해역)과 연결된다. 역사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전형적인 역사 형태를 하고 있으며, 1층건물 1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구조는 목재구조물에 시멘트 외벽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최근에 편의를 위해서 창호를 비롯하여 많은 부분이 개조되었지만 대체로 그 원형을 잘 유지되고 있는 건물이다. 진해역사가 지나가는 진해선은 비교적 이른 시기로 일재강점기인 1926년에 완공된 경전선 창원역과 진해항을 연결해주는 길이 21.2km의 철도이다. 이 곳에는 통근열차가 운행되기도 했지만 실제 승객이 많이 이용하는 철도는 아니고, 군항인 진해항의 물자보급을 위한 물류..

연세대 언더우드家 기념관, 언더우드 일가가 거주했던 서양식 주택

연세대를 설립한 언더우드일가가 살았던 연세대학교 서쪽편 언덕 아래 숲속에 자리잡고 있는 서양식 주택이다. 지상1층, 지하1층에 다락방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전형적인 미국식 주택양식을 하고 있다. 앞면은 한옥기준으로 4~5칸, 옆면은 2칸 정도의 규모로 일반주택보다는 약간 큰 편이며, 외장은 연세대학교의 초기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주변에서 많이 볼 수있는 석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연세대 설립자의 3세인 원일한씨가 최근까지 살았던 사저로 그의 사후에 한국사회에 기증을 했으며, 현재는 언더우드 일가가 연세대학교를 설립.운영하고 선교활동을 벌렸던 기간 동안의 유품들을 전시하고 언더우드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언더우드 일가는 영국출신으로 1872년 미국으로 이민한 가족으로 선교활동에 많은 노력을 ..

서울 운현궁 양관, 일제가 흥선대원군 손자 이준용에 지어준 서양식 저택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운현궁 양관은 흥선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의 저택으로 일제가 한일합방 이전인 1907년도에 지어준 건물이라한다. 원래 이 곳은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운현궁의 뒤뜰에 해당하는 곳으로 별당격인 아재당과 정자인 영화루, 은신군.남연군의 사당이 있었던 자리로 이들 건물들을 헐고 일제가 한일합병에 앞서 왕실인사를 회유하기 위해서 만들어 준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은 그후 의친왕의 차남이 이우의 소유가 되었다가 해방후인 1946년부터 덕성학원에서 소유하게 되어 현재는 덕성여대 평생교육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건물의 건축양식은 한국은행, 총독부청사 등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건축했던 많은 현대식 건축물들과 비슷하게 바로크 건축양식을 모방해서 만든 건물로 외형적으로 화려하면서 곡선이나 타원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의 건..

고성 화진포 이기붕 별장

강원도 고성 화진포호수와 동해의 경계를 이루는 화진포해수욕장의 울창한 소나무숲에 있는 이기붕별장이다. 1920년대에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건축되어 사용된 건물로써 해방이후 북한 공산당의 간부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유전이후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씨의 부인 박마리아의 개인별장으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1999년 7월 역사안보전시관으로 개수하여 관람객에게 공개되고 있는 건물이다. 이 건물은 해안가 언덕에 세워진 김일성 가족이 애용했던 별장인 '화진포의 성'과 비슷한 성격의 건물로 이 건물이 먼저 지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건물은 단층건물로 이승만별장과 마찬가지로 방과 거실의 구분이 거의 없이 만들었으며, 외벽은 계곡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몽돌처럼 생긴 매끈한 석재로 마감하고 있다. 내부는 침실, 책상과 응접실..

원주 舊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등록문화재)

조선시대 강원감영이 있었던 원주 도심부에 위치한 옛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건물이다. 1934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금융기관인 조선식산은행 건물로 원주에서 맨처음 생긴 은행이라고 한다. 강원 감영 동쪽편에 위치한 원주 구도심 중심부는 객사를 중심으로 강원감영 관아건물이 들어서 있었던 곳으로, 교육기관이 들어섰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상업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건물은 단층 건물로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 초기에 세워졌던 서구식 건물과는 달리 외관은 서구식이지만 외벽은 모르타르로 마감하는 등 일제강점기 후반부에 많이 나타나는 공공건물들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건물이다. 지금 이 건물은 제일은행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원주지역에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일제강점기 흔적을 보여주는 근..

옛 공주읍사무소 건물, 일제강점기 지방 금융기관 건물

충청감영이 있던 공주읍 구도심에 있는 근대건축물로 옛 공주읍사무소 건물이 있다. 우체국을 비롯하여 여러 공공기관들이 밀집된 지역에 위치한 이 건물은 1920년에 지어진 것으로 원래는 충남금융조합연합회 회관으로 신축되었다고 한다. 공주가 옛 충남도청 소재지였던 까닭에 일제강점기에 설립되기 시작했던 금융기관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건물은 전체적으로는 붉은 벽돌로 쌓은 2층 건물로, 전면에는 19~20세기초에 세계적을 유행했던 굵은 기둥에 로마시대 건축을 모방한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공주읍사무소로 오랜기간 사용되다가 지금은 특별한 용도없이 기념물처럼 비워놓고 있다. 공주읍사무소 건물로 사용되었던 이 건물은 전체적으로 붉은 벽돌로 쌓은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지만, 전면에는 로마시대 건축물에서 ..

