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36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이 가장 많이 전시된 파리 오르세 미술관 (Musee d'Orsay)

오르세 미술관은 1986년에 지어진 미술관으로 19세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원래 오르세 미술관 건물은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호텔 겸 전철역사라고 합니다. 그 이후 잘 사용하지 않던 건물을 개조해서 새로운 미술관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이전에 루브르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던 19세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미술관이 재탄생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술교과서나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작품들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이기도 합니다. ※ 미술관 탐방 1. 밀레(Millet, Jean-Francois), 마네(Manet, Edouard) 2. 반고흐(Vincent van Gogh), 폴 세잔 (Paul Cezzane) 3.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 장 프랑수아 밀레(Millet, Jean-Francois), 에두아르 마네(Manet, Edouard)

파리 오르세미술관 1층에서 제일 먼저 만날 수 있는 작품이자, 이 미술관을 대표하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는 작품은 아마도 마네의 와 밀레의 일 것입니다.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의 작품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도록 전시공간이 배치되어 있는 듯 합니다. 마네의 대표작이자 오르세미술관을 대표하는 작품인 입니다. 이 작품에는 화면 뒤쪽의 여인을 제외하고 두명의 남성과 그가 아끼던 모델 빅토르뫼랑이 등장합니다. 이 작품이 갖고 있는 탁월함과 진보적 성격을 알아 볼 수 없었던 비평가와 대중들은 이 작품이 매우 불경스럽다고 하여 논란이 되었던 작품입니다. 명화와 함께.... 마네의 또다른 대표작인 입니다. 소설과 에밀졸라가 당시에 혹평을 받았던 작품들에 대한 찬사를 보내주었고 그 보답으로 만든 작품이라고 합..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반고흐(Vincent van Gogh), 폴 세잔 (Paul Cezzane) 외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에 걸린 고흐의 작품들입니다. 미술관 작품들은 계속 교체되고 있기때문에 시기에 따라서 다른 그림을 감상하게 됩니다. 대표작인 , , 과 그 외 여러작품을 볼 수 있었습니다. 고흐의 작품은 암스테르담의 고흐미술관에 가장 많은 작품이 전시된 것 같고, 오르세미술관에도 상당수의 작품이 있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인 입니다. 고흐가 고갱을 만나기 전 들뜬 마음으로 정리한 자신의 방을 그림으로 남겼다고 합니다. 빈센트 반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인 입니다. 폴세작과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친숙한 장소였던 오베르 쉬르우아즈에서 그린 그림이빈다. 성당의 모습을 자신의 직과에 따라 묘사한 독창성과 예술성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빈센트 반고흐의 작품인 입니다. 그의 불안한 삶에 대한 표현을 잘 나타낸 ..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오르세 미술관에 있는 크로드 모네의 작품입니다. 많은 작품을 본 것 같은데 잘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만 을 포함한 수련연작품, 이 있습니다. 클로드 모네는 인상파의 개척자로서 당시의 화풍을 이끌었고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네의 대표작 중 하나인 입니다. 이 작품은 친구들과 자주 찾던 아르자퇴유 주변의 개양귀비꽃이 만발한 들판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카데미 회화에 길들여진 관객들의 눈에는 이 그림이 미완성의 습작과도 같이 보였다고 합니다. 이 그림은 팔레트에서 색을 혼합하지 않고 캔버스 위에 바로 펴 바르는 기법을 사용한 작품으로 근대를 향한 새로운 색채의 표현 방식입니다. 모네의 유명한 연작 작품인 을 포함한 수련 연작이니다. 만년에 살던 빌라 앞 연못의 풍경을 그린 그림들입니다. ..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귀스타브 쿠르베 Gusgtave Courbet , 쇠라 Georges Seurat

오르세 미술관에 있는 생생한 사실주의와 도발적인 화면으로 귀스타부 쿠르베의 대표작인 ,, 등의 작품들입니다. 쿠르베의 사실주의적이고 도발적인 면이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귀스타부 쿠르베의 대표작인 입니다. 생생한 사실주의와 도발적인 화면 등으로 쿠르베 회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입니다. 쿠르베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입니다. 이 작품의 부제는 '7년 예술인생을 요약하는 사실적 우화'이고,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화가 자신의 우의적 자화상과도 같은 작품입니다. 화면 중앙에는 풍경화를 그리는 자신을 나타내고, 이 창조의 순간에 나타나는 또 한명의 여성이 뮤즈를 나타냅니다. 쿠르베의 또다른 대표작인 입니다. 불경스러운 인물, 반항하는 영혼, 그리고 파리코뮌의 주동자였던 쿠르베는 자신의 작..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시슬리(Alfred Sisley), 르느와르(Renoir, Pierre Auguste)

