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지역박물관 373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받침있는 은잔, 금동 수저, 청동다리미 등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는 당시의 실생활상을 보여주는 은자, 수저, 청동다리미, 그릇 등이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유물들은 상당히 정교하게 잘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유물들은 백제에서 만들었는지, 중국에서 수입한 것들이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며, 중국과 일본에 비슷한 유물 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국제교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은잔은 받침과 잔이 합쳐진 것으로 상당히 세려되어 보인다. 뚜껑에 화려한 그림을 새겨 놓고 있다. 동탁은잔은 청동제 받침(동탁)과 은으로 만든 잔(은잔)을 합친 것이다. 받침 은 낮은대각이 달린 접시 모양인데 정 중앙에는 은잔을 받치기 위한 속이 빈 원통형의 받침이 솟아 있다. 여기에 은잔의 굽이 안으로 들어가면서 걸치게 고안되어 있다. 마치 단아..

지역박물관 2009.11.3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청동거울 (청동신수경, 위자손수대경,수대경), 오수전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서 중국과 교류 관계를 잘 보여주는 문화재로 청동거울과 오수전을 들 수 있다. 청동거울은 3점 모두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로 중국 한대의 청동거울을 모방해서 만든 것이다. 중국 청동거울보다는 수준이 떨어지는 복제품으로 수입된 제품인지 백제에서 만들어졌는지 밝혀진 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오수전은 도교사상과 관련된 것으로 토지신에게 묘지터를 샀다는 의미로 지불한 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오수전은 백제초기부터 많이 통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청동거울 중 '청동신수경'이라 불리는 청동거울. 3점의 청동거울 중 의자손수대경과 수대경. 중국 한나라 수대경을 본떠서 만든 복제품이다.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거울로 청동신수경, 의자손수대경, ..

지역박물관 2009.11.3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금제 사엽형 장식, 목걸이 등 장신구류

무령왕릉에서 많은 장신구류들이 출토되었다.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많은 유물들이 있는데, 경주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들과 큰 차이점이 없는 평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무령왕비와 관련된 금으로 만든 많은 장식류들. 그 금제 4엽형 장식은 왕비의 허리부에서 출토되었다.옥과 같은 보석류로 만든 목걸이. 출토된 옥으로 만든 장신구류 금동으로 만든 작은 동자승. 마스코트처럼 사용된 것 같다.

지역박물관 2009.11.3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무령왕비 귀고리, 은팔지, 목걸이, 발받침과 베게 등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유물로 왕비와 관련된 유물은 금제장식, 귀고리, 은팔지, 목걸이 등 장신구들과 목관에서 발굴된 발받침과 베게 등이 있는데 모두 문화재적인 가치가 높아서 국보로 지정된 것들이 많다. 금은 세공기술이 뛰어났을 뿐 아니라, 문화재로서의 역사적 가치도 매우 풍부한 유물로 보인다. 무령왕비의 귀고리 2쌍. 단순하면서도 화려한 것이 현대적인 패션감각에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귀고리 2쌍으로 길이는 11.8㎝, 8.8㎝이다. 왕비의 귀고리로,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작은 장식들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한 쌍은 복잡한 형식으로 길고 짧은 2줄의 장식이 달려 있고, 다른 한 쌍은 1줄로만 되어있다. 앞의 귀고리 중 긴 가닥은 금 철사를 꼬아서 만든 사슬에 둥근 장식을 많..

지역박물관 2009.11.3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무령왕 금제장식, 뒤꽂이, 허리띠장식, 큰칼

웅진시대 백제와 공주를 대표하는 유물인 무령왕 금제장식과 신발, 뒤꽂이, 허리띠장식과 봉황무늬가 있는 큰 칼 등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이다. 백제의 화려한 문화 수준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대부분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문화재들이다. 금제장식은 무령왕과 왕비가 같이 한쌍씩 출토되었다. 공주박물관을 대표하는 문화재인 무령왕 금제장식과 신발 무령왕 금제장식 1쌍. 불꼿이 피어오르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이다. 높이는 각각 30.7㎝, 29.2㎝이고, 너비는 각각 14㎝, 13.6㎝이다.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조사되었을 때, 왕의 널(관) 안쪽 머리 부근에서 포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 무늬를 장식했으며,..