공주 중동성당, 붉은 벽돌을 쌓아서 만든 고딕양식의 성당

공주시 옛 도심 언덕 위에 자리한 천주교 공주 중동성당이다. 1930년대에 세워진 이성당은 서양 중세 때 유행하던 고딕건축 양식 건물로 성당건축물로서는 평이한 외관을 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목조건축물에서 현대건축으로 넘어가는 단계의 성당 건축물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붉은 벽돌로 쌓은 외관에서는 벽돌의 질감과 느낌이 잘 드러나 있으며, 아치형 창문과 현관 출입문의 아치는 하늘로 솟아 오르는 느낌을 주는 중세 고딕양식 성당의 건축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당 건물 옆에는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붉은 벽돌로 지은 사제관이 있다. 이 사제관은 일제 강점기에 많이 지어졌던 서구식 주택처럼 지은 2층 건물로 단순하면서도 본당건물과 일체감을 주고 있다. 이 성당은 건물규모는 그리 크지 않..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가옥

공주시 중학동 산중턱에 세워진 공주지역에서 최초로 지어진 서양식 주택건물이다. 이 건물은 1921년 미국 감리교 소속 선교사 사택으로 지어진 주거용 건물이다. 붉은 벽돌로 지은 3층 건물로 반지하로 지어진 지하층을 비롯하여 지붕층까지 다양하게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 도시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거용 건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서양식 주택이다. 근대건축물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어서 등록문화재 23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선교사 사택은 공주지역 주택가에서 약간 떨어진 산 중턱에 세워져 있어서, 전망이 상당히 훌륭하다. 주택 앞쪽으로는 옛 공주시의 중심지인 충청감영과 충남도청이 있었던 자리인 봉황산 자락 아래의 공주사대부고를 중심으로 공주 도심이 내려다 보이고 멀리 북서쪽으로 무녕왕..

서울 공릉동 구 서울공과대학 본관

서울대 공과대학이 1970년대에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남은 건물을 활용하고 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옛 서울산업대) 캠퍼스에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규모가 꽤 크고 내력이 있어 보이는 건물인 다산관 건물이다. 이 건물은 일제감점기시절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본관 건물로 만들어진 'ㅁ'자형 건물이다. 건물 가운데에는 정원인 중정을 형성하고 있고, 중앙에는 8층 높이의 타워를 만들고 있다. 건물 중앙 현관에는 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있는 권위적이고 일본군 사령부같은 느낌을 주고 있는 전형적인 일제강점기의 관공서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많은 건축물들 중에서도 그 규모로는 몇손가락 안에 손꼽힐 정도로 규모가 큰 건축물이며,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건물이라는 점에서 한국 근대공업교..

서울 공릉동 구 서울공과대학 , 옛 서울대 전기전자관

서울 동북쪽 육군사관학교와 태릉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옛 서울산업대학교) 교정에 있는 근대 건축물인 "공릉동 구 서울공과대학'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1975년 서울대 관악캠퍼스로 공과대학이 이전하기까지 사용했던 건물들을 인수받아 사용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옛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캠퍼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서인지 캠퍼스내에는 서울의 웬만한 대학보다도 교정이 넓고 아늑한 편이다. 서울대 공대의 전통이 있어서 그런지 캠퍼스에는 오래된 건물들과 키가 큰 수목이 있는 가로수길이 있어서 상당히 낭만적인 분위기를 주고 있다. 그 중 근대건축물로 지정된 건물은 옛날에 서울대 전기.전자 공학관련 학과들이 있었던 건물로 이 건물에서 공부했던 학생들이 현재 한국의 산업을 이끌어가는 주역이..

아산 공세리성당, 공세곶 언덕에 세워진 아름다운 성당

공세리성당은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언덕에 위치한 성당이다. 아산 공세리는 평택과 아산을 연결한 아산만방조제의 아산쪽 연결지점으로 지금은 평지에 솟은 작은 동산처럼 보이지만, 조선시대 세금을 걷어들이는 바닷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공세곶고가 있었던 장소로 공세리성당이 있는 곳이 바다로 튀어나온 곶이었던 곳이다. 공세리 성당에는 본당을 비롯하여 사제당.피정의 집 등의 건물이 있는데, 그 중 1897년에 지어진 사제관이 가장 오래된 건물이고 본당도 1922년에 지어졌다고 한다. 붉은 벽돌로 지은 고딕양식의 건물로 초기에 지어진 성당건물인 명동성당, 약현동성당, 원효로성당 등과 설계와 공법에 있어서 비슷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지금은 아산만의 한적한 시골마을 성당이지만, 당시에 이 곳에 큰 규모의 성당을 ..