오르세 미술관에 전시된 시슬리(Alfred Sisley)와 르느와르(Renoir, Pierre Auguste)의 작품들입니다. 교과서에서 보았던 눈에 익은 여러 작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시슬리는 프랑스 화가로서 일관되게 풍경화를 그려왔던 인상파 화가로서 모네와 비슷한 작품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시슬리의 작품 입니다. 시슬리의 작품 입니다. 시슬리의 작품 입니다. 시슬리의 작품 입니다. 시슬레는 파리에서 부유한 영국인 부모인 윌리엄 시슬레(William Sisley)와 펠리시아 셀(Felicia Sell)에게서 태어났다. 1860년대 초에 그는 마르크 샤를 가브리엘 글레르의 작업실에서 공부했다. 여기서느 그는 프레데릭 바지유, 클로드 모네와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등과 친하게 된다. 그들은 순간적인 빛..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카미유 코로(Camille Corot) 외

19세기 화가 중 혁신적이고 복합적인 기법을 이해할 수 있었고 노동을 인상주의 회화기법에 적용했던 화가인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와 풍경화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카미유 코로(Camille Corot)의 작품들입니다. 그 외에 Rosa Bonheur의 작품 과 Carolus-Duran 의 작품 가 있습니다.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의 작품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의 작품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의 작품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의 작품 카미유 피사로의 작품 입니다. 카미유 피사로의 작품 입니다. 카미유 피사로의 작품 입나다. 카미유 피사로의 작품 입니다. 카미유 피사로는 모든 인상주의 전시회에 빠짐 ..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에밀 베르나르(Emile Bernard), 베르트 모르조(Berthe Morisot) 외

오르세 미술관에서 전시된 작품 중에서 에밀 베르나르(Emile Bernard), Armand Guillaumin, 베르트 모르조(Berthe Morisot), Aristide Maillol 의 작품들입니다. 이름은 생소하지만 그림들은 어디선지 본 듯한 그림들입니다. 인상파 화가들의 특징인 풍경을 그린 그림들이 많이 있습니다. 에밀 베르나르(Emile Bernard)의 작품 입니다. 에밀 베르나르(Emile Bernard)의 작품 이라는 제목은 꿈과 환상사이, 성스러움과 세속됨의 사이에 존재하는 화면 속 비현실적인 풍경을 상징합니다. 베르나르의 누이 마들렌이 마법에 걸린 듯 신비로운 분위기의 숲 속에 누워 이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모티브가 아닌 관념에서 현실의 재현이 아닌 재해석에서 출발하여, 화가..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페르낭 코르몽 Frenand Cormon 외

페라낭 코르몽 Frenand Cormon 이 그린 원초적인 인간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은 오르세 미술관 중앙의 큰 홀에 걸려있는 대작입니다. 고전주의 적인 그림의 주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1880년 살롱에 전시되었던 코르몽의 기념비적인 걸작인 입니다. 거대한 크기의 캔버스 위에 그린 그림으로 세련된 아름다움은 없지만 생생한 사실주의 적인 표현이 대중들의 눈을 사로잡은 그림입니다. 쿠노 아미에트 Cuno Amiet의 작품 입니다. 자크 에밀 Jacques-Emile Blanche의 작품 Giovanni Giacometti 의 작품 Ferdinand Hodler의 작품 Charles-François Daubigny의 작품 André Devambez의 작품 다른 그림에 대한 내용 보충은 다음..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 공예품, 앤티크 가구 등

오르세 미술관은 18~19세기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하는 공간으로 알고 있는데, 특이하게도 미술관 2층에는 고풍스러운 앤티크 가구들과 많은 생활과 밀접한 예술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가구, 시계, 장식 목적의 조각품, 스테인드글라스를 포함한 조명 등을 상당한 공간을 할애하여 전시하고 있습니다. 오르세 미술관 2층에 전시된 화려한 가구들입니다. 대부분 작가가 있는 것 같고 예술적 가치가 상당한 작품으로 생각되지만 지식이 짧은 관계로 휼륭하고 화려하다는 느낌만 남게 됩니다. 전시되어 있는 식기 등 생활용품들입니다. 물론 작품으로서의 가치도 상당한 듯 합니다. 시계와 같은 일상 생활 용품과 장식품으로 전시되어 있습니다. 동화책 속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작품들입니다. 거실 등을 꾸미는 장..