지역박물관 2009.11.30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유물 - 석수(石獸)/지석(誌石)/목관

국립공주박물관은 규모가 있는 박물관이지만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럴 정도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이 많고, 역사적/문화재적으로도 가치가 높다는 의미일 것이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은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로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잘 보여주고 있어서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가 많다. 그 중 왕릉을 대표한 유물로는 왕릉 입구를 지키는 석수, 묘지의 주인을 밝혀주는 지석, 왕의 시신이 있던 목관이 있다.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 후대 왕릉의 초기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무령왕릉 입구 모습을 재현해 놓은 듯. 입구에 단지와 밥그릇, 숟가락이 있고, 그 뒤에 이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를 밝혀주는 지석과 무덤을 지키는 석수가 있다. 석수와 지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

지역박물관 2009.11.30

[공주 석장리박물관] 후기 구석기 시대 집터와 발굴도구 및 기록

공주 석장리 유적발굴은 60년대 미국인 대학권생이 이 곳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연세대 손보기 교수와 함께 발굴한 구석기 시대의 유적으로 미국의 영향을 받아서 가장 모범적이고 체계적으로 발굴을 실시한 대표적인 발굴 유적이다. 석장리박물관에는 발굴된 후기구석기 시대 1호집터를 재현해 놓고 있으며, 당시 발굴에 사용한 다양한 도구와 기록들을 함께 전시하고 있다. 가족과 함께 이곳 석장리 선사유적지와 박물관을 방문하면 고고학과 우리나라 구석기 문화에 대해서 좋은 학습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공주 석장리 박물관 내부에 재현해 놓고 있는 후기구석기 시대의 집터. 공주 석장리 발굴에 사용된 각종 기록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석장리 선사 유적지 발굴에 사용된 장비와 도구들 손보기 교수. 선사고고학과 인쇄문화 연구에..

지역박물관 2009.11.28

[공주 석장리박물관] 우리나라 구석기 유물 (단양 금굴 유적, 제천 점말동굴 유적, 대전지역 출토유물)

공주 석장리박물관에는 석장에서 출토된 유물 외에도 연세대 손보기 교수를 중심을 선사연구실에서 단양 금굴 유적, 제천 점말동굴 유적, 대전지역 등에서 출토된 구석기 시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단양 금굴 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유물이고, 제천 점말 동굴은 남한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지라고 한다. 단양 금굴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들. 전기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짐승화석과 주먹도끼, 찍개 등이 유물이 발굴되었다고 한다. 유적 앞으로 남한강이 흐르고 있다. 금굴유적은 1983~85년에 연세대학교 선사연구실에 의해 발굴되었다. 금굴은 석회암지대에 발달한 동굴로서, 동굴에 쌓여 있는 퇴적층에서는 구석기시대의 동물화석과 석기를 비롯하여 신석기시대의 무늬토기와 청동기시대의 민토기가 나왔다...

지역박물관 2009.11.28

[공주 석장리 박물관] 석장리 선사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들

금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공주 석장리 선사유적지는 30만년전 전기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 이전인 중석기 시대까지 다양한 석기들이 발굴되었다. 전기 구석기 유물부터 집터와 함께 발굴된 후기 구석기까지의 유물들은 깊은 땅속에 묻혀 있어서 유물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중석기 시대 이후는 얕은 지역에 묻혀 있어, 경작 과정 등을 통해서 유물들이 흙과 섞여서 발굴된 유물은 많지 않다고 한다. 수십만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이 지역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이 많은 유물을 통해 밝혀졌다고 한다. 그래서 석장리 유적지는 국내 고고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곳이라 한다. 30만전년으로 추정되는 전기 구석기 유물 여러가지 유형의 석기들 석장리 전기 구석기문화는 2지구 외날찍개 문화층과 주먹괭이-자르개 문화층, 1지구 ..

지역박물관 2009.11.28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 - 토기류

삼국시대 유물 중에서 가장 많이 발굴되는 유물은 아마도 다양한 종류의 토기류일 것이다. 안압지에서도 다양한 용도의 많은 토기류들이 발굴되었는데, 아마도 실생활에서 사용하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곡식을 담는 항아리, 시루, 그릇과 두껑들, 그리고 먹과 벼루 등도 있다. 안압지에서 발굴된 토기. 곡식류를 저장하던 용기로 보인다. 일상생활에 사용하던 식기류. 다양한 종류의 항아리들 시루와 같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는 토기류 당시에 사용하던 벼루와 먹

지역박물관 2009.09.17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 - 제기용품, 주령구, 나무와 철제로 만든 생활용구.무구

