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story Traveling
반응형

중앙박물관 특별전 24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이슬람 유리의 전개

기원전후에 개발된 대롱불기기법으로 유리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로마제국의 흥성과 함께 유리산업은 크게 발전하였다. 로마시대의 유리기술은 시리아와 이집트에 7~8세기까지 유지되었고, 사산조 페르시아에서는 커트유리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8세기에는 유리표면에 채색을 하는 장식기법이 크게 발전되었다. 7~8세기 이후 이 지역에서는 동로마와 사산조 페르시아는 쇠퇴하고 이슬람 세력이 등장하면서 유리 제작기술을 계승하였다. 오랜기간 동안 이슬람 세력이 크게 융성하면서 지역내 교역이 활발해지면 유리 제작도 발전하여 대량생산이 이루어졌다. 유리가 대량을 생산되면서 부유층의 위세품이나 장식품의 성격을 가진 유리는 다양한 생황용품으로 만들어지면서 일상생활에서도 두루 사용되었다. 이때 발전된 유리가공 ..

중앙박물관 2013.03.04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유리로 만든 인장과 다양한 장신구

유리는 청동기시대 지금부터 4천년 전인 기원전 2000년 경 북부 메소포타미아지방과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이 유리는 일상생활용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원전 1500년 경에 유리용기가 만들어진 이후 용기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100년 경 시리아에서 대롱불기 기법이 발명된 이래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생활용품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은 유리가 그릇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유리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부터 보석처럼 다양한 빛깔의 표현이 가능하고 제조공정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었기때문에 그릇 이외에도 보석의 대용품으로서 반지, 목걸이, 펜던트 등 다양한 장신구를 만드는데 사용되어 왔다. 또한 보석의 중요한 용도 중 하..

중앙박물관 2013.02.27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장식유리의 만개와 이슬람 유리의 전개

기원전 1세기 시리아에서 대롱불기 기법이 발명됨으로써 유리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로마가 지중해 지역을 안정적으로 통치함에 따라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유리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유리공방들이 생겨나고 새로운 기술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로마제국 이후에는 비잔틴을 중심으로 한 동로마제국과 이란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유리제작 전통을 계승하여 다양한 유리공예품을 만들었다. 사산조 페르시아는 유리제작 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는데, 당시 페르시아에서 만든 유리제품들은 실크로드를 비롯한 다양한 교역로를 통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전파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당시 페르시아로부터 유입된 유리제품들이 출토되..

중앙박물관 2013.02.22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불기 기법의 다양한 응용과 커트 기법(Cut Glass)

기원전 1세기경 시리아인들이 처음으로 대롱불기기법을 발명한 이후 귀금속이나 보석으로 만든 공예품처럼 몸을 장식하는 장신구나 부유한 계층에서만 사용했던 아주 특별한 용기로서 역할을 했던 유리는 대량생산을 통해 지중해 해상무역로나 실크로드를 통한 무역로를 통해 주요 교역품으로서 세계 각처로 퍼져나갔다. 대롱불기기법은 속이 빈 금속대롱 끝에 녹인 유리를 붙여 공기를 불어 풍선처럼 부풀린 후 모양을 만드는 기법으로 불과 몇분안에 그릇을 만들 수 있어서 이전의 금속공예기법을 적용한 주조기법이나 작은 용기를 만들었던 코어성형기법에 비해서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대롱불기기법은 그 자체로서도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만들 수 있어서 장인들이 지금까지도 선호하는 기법이며, 틀을 이용한 대롱불기기법은 규격화된 유리제품..

중앙박물관 2013.02.21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틀에 불어 만든 유리(Mold-blown glass)

기원전 1세기 시리아인에 의해서 대롱불기라는 획기적인 기술이 발명됨으로써 유리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대롱불기는 고온에서 녹은 유리가 액체상태에서 서서히 굳는 성질을 이용하여 속이 빈 금속제관을 통해 풍선처럼 유리를 불어서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만드는 방법으로 기존의 코어성형기법이나 주조기법에 비해서 상당히 빠른 속도로 쉽게 유리를 만들수 있다. 유리를 만드는 방법은 2천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만드는 공정들은 자동화되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대롱불기의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대롱불기는 만드는 장인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기때문에 공예품이나 예술작품으로서 유리를 만드는 공방에서는 아직도 2천년전 시리아사람들이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대롱불기 기법이 작가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중앙박물관 2013.02.19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대롱불기 유리(Free-blown glass)