해외 박물관 2010.01.21

오르세미술관 (Musee d'Orsay) 로비에 전시된 조각 작품들

오르세 미술관은 세느강 남쪽 루브르 박물관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만국박람회 장소를 가는 전철 역사를 미술관으로 개조해서 사용하는 곳입니다. 이 곳에는 19세기 화가들의 작품이 많이 전시되어 있고 그래서 교과서에 본 그림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원래 오르세 미술관이 전철 역사였기때문에 넓은 로비공간이 미술관 중앙에 있고 그 곳에는 많은 조각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냥 지나쳐서 그런지 지식이 짧고 그림에만 관심을 가져서 그런지 아는 작가와 작품이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오르세 미술관을 대표하는 조각작품으로 활을 쏘고 있는 헤라클레스를 묘사한 작품입니다. Antoine Bourdelle의 작품 Emmanuel Fremiet의 작품 동일한 작가의 작품처럼 보입니다. 내용은 ? ..

해외 박물관 2010.01.21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이시스 신전의 원기둥이 있는 홀과 신상 봉안소

필레 이시스신전의 핵심 영역인 원기둥이 있는 홀과 신상봉안소이다. 내부는 어두운 편이고 아마 룩소르나 카르나크 신전에도 지붕이 아직 온전하다면 이런 모습일 것 이다. 내부에는 원기둥들이 있고 여러개의 제실들과 많은 부조벽화들이 있다. 필레 이시스신전의 핵심부분인 신상봉안소. 대부분의 신상봉안소와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신상봉안소를 들어가는 길 신상봉안소의 여러 제실 중의 하나입니다. 오시리스 신의 모습을 그린 부조벽화 이시스 여신이 부활의 상징인 앙크의 십자가를 오시리스 신의 입으로 넣는 장면. 부활의 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면이다. 파라오가 이시스여신에게 봉헌물을 바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한손에 앙크의 십자가를 들고 있는 것으로 봐서, 파라오나 호루스신이어야 되는데 아마 이시스여신..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이시스신전 큰 안뜰과 제2탑문

필레 이시스 신전의 본당이라고 할 수 있는 신전 건물의 입구 역할을 하는 것이 제2탑문이다. 필레신전은 이전에 지어졌던 룩소르 신전이나 카르나크 신전에 비해 규모는 크지 않은데 비해 비교적 세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제2탑문을 들어서면 원기둥들과 거룩한 성소가 자리잡고 있다. 제2탑문. 여기에는 이시스여신과 그의 아들인 호루스(유아)신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편에는 이시스여신과 오시리스신이 등장하고 있다. 이 부조벽화의 그림을 쪼아서 훼손시켜 놓고 있는데, 비잔틴 시절 기독교인들 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제2탑문의 전체적인 모습. 왼편으로 하토르의 기둥들이 떠 받들고 있는 마미시가 보인다. 하토르의 기둥들이 떠받들고 있는 호루스신이 태어났다고 알려진 마미시이다. 하프를 연주하는 모습을 그린 벽화 마미시..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마미시 ('아들신'의 탄생 신전)

필레의 이시스신전 제1탑문 좌측의 작은 통로를 통해서 들어가면 이시스가 호루스를 낳은 곳이라고 알려진 마미시에 들어가게 된다. 그 안에는 여러 종교적인 부조벽화들이 있고 입구 천정에는 우리에 앰블럼 등으로 많이 알려진 독수리 들이 그려진 것이 인상적이다. 입구 천장에 그려진 독수리상. 이 그림은 로마시대의 독수리부터 시작하여 중세 기사들의 문장, 미국 여러기관의 문장, 독일 나찌가 애용했던 문장, 그리고 수많은 기업 앰블럼에 사용되는 그림이다. 내부에 새겨진 부조벽화. 크놈신이 아기의 '카'를 만드는 장면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오시리스 신이 이시스 여신에게 뭔가를 주고 있늠 모습을 그린 부조벽화 내부 천정에 있는 독수리를 그린 부조. 옆에는 하토르의 기둥이 보이는데 헬레니즘 양식인 코린트식 기..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제1탑문

필레신전에서 실질적인 이시스신전의 입구 역할을 하는 제1탑문이다. 카라나크 신전 이후 보여주는 전형적인 이집트 신전의 양식을 그대로 계승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필레신전이 헬레니즘 시대에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카르나크나 룩소르 신전에서 만들어진 신전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입구와 벽면에 많은 신화 내용을 보여주는 부조 벽화가 많아졌다는 것이 약간 발전된 모습이다. 필레신전 선착장에서 주랑들이 있는 광장에 들어서면 볼 수 있는 필레신전의 제1탑문. 제1탑문부터 사실상 이시스신전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제1탑문 위쪽의 부조 벽화. 오시리스신과 머리에 뿔 장식을 한 이시스 여신이 옥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후대에 세워진 신전이라서 그런지 뿔장식이 원래의 이시스 여신의 뿔 장식이 아니라 하토로 여..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Philea Temple)] 신전 앞 주랑(회랑)의 벽화들