안압지에서 출토된 제사와 관련된 유물과 귀족들의 놀이 기구인 주령구를 비롯한 나무로 만든 생활용품, 무기류를 비롯한 다양한 철제 생활용품이 출토되었다. 주령구는 발굴하자마자 실수로 파손되어 버려서 지금은 복제품만이 전시되어 있는데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끌고 있다. 안압지라는 뻘속에 묻혀있어서 발굴된 유물들의 보존상태가 좋고 실제 사용하던 생활용품이 많이 발굴되었다고 한다. 제사에 사용되었던 납판을 오려 만든 가위와 칼. 실제로는 쓸수 없는 상징적인 제사 용품으로 추정된다. 제사에 사용되었던것으로 추정되는 원형납판과 나무인형, 나무로 만든 남근. 거북모양의 인형, 나무로 만등 인형, 제기 등 동궁에는 제사를 관장하던 용왕전이라는 부서가 있었음이 삼국사기에 보인다. 안압지에서는 '용왕신심' 등의 명문토기들..

지역박물관 2009.09.17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 - 신라의 불교 조각

안압지는 신라 궁궐 연못이었던 까닭에 일상 궁중 생활에 사용되던 물건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경주 박물관 안압지관에는 궁궐내 법당이나, 일상 생활에 사용하던 작은 금동불상 등 개인이 소장용 불교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다. 안압지에서 발굴된 금동여래입상. 화려한 금동광배에 돋보이는 삼존판불 지금의 악세사리처럼 보이는 불교용품들. 개인이 소장하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금동으로 만든 다양한 조각상들 안압지에서는 7세기에서 10세기 초에 제작된 다양한 금동여래입상과 판불, 금동불상의 귀와 손, 화려한 금동광배와 화불 등이 출토되었다. 동궁에 승방전이 있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미루어 내불당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판불은 밀랍을 녹여서 만든 뛰어난 주조품들이다. 삼존판불의 광배에는 가장자리에 못구멍이..

지역박물관 2009.09.17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 - 금속제 생활용구와 건축부재

국립 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전시된 안압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는 실생활에 사용된 발굴된 금속제 생활용구와 건축부재들이 발굴되었다. 청동제 그룻과 숟가락 등의 생활용구와 금속으로 만든 건축부자재들이 많은데 그 솜씨가 매우 뛰어나고 정교해 보인다. 안압지에서 발굴된 금속제 생활용기들. 당시의 생활수준을 엿볼 수 있는 유물들이다. 청동으로 만든 숟가락. 목걸이, 방울, 유리잔 등 출토유물이 상당히 다양하다. 안압지에서는 금동그릇을 비롯, 청동접시와 청동숟가락 등 식생활용품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특히 금동그릇의 굽바닥과 뚜껑 안쪽에 '구仇'라는 명문을 새긴 것이 있는데, 이것은 그릇과 뚜껑이 한 벌임을 표시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청동숟가락은 숟가락면이 둥근 것과 타원형인 것 두가지가 있다. 일본 나라의..

지역박물관 2009.09.16

국립 경주박물관 안압지관 - 건축부재와 공포, 기와

경주 안압지에서는 왕릉이나 사찰 등과는 달리 일상생활에서 사용된 건축자재, 생활용구, 토기 등 아주 다양한 유물들이 다량으로 발굴되었다. 경주 박물관에서는 별도로 안압지관을 두어서 안압지에서 발굴된 다양한 종류의 유물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먼저 안압지에서 발굴된 건축관련 유물들을 보면 목조 구조물인 공포, 다양한 종류의 기와, 안압지 배수를 도와주던 물마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안압지에서 발굴된 건축자재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해 본 통일신라시대의 목조 건축물. 기와의 화려함이 눈에 띈다. 안압지에서 발굴된 목조 건축 구조물. 공포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전통 건축물인 목조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지붕의 부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기둥과 지붕사이에 있는 부분을 말한다. 첨차,소루,부연 등의 나..

지역박물관 2009.09.16

낙동강 을숙도 에코센터, 철새를 관찰할 수 있는 곳

부산 낙동강 하구 을숙도 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입니다. 을숙도를 가로 지르는 도로의 북쪽은 현재 시민공원으로 조성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작으나마 예전의 낙동강 을숙도 생태환경을 복원해 놓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낙동강 하구 에코센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렇게 큰 기대를 하고 가지는 않았지만 을숙도 환경복원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였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이 괜찮은 편입니다. 복원한 갈대밭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 들어서면 강의 생태 환경과 낙동강에 대해서 많은 설명과 전시물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남쪽 을숙도 갈대밭 쪽으로 난 이층 로비 전망대에서는 을숙도 갈대밭과 철새들을 탐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철새들이 많지는 않..