근대 건축물 문화재 연세대 언더우드관(본관)

연세대학교를 상징하는 건물이기도 본관 건물인 언더우드관입니다. 미국의 아이비(Ivy)리그 대학을 따라서 지은 건물로 보입니다. 그래서 건물 전체가 담쟁이 넝쿨로 뒤덮혀 있는 고색 창연한 건물입니다. 영국이나 미국 등에서는 비슷한 건물이 많아서 독창성이 있다고는 볼 수 없는 건물이지만 나름대로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건물입니다. 학교 정문을 굽이 보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으며 학교의 중심을 잡아주고 있습니다. 양쪽의 스팀슨관, 아펜젤러관 그리고 영국식 정원과 합쳐져서 독특한 멋이 있습니다. 연세대학교를 상징하는건물이자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근대건축물인 연세대학교 본관 건물인 언더우드관입니다. 원래는 강의동 건물이었지만 지금은 대학본부로 쓰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아이비(Ivy)리그 대학을 표방하는 의도인지는..

한국의 풍경 2010.08.29

연세대학교에 세워진 최초의 근대식 건물인 스팀슨관

연세대학교 본관 건물인 언더우드관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스팀슨관입니다. 이 건물이 연세대 교정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라고 합니다. 준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라고 합니다만 영국이나 미국에 있는 많은 대학들의 건물들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ㅣ연세대학교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식 건물인 스팀슨관입니다. 1920년대 초에 영국풍의 석조건물로 지어져 있습니다. 설명에 따라면 당시로서 아주 큰 비용을 들여서 세운 건물인 듯 합니다. 정면에서 본 스팀슨관입니다. 간결하면서도 우아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스팀슨관 정면의 출입문입니다. 튜더식의 아치형으로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스팀슨관 스팀슨관, 아펜젤러관, 언더우드관 3개의 근대식 건물로 문화재로 선정되어 있습니다. 이 건물은 연세..

한국의 풍경 2010.08.29

연세대에 있는 근대 건축물(문화재), 아펜젤러관

연세대학교는 일제 시대에 설립된 대학으로 설립 초기에 지어진 건물 3동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 중 본관 동쪽편 건물인 아펜젤러관은 1924년에 완공된 근대식 3층 건물입니다. 연희전문학교 설립자인 언더우드 박사와 함께 선교활동을 한 아펜젤러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아펜젤러관이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이 건물은 이학관으로 자연과학계의 강의동 건물이라고 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선 많이 보기 힘든 건물의 형태이지만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쟁이 덩굴로 뒤덮힌 고풍스러운 모습의 건물형태입니다. 연세대학교 본관인 언더우드관 동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인 아펜젤러관입니다. 전형적인 영국식 건물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튜더풍의 아치로 되어 있는 아펜젤러..

한국의 풍경 2010.08.29

인천답동성당, 초기 성당건축을 대표하는 건축물

천주교 인천교구청이 있는 인천답동성당은 코스트신부가 설계하여 1897년에 세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딕양식의 성당 건축물이다. 서울 명동성당, 약현동성당, 원효로 성당 등 초기에 세워진 코스트신부가 설계한 성당과 유사한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는 이 성당은 19세기에 지어진 성당이지만 그 규모가 상당히 웅장하고 화려한 느낌을 주고 있다. 건물 중앙에 큰 탑을 두고, 중앙과 양쪽에 출입문을 설치해 두고 있는 성당건축의 기본에 충실한 건축물이다. 현재의 성당은 초기 성당건물에 붉은 벽돌로 외장을 마감하는 개축공사가 일제강점기에 있었다고 한다. 사적으로 지적된 건축물로 역사적인 의미는 상당히 높은 건축물이다. 이 성당이 있는 인천 답동은 인천 구도심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항장이었던 인천항의 입장에서 보면..

인천 내동 성공회성당

인천 내동성공회성당은 개항장 인천항에서 일본 조계지와 한국인이 사는 마을과 경계인 홍예문 동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교회이다. 성공회는 영국 국교로서 이 곳 내동 성공회성당은 개항장으로서 인천항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개항 당시 열강 중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영국의 국교인 성공회가 이 곳 인천항에서 그 터를 잡고 선교활동을 했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내동 성공회성당은 해군 내과의사였던 랜디스라는 사람이 세운 병원이 있었던 자리이고, 종군신부인 코프주교가 세운 성공회성당은 다른 곳에 있었다고 한다. 원래 있었던 성공회성당은 한국전쟁때 불타버렸고, 현재의 건물은 1956년에 중건한 것이라 한다. 건물의 모양새를 보면 십자가 모양을 하고 있는 서울 성공회성당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인천..

개항장 인천항,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근대건축물로 등록된 인천제물포고등학교 강당이다. 1935년 건립된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학교 강당의 전형적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천항 일본 조계지에서 자유공원 너머에 위치한 제물포고등학교는 개항장인 인천항에서 한국인들이 사는 지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로 인천지역의 한국인 학생들이 다녔던 중등학교였다. 지금은 인천지역의 넓어졌고, 많은 공공시설 등이 새로이 개발된 지역으로 이전해서 공동화된 도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 제물포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인천항에 삶을 의지해 살았던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공간이다. 제물포고등학교 강당은 건물자체는 권위를 세우기 위한 화려한 장식이나 웅장함 등을 배제한 간결하면서도 강당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게 만들어진 건축물이다. 역사적으로도 대중집회 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