유리가공기술은 기원전 15세기경에 유리로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코어 성형기법이 개발된 이래로 거푸집을 이용한 금속가공기술을 적용한 주조기법, 다양하고 화려한 색감이 뛰어난 모자이크기법 등이 개발되었다. 인류가 유리를 사용한 이래로 다양한 가공기술이 개발되고 유리의 용도 또한 처음에는 보석이나 귀금속처럼 장식을 위한 장신구 역할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점차 다양한 형태의 유리 그릇이 만들어지면서 실생활에 사용되는 생활용품으로 그 기능이 확대되었다. 하지만 유리의 생산기술 또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했고 생산량에 한계가 있었다고 여전히 일반인들은 사용하거나 가질 수 없는 고급스러운 물품에 속했다. 유리 가공 기술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는 기원전 1세기 경에 시리아에서 속이 빈 금속관을 이용하여 유리..

중앙박물관 2013.02.18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3천년의 이야기] 모자이크 기법으로 만든 유리

기원전 2000년경부터 인류가 유리를 처음으로 만들어 사용한 이래로 유리는 보석처럼 광택이 나는 물질로 부적의 기능을 갖는 펜던트나 몸에 지닐 수 있는 장신구로서 사용되었다. 유리를 제작하는 기술로 기원전 15세기 경부터 코어성형기법이 사용되면서 유리는 액체를 담는 용기로서 역할이 부여되었다. 더욱 큰 그릇을 만들고, 얇고 투명한 느낌을 주는 주조기법이 사용되었다. 주조기법은 거푸집에 녹은 유리를 흘려 넣어 굳히는 기존의 금속가공기법을 적용한 것으로 크고 다양하면서 세련된 장식을 한 유리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주조기법이 유리를 이용한 그릇 등을 만들기 위해서 발전된 기술이라고 하면, 기존 유리의 기능이었던 보석과 같은 몸에 지니거나 장식을 하는 장신구로서 기능을 강조한 새로운 기술로는 모자이크기법..

중앙박물관 2013.02.17

[중앙박물관 특별전, 유리 삼천년의 이야기] 코어성형기법으로 만든 유리

인류가 유리를 처음 만들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000년경 고대 문명이 발생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지역이다. 유리는 처음에는 보석과 같은 광택이 나는 물질로 구슬처럼 속이 꽉 찬 형태로 만들어져 펜던트나 몸에 지닐 수 있는 장신구로 사용하였으며, 당시에는 고가의 물품으로 상류계층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었다. 유리는 화합물의 구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었기때문에 초기에는 다양한 색깔을 이용한 작은 구슬에 당시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것을 표현하였다. 유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물건으로는 부적의 의미를 갖튼 펜던트가 많이 만들어졌으며 펜던트에는 사람의 얼굴을 비롯하여 다양한 의미를 갖는 새, 물고기, 동물 등의 모습으로도 만들어 졌다. 이는 다른 보석과는 달리 가공하기 쉬우면서도 흙..

중앙박물관 2013.02.14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걸작, 상형도자기

식품을 저장하거나 식생활에 사용되었던 그릇, 항아리, 잔, 병 등과 함께 사람이나 동물, 특정한 기물의 형상을 본떠서 만든 상형 토기, 도기, 도자기는 고대 이래로 인류가 만들었으며, 지금도 많은 걸작들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전까지 말탄사람 토기, 각배, 토우 등의 형태로 많은 상형토기들이 출토되어 있다. 이들 상형토기들은 생활용품이라기 보다는 종교적인 의미를 갖거나 예술적인 표현의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통은 통일신라시대를 지나고 한반도에서 도자기가 본격적으로 생산되었던 고려시대까지 이어진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고려청자 중에서도 인물이나 동물, 특정한 기물을 형상화한 많은 상형도자기들이 만들어졌는데, 예술적으로 조형미가 빼어난 수작들이 오늘날까지 많이 전해..

중앙박물관 2013.01.14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 걸작,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국보68호)와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국보116호)

고려청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9~10세기부터 개경 부근의 가마터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하다가 점차 한.중.일 해상무역로에 위치한 서남해안으로 그 생산지가 확산되었다. 고려청자의 절정기는 12~13세기로 당시 대표적인 청자생산지는 전남 강진과 전북부안이있다. 은은한 빛깔의 비색청자와 문양을 장식하는 상감기법은 고려청자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그 조형미와 예술성을 고려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인정받고 있다. 오늘날 전해지는 고려청자 걸작품들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초기에 박물관이 만들어지면서 개경의 궁궐터나 무덤에서 출토되거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수집되었기때문에 대표적인 걸작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고, 일제강점기에 우리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것들과 해방이..