지역박물관 2009.08.02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황룡사실 - 금동약사불, 황룡사지 출토유물

국립 경주박물관 황룡사실에는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들이 있다. 황룡사가 오랜 기간 동안 존속해 왔던 대규모 사찰이었던 까닭에 불상, 생활용품, 염주 등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황룡사지 목탑터에서 발굴된 금동약사여래불 입상. 많이 발굴되고 현존하는 약사여래불 입상과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삼국시대에 제작된 불상이라 한다. 금당터와 강당터, 회랑터, 목탑터 등지에서 모두 9점의 작은 금동불상이 출토되었다. 목탑터 동쪽에서 발견된 금동약사불입상은 화재를 입었는지 표면의 도금층이 벗겨지고 목 부분도 일부 파손되어 고개가 약간 뒤로 젖혀진 상태이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법의法衣를 입고 오른손에 약단지를 들고 있는 이 불상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원래는 발과 대좌가 없는 모습으로 발견되..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황룡사실 - 치미, 기와, 수막새, 암막새

국립 경주박물관에 전시된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유물들 중 기와와 같은 건축자재들이다. 황룡사의 규모를 느끼게 해 주고 있는 유물들로 바닥에 깔았던 용무늬전, 장식용 기와인 치미 등이 있는데 각각에 다양한 무늬로 장식해 놓고 있다. 잘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후대에 만들어진 궁궐 등의 건축물에 비해서 상당히 화려했었다는 느낌을 많이 갖게 한다. 황룡사지에서 발굴된 치미. 치미는 건물의 양끝을 세운 장식용 기와인데 통일신라 이후의 건물에는 치미가 있는 건물이 거의 없고 지금은 일본 나라의 동대사 같은 큰 사찰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상당히 화려하며, 외부에 금박 같은 것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 같다. 치미는 궁궐이나 절의 용마루 양끝에 세운 장식용 기와이다. 치미를 놓으면 건물이 더 높아 보이기 때문에 ..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 금동반가사유상 얼굴, 금동 불상들

경주박물관 미술관에는 전시된 다양한 금동 불상들이다. 황룡사에서 발굴된 금동반가사유상이 유명한 것 같고, 당시에 유행한 각종 불상들이 아주 작은 금동불상으로 많들어 졌다. 아마도 개인이 소장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비로자나불상 좌상, 반가사유상, 약사여래불 입상, 보살 입상 등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졌다. 삼국시대 백제, 신라 그리고 일본에서 유행했던 불상으로 보이는 반가사유상. 이 반가사유상은 섬세한 멋은 떨어지나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황룡사터에서 발굴된 반가사유상의 머리. 경주의 황룡사터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이 보살상의 얼굴은 머리의 보관은 앞부분이 조금 파손되었지만 단순한 형식의 삼산관이며 통통하게 살찐 둥근 얼굴은 두 눈을 지긋이 감은 듯하며 뺨을 팽창시켜 입가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 경주박물관 미술관 - 석조불상들,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

경주박물관 미술관에 전시작 유물들 중 석조 불상들이다. 많지는 않지만 경주 일대에서 발굴된 석조 불상유물들을 전시해 놓고 있는데 주로 경주 남산에서 발굴된 유물이 많은 것 같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불상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 남산 봉우리인 장창골에서 발굴된 석조미륵삼존불이 예술적가치가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유행한 비로자나불, 약사여래, 보살 등의 입상, 좌상 들이 많아 보인다. 경주 남산골에서 발굴된 유물이 석조미륵삼존불이다. 석굴암처럼 완벽하게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나름 예술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삼존불은 1925년 경주 남산의 북쪽 봉우리인 장창골의 한 석실(石室)에서 옮겨온 것으로, 입가에 머금은 천진난만한 미소 때문에 ‘애기부처’ 로도 불리운다. 애기 같은 ..

지역박물관 2009.07.19

국립경주박물관, 백률사 금동약사불 입상 (국보)

경주박물관에 전시중인 국보로 지정된 백률사 금동 약사불 입상이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크기나 형태면에서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불상이다.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형식적인 면이 많다고 하며 생동감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백률사 금동 약사불 입상은 세련된 곡선미를 보여주고 있으나, 생동감이나 힘이 넘치는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은 많이 주지 못하고 있다. 측면에서 본 백률사 약사불 입상. 1930년 경주 백률사에서 옮겨왔으며, 현재 광배와 두 손 및 대좌(臺座)를 잃었으며 표면 곳곳에 도금 자국이 남아 있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우게 되어있는데 그 위치로 보아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처럼 약단지를 받들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크기와 주조 기법 그리고 조각수법과 신체비례..

지역박물관 2009.07.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