필레신전 앞 주랑 안쪽 벽을 장식하고 있는 벽화들이다. 필레신전에 그려진 벽화 그림들은 신왕국 시절 신전인 카르나크 신전에 비해 현대의 그림들과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다. 파를레마이오스왕조 시대에 만든 벽화로 그리스 그림의 특징들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레신전 제1탑문 앞 회랑 기둥 안쪽 벽면에는 부조형태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시스여신과 오시리스신, 호루스신과 파라오의 관계를 그림과 글로써 설명하고 있는 듯 하다. 부조벽화 그림들이 이전의 카르나크나 룩소르 신전보다도 좀더 세련되어 졌지만, 카르나크 신전이 건설되던 람세스2세와 플롤레마이오스 왕조 간에는 세대가 천년 가까이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모습이 많지 않다는 점을 느낄 수 있다. 오시리스신, 이시스여신, 호루스신이 등장하..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신전 앞 회랑의 기둥과 천정의 부조들

필레신전의 제1탑문 앞 주랑의 기둥들과 천정에 그려져 있는 부조들이다. 그림은 그리스 왕조인 프롤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그린 그림들이라 그리스 풍으로 그려져 있다. 신왕국시절의 신전인 룩소르나 카르나크 신전의 경우 파피루스 모양을 본떠서 기둥을 장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신전은 헬레니즘 신전 양식인 코린트양식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이집트 룩소르의 신전 양식을 사용한 것 같은데 헬레니즘적인 요소가 많은 신전이다. 이 곳 회랑은 신왕국시절에 세워진 신전에는 없는 구조로 보이며, 현재 불국사의 경내 회랑, 경복궁, 자금성 등 동양 궁궐의 법전 주위에 이런 회랑이 형성되어 있다. 필레신전 탑문 앞에 있는 원기둥이 있는 주랑(회랑)은 기둥과 벽, 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랑의 각 벽면과..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신전 앞 원기둥이 들어선 주랑

필레신전의 정문 격인 제1탑문을 들어서기 전에 만날 수 있는 것은 지금도 바티칸 성당, 불국사, 경복궁 등 많은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인 전형적인 회랑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필레신전이 헬레니즘 문화의 전성기를 이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시대에 세워진 신전답게 고대 이집트 신왕국의 신전과는 달리 정형화되어 있다는 느낌과 그리스 건축물을 연상시킨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이 곳의 기둥에는 많은 그림과 기록들이 적혀 있다. 정면에는 필레신전의 제1탑문이 자리하고 있고, 양쪽으로 기둥들이 있는 회랑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운데는 행사를 위해선 광장 형태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 신전은 후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때 세워진 신전이라 그런지 입굿의 숫양 스핑크스 등 많은 부분이 기존의 카르나크 신전..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ea Temple)] 넥타네보1세의 닫집

배를 타고 도착하게 되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건물이자 유적은 넥타네보1세의 닫집이라고 한다. (사실은 신전에 찾아 갔을 때는 알지 못했지만 책에 그렇게 적혀있어서 알게된 내용임.) 아마 예전에 선착장 입구에 있으면서, 방문객이 제일 먼저 찾는 곳이 아닐까 생각된다. 입구쪽에 있는 작은 독립된 건물의 흔적이 넥타네보1세의 닫집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니까 여행을 가면 안내판을 열심히 읽어야 제대로 된 내용을 알 수 있는 것 같다. 닫집: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특히 독립구조로 주변의 벽과 분리되어 있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이 용어는 스페인어 baldaqu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정성스럽게 수를 놓은 비단재료'를 뜻하는데, 바그다드에서 수입되어 제단이나 문간 위에 캐노피처럼 매달려 있었다. 훗날 닫집이 ..

이집트(Egypt) 2010.01.20

[아스완 필레신전 (Philae Temple)] 신전으로 들어가는 뱃길

아스완에 자리잡고 있는 필레신전은 아스완 로우댐으로 조성된 호수 내의 작은 섬에 자리잡고 있는 이시스(Isis)신을 모신고 있는 신전이다. 필레 신전은 원래 이름이 이시스(Isis)신전이었으나, 필레 신전에 자리잡고 있다해서 필레신전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필레신전이 자리잡고 있는 섬은 필레섬이 아니라 아스완 로우댐의 건설로 필레섬이 수몰되자 근처의 좀 더 높은 아길리카 섬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예부터 필레신전에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며 지금도 그것은 변하지 않고 있다. 이집트 아스완하이댐 아래에 있는 필레신전은 이시스여신을 위한 신전으로 원래 위치인 필레섬에서 이 곳 아길리카 섬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아부심벨과 함께 유전 복원기술의 집결체라 할 수 있다. 필레신전이 있는 섬에..

이집트(Egypt) 2010.0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