중앙박물관 2013.01.13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예술과 기술의 조화

고려청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뛰어난 예술성과 도자기술을 자랑하는 문화재이다. 고려초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한 고려청자는 12~13세기에 그 절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많은 걸작들이 오늘날까지 전해내려오고 있다. 고려청자는 중국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서 개경 근처에서 처음 만들어 졌다. 초기 많이 사용되었던 차를 마시는 그릇인 완이나 술잔, 그릇, 술을 보관하는 병이나 매병, 화장품 등을 보관하는 용기인 합 등에서 중국과 비슷한 태를 보이면서도 고려청자 특유의 장식이나 빛깔 등을 보여준다. 절정기 고려청자 중에는 물가풍경무늬 등 회화적인 요소가 반영된 비슷한 형태의 도자기들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전문 화가가 도자기 제작에 연관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게 하고 있다. 고려시대 도자기는 주요 소비처인 궁궐과 귀족들이 ..

중앙박물관 2013.01.10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종교와 고려청자

차를 마시는 그릇인 완을 도자기로 만들어 사용한 이래로 국내에서 직접 도자기를 생산.제작하면서 기술도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도자기들이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도자기의 원래 용도라고 할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그릇이나 잔 등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점차로 음식을 보관하는 매병, 병, 항아리를 비롯하여 베개, 향로, 의자, 연적 등 특이한 형태의 도자기들이 만들어졌다. 그중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던 상형토기가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는 상형도자기들도 많이 만들어졌는데 상당부분 종교와 관련된 형상이나 용기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상형도자기로는 도교의 신선을 형상화한 국보 157호로 지정된 사람모양주자, 국보 173호로 지정된 나한상, 국보 270호로 지정된 원숭이모양 연적을 들 수 있다..

중앙박물관 2013.01.07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무덤에 묻힌 도자기

고대 문명이 발생한 이래로 인류는 죽은자가 사후세계에서도 현세와 마찬가지로 살아 갈 수 있도록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껴묻거리를 무덤에 묻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청동기시대 무덤양식인 고인돌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분에서는 수많은 껴묻거리들이 출토되고 있다. 무덤 껴묻거리 중에는 무기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신구들이 있지만, 그 중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는 것이 식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그릇들일 것이다. 통일신라를 거치면서 무덤 껴묻거리는 그 수량이나 종류가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기본적인 생활용품이 그릇들이 많은 무덤들에서 출토되고 있다. 고려시대 무덤은 많이 발굴되지는 않고 있지만, 일부 발굴된 무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꺼묻거리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곳이 개성부근에서 발굴조사된 고려 ..

중앙박물관 2013.01.03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청자 매병, 술을 담는 용기

매병은 술같은 액체를 담는 용기로 입이작고 어깨가 풍만하여 몸체는 아래로 내려갈 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병으로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던 고려청자 중에서 많은 걸작품들이 남아 있다. 액체를 담는 그릇으로 선사시대 이래 토기를 만들었을 때부터 중요한 용도의 그릇으로 입이 넓은 항아리(Jar)나 입이 좁은 병(Battle)이나 서양의 암포라(Amphora)의 형태로 많이 만들어졌다. 고려청자 매병는 주로 궁중이나 부유층에서 술을 담기 위한 그릇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뚜껑이 있다. 기존의 항아리, 병, 암포라와는 다른 형태를 하고 있으며 기능은 비슷하지만 특히 지중해 해상교역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올리브오일이나 포도주를 담았던 그릇인 암포라(Amphora)와 비슷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매..

중앙박물관 2013.01.02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상위에 놓인 청자

도자기는 흙을 빚어 고온의 불에 구워낸 그릇이나 장식물을 말하는데 1,30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도기, 1300~1,500도에서 구운 것을 자기라고 한다. 사람이 흙으로 그릇을 빚은 토기를 사용한 것은 상당히 오래된 일로 동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한다. 동아시아에서 도자기는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한반도를 비롯하여, 베트남, 일본, 서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반도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도자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중국 송나라 월주요의 영향을 받아 고려초기부터 국내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한반도에서 도자기를 사용하게 된것은 서역으로부터 차를 마시는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차를 마시는 그릇인 완이 중국으로부터 수..

중앙박물관 2012.12.28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청자로 장식된 집

고려초 청자가 국내에서 제작하던 시기에는 차를 마시는 작은 그릇인 완을 비롯한 작은 그릇들이 주로 만들어졌으나 전성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형태의 생활용구를 비롯하여 상형도자기들이 만들어졌다. 청자로 만든 생활도구 중에는 항아리를 비롯하여 각종 그릇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청자 의자나 향로, 베개 등 예술적 조형미가 풍부한 도자기들도 많이 만들어졌다. 청자는 또한 집을 장식하는 기와를 비롯하여 각종 건축부재로도 사용되기도 하였다. 청자기와 등은 고려시대에 사용되기는 했지만 아주 일반적으로 사용된 건축부재는 아니고 정자 같은 소규모 건축물 등을 장식하는데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강진 가마터에서 발견된 청자기와 등을 통해서 고려인들이 청자를 건축부재로 사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자기와는 조..

중앙박물관 2012.12.26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청자의 생산과 유통

청자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귀족층을 중심으로 중국 당나라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기는 했으나, 국내에서는 고려초부터 제작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고려 문종대에 송나라 월주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중국이 5대10국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기술자들이 이주해 왔지 않았을까 추정되기도 한다. 또한 송나라, 고려, 일본간 해상무역에서 중요한 교역품이었기때문에 무역선이 정박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서남 해안에 고려 청자 전성기때 도자기를 굽던 가마들들이 많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도자기 생산지가 국가에서 운영하는 관요를 중심으로 서울과 가까운 광주.여주.이천 일대에 있었던 반면에, 고려청자를 굽던 도자기의 생산지는 전남 강진, 전북 부안을 비롯하여 서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도 조선과 마..

중앙박물관 2012.12.26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변화와 쇠퇴

12~13세기초까지 절정을 이루었던 고려의 청자 제작기술을 13세기 몽고의 침입으로 오랜 기간 전쟁을 치르면서 그 경제적 기반이 상당히 약화되었다. 도자기의 모양은 단순해지면서, 두께는 두꺼워졌고, 아름다운 비색 청자 유약은 녹갈색이나 황갈색을 띠게 되었고 화려한 상감무늬는 점차 단순해졌다. 특히 몽고와의 전쟁이 끝난후 일본과의 해상무역이 쇠퇴하고, 왜구의 침입으로 해안가에 있었던 전남 강진이나 전북 부안의 도자기 생산가마들이 폐쇄되고 장인들은 내륙으로 피난하면서 도자기의 생산지가 전국으로 확산하게 된다. 이런 까닭에 고려말기의 도자기 수준은 전성기에 비해서 퇴보하게 되었고, 이런 도자기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서 도자기의 한쪽 부분에 글자를 상감으로 새겨 넣게 되었다. 도자기에 새겨진 글자로는 궁궐 관청..

중앙박물관 2012.12.16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절정과 확산

도자기는 유약을 입혀 1,300도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것으로 세계 도자기 역사에 큰 의미를 갖는 것으로 중국 당나라에서 당삼채와 함께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한반도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도자기 제품을 사용하기는 했으나, 실제로 생산된 것으로 고려초인 9세기말에서 10세기 초 중국 월주요의 영향을 받아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개경부근에서 도자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에는 도자기 무역로에 위치하고 있었던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을 중심으로 전국각지에 가마에서 청자가 만들어 졌다. 초기에는 간단한 형태를 차를 마시는 용기인 '완'이 많이 만들어졌지만,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매병, 병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활용품들이 청자로 만들어졌다. 장식기법 또한 음각.양각.철화.통화..

중앙박물관 2012.12.15

[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 고려청자의 시작과 전개

비색청자로 불리는 고려 청자는 은은한 녹색을 띠는 도자기로 우리나라을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예술작품이라 할 수 있다. 고려청자는 도자기 종주국인 송나라 사람들조차도 그 빛깔이 중국 청자보다 뛰어나다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비색청자는 유약이 반투명하며 그릇표면에 금이 생기지 않고 광택이 은은한 것이 특징으로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절정기를 이루며 12세기에는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청자는 중국 당나라에서 당삼채와 함께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에는 당나라에서 수입한 도자기들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당나라 말에서 오대에 이르는 혼란기에 중국에서 도자기를 만들던 기술자들이 한반도로 넘어오면서 월주요의 영향을 받은 도자기들이 고려초기부터 생산되기 ..

중앙박물관 2012.12.12
